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 Tmography : slice/section + to describe

  • X-ray의 3차원 버전

  • 마취해야 하는 단점 / 가장 정밀도 높음

  • 응급 상황에서는, 환자 움직임이 크지 않다면, 그냥 케이지채로 찍기도 함

Basics

  • Slice thickness
    • Thin slice : 얇게 자르면 → 퀄리티가 높아지지만 데이터 양이 많아짐
    • Thick slice : 두껍게 자르면 → 러프하게 찍음, scan time이 짧고 데이터 양이 적음
  • Slice interval : 간격
    • interval 짧을수록 많은 ㅇㅁㅈ, 세세하게

Components & Terminology

  • Gantry : X-ray 방출

  • Console : 공간 구분되어 있음

  • Patient table : 환자 눕는 곳

  • Injector : 조영제를 주사하는 기계

  • Multi-detector CT (MDCT)

    • Slice : 한 번의 회전으로 얻을 수 있는 단면 이미지의 수
    • Channel : detector가 수집하는 데이터 라인의 수
    • 의 숫자가 높을수록 해상도가 높고, 스캔 타임 빨라지고, 방사선 피폭 감소, motion artifact 감소
Attenuation (감쇠)Hypoattenuated ↔ Hyperattenuated
Housefield unit(HU)- Air : -1000 감쇠도 (매우 까맣게)
- Fat : -100
- Water : 0
- 조영제 : 100-500
WindowWindow : 원하는 장기의 감쇠도에 맞게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음
: lung, bone, soft tissue windows, etc
Plane- Transverse, axial / Dorsal, coronal / Sagittal / Multiplanar reconstruction(MPR)
- MRI는 단면마다 다 따로 찍어야 함
Volume rendering (VR)3D로 구현하는 기능
: 해부학적 구조를 직관적으로 보고, 수술 플랜 세우기에 용이, medical teaching에 유용
- occipital bone, C1, C2의 3D 구현
- CVC, PV 등 혈관 구조의 3D 구현

Contrast medium

  • 비요오드성 조영제 보통 사용
  • kg당 2-3mL
  • 혈관을 통해 조영제를 넣어, 간질에 뻗어나가는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Side effect : 신장 기능의 악화; 신부전 환자에선 주의

Procedure

  • Pre-anesthesia
  • Intubation
  • Positioning : 판독을 잘하려면 positioning 잘 되어야
  • Pre-contrast scan
  • Contrast enhancement
  • Post-contrast scan
  • Recovery
  • Reconstruction

CT를 찍는 이유?

  • Anatomy (normal VS abnormal)
  • Cancer origin : 종양의 유래를 판단할 때
  • Metastasis (e.g., regional lymph node, lung, distant metastasis, etc) : 종양이 어느 정도로 전이되었는지
  • Cancer staging (size, metastasis, prognosis)
  • Emergency (e.g., acute hemorrhage) : 응급 상황에서도 매우 유용
  • Treatment planning (e.g., lymphoma vs other neoplasia)
  • Surgery planning (e.g., feeding artery) :

Other technique

  • Triple phase : 조영 전 / 동맥기 / 문맥기 / 지연기 구분해서 촬영
  • CT guided biopsy : 비강종양 등은 주변에 염증 ↑ - 종양의 core를 biopsy해서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
  • Lymphangiography : 림프관 조영, 림프액이 관을 타고 올라가는 과정
  • Perfusion : 혈류가 얼마나 들어가는지 - infarction 등을 판단

2.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석에서 비롯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공명을 일으키고 영상으로 변환

  •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서 몸 안의 수소 원자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 → 라디오파를 쏴서 수소들을 흔들어 놓고, 그 수소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방출하는 에너지를 감지

  • 구성 : 마취기, 수액 펌프, 모니터, 조영제 주입기

  • Tesla = strength of magnetic field.

  • 0.5T, 1.5T, 3T.. 지구의 자기장이 2000gauss. MRI는 매우 강한 자기장을 일으킨다.

장점단점
- 방사선 노출이 없음
- 연부조직 해상도가 우수
- 다양한 조직 대비 강조 영상 생성
- 다각도 영상 가능
- 조영제의 부작용 적음 (gadolinium)
- very expensive
- 마취 시간이 길다
- motion artifact
- 금속 성분이 있으면 위험/quality 저하
(아니면 그게 망가지거나..)
T1해부학적 구조, 위치를 파악하기 좋음.
물은 어둡게, 지방은 밝게
T2가장 많이 사용. 대부분의 병변이 밝게(고신호로) 보인다.
물(뇌척수액)은 밝게, 지방도 밝게
FLAIRT2 영상에서 하얗게 보이는 CSF 신호를 억제.
뇌척수액은 어둡게, 병변은 밝게 ⇒ 뇌척수액과 병변 감별
STIR지방은 T1, T2에서 둘 다 밝게 보임 → T1 영상에서 지방 신호를 억제.
지방이 어둡게 ⇒ 지방이 많은 부위에서 병변 대비도를 높임.
DWI물의 확산이 제한된 부위가 밝게 보임. ⇒ 급성 경색을 확인.

