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ine Babesiosis

| Babesia | |
|---|---|
| Etiology | RBC에 기생하는 원생동물 → anemia 관련 증상. 다양한 species가 있으며 우리나라는 주로 B. gibsoni 적혈구에서 복제되어 혈관내/혈관외 용혈성 빈혈을 일으킨다. + 발열, 간비장비대, 저산소증, DIC |
| Clinical Features | - Peracute : 빈혈 (빈호흡, 빈맥, 우울, 쇠약) / 용혈성 빈혈 (황달, petechiae, 간비장비대) - Acute : 심각한 빈혈, DIC, 신장 질환 - Chronic : 체중 감소, 기력 부진 - Atypical : 복수에서 DNA 검출 |
| Diagnosis | 빈혈, 혈소판감소증 / 혈액 도말해서 RBC의 organism 확인 / PCR로 감별 [gibsoni - 작은 점 모양 / canis - 조롱박 모양] 항체 반응 양성이어도 현재 감염 아닐 수 있음. 고양이에서 APPs 확인 (serum amyloid A 증가, paraoxonase-1 감소) |
| Treatment | 수혈, 중탄산염 치료, 수액 치료 + 약물 사용 [US] vogeli → Imidocarb diproprionate / gibsoni → azithromycin + atovaquone (w/ 아이스크림) [Asia] 다양한 약물 조합이 제시됨. (100%는 없음) 1st : AA protocol (azithromycin + atovaquone) 2nd : MCD protocol (metronidazole + clindamycin + doxycycline) |
| Prevention | 한 번 걸렸어도 다른 species에 감염될 수 있음. 개물림 사고 조심, 공혈 시 PCR screening 꼭. |
Canine Leptospirosis

| Lepto | |
|---|---|
| Etiology | 사람과 동물 모두에 감염되는 운동성 있는 나선형 세균. 다야한 혈청형, 풍토병 (지역별 차이), 습지나 농촌, 여름에 잘 발생. Adapted → 증상 없을 수 있음. / 면역 없는 개체에서는 증상이 명확. Urine을 통해 전파됨 - 토양, 음식, bite, 수직 감염 등 |
| Clinical Features | 다양한 조직에서 복제하지만 특히 간, 신장에서 높은 역가. - Peracute : 발열, 우울, 빈호흡, 구토, 발열, 빈맥, 급사 가능. - Subacute : 경미한 바열과 우울, 간