Contrast media

  • T1 신호 증강, 병변을 밝게 보이게 함.
  • 염증, 부종 등으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할 때 조영 효과 발생.

Indication disease

  • 뇌, 신경계 부위에 가장 ↑

Indication disease

  • Brain
    • Meningoencephalitis (MUE, GME, NME)
    • Hydrocephalus
    • Chiari-like malformation syndrome
    • Caudal occipital malformation syndrome (COMS)
    • Brain tumors (meningioma, glioma, etc.)
    • Brain infarction, hemorrhage
    •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 (CDS)
  • Spinal cord
    • IVDD (protrusion, extrusion)
    • Spinal cord tumor
    • AAI
    • Vertebral fracture
    • Myelitis

3. Veterinary Interventional Radiology

  • 최소침습적 시술을 통해 치료

  • C-arm / Fluoroscopy : real-time radiographic image : 실시간으로 심장이 뛰는 것까지 &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 DSA : 혈관만 조영하는 기법
  • 이렇게 길을 확인 = Road mapping ⇒ guide wire 등 더 쉬움

Equipment

Access needles/catheter- “점”을 만드는 과정 : 최소침습 필요
- 카테터 많이 사용 (21/22G, 18G)
Guide wires- needle의 2배는 되어야 함
- wire의 끝부분 모양이 다 다름 : 필요에 따라 선택
Angiographic catheters : 본체- 조영제 투여, 등을 다 이걸로 함
- French 라는 단위를 씀
- Tip 모양 다 다름
Sheaths & Dilators- sheath :
- dilator : 확장시키는 용도
  • 구멍을 뚫고 가이드 와이어 먼저 → 그래야 카테터 들어감
  • Balloon catheters : 필요에 따라 부풀려서 협착부를 해소시킬 수 있음
  • Embolization materials : 색전증

Vascular access

  • Arterial access : common carotid artery & femoral artery
  • Venous access : jugular vein & femoral vein
Modified Seldinger’s technique
1. needle로 혈관을 뚫는다
2. 가이드 와이어 장착
3. Sheath(통로)&dilator를 같이 넣어줌

Interventional oncology

Palliative stenting for malignant obstructions- 환자의 삶의 질 개선 (pylorus가 막혔거나, colon이 막혔거나,
Intra-arterial chemotherapy- 방광에 생긴 종양 → 방광 혈류에 항암제 공급
- 정확한 부위만 target 해서 줄 수 있음, 전신 공급보다 훨씬 ↑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수술로 해결 못 하는 경우 가능한 치료 옵션
- 원하는 곳에 색전 (혈류 공급 차단)
- non-target embolization도 생길 수 있음
- 간종양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
- DEB-TACE : 구슬을 삽입, 구슬에서 지속적으로 항암제 분출 (drug-eluting beads)

3. Radiotherapy (RT)

  • 고선량의 방사선을 종양세포에 조사해서 종양을 control
  • 암치료의 3대 요법으로 꼽힘 (수술치료,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 최소침습)

원리

  • 직접 작용 : DNA 이중나선 구조 파괴
  • 간접 작용 : 세포내 물 분자에 작용해 free radical 등 생성 → 이차적 DNA 손상 유발
  • 분할 조사 : 4R을 활용해 정상 세포는 보호, 암세포는 약화
    • Repair : 손상된 DNA를 세포가 복구하는 능력 ⇒ 정상 세포를 보호하기 유리
    • Repopulation : 생존 세포들이 다시 증식 ⇒ 분할 조사로 여러 번 쏴서 억제
    • Reassortment (Redistribution) : 세포 주기에 따라 달라지는 방사선 민감도
    • Reoxygenation : hypoxic한 종양세포가 먼저 사멸 ⇒ 저산소 세포가 다시 자라나면, 분할조사로 여러번 때림

장점

  • 보호자 및 수의사에게 미치는 영향
    • 바깥 사람에게 피폭X
    • 항암 후에 만지면 안되고.. 그런데, 이건 방사선이 남아있지 않음
  • 종양 부위에 집중 → 전신 부작용 ↓
  • 완치는 어려워도 삶의 질 개선
  • 대부분 통원 치료 가능
  • 무색, 무취, 무미, 무통

치료실

  • 차폐를 위해 벽이 1m 이상 되어야 함
  • 방사선 치료기가 돌아가면서 방사선을 쏘며 치료

용어

  • Gray (Gy): 흡수선량 (unit of radiation)
    • 1kg 의 질량에 1J 의 에너지가 전달되는 값
    • ex. 10Gy > 8Gy > 4Gy …
  • Fraction (Fr) : 치료 횟수
    • ex. 10 Fr = 10번에 걸쳐서 치료
  • Prescription dose : 처방선량, total dose
    • Total dose = m (Gy) x n (Fr)
    • ex. 24 Gy (total dose) = 8 Gy x 3 F

종양 세포 방사선량은 늘리고, OAR 선량은 최대한 줄여야 함.
- GTV (gross tumor volume)
- CTV (clinical tumor volume)
- PTV (planning tumor volume
⇒ GTV < CTV < PTV
- OAR
: Eye, Lens, Optic nerve, optic chiasm, Brain, Spinal cord, Esophage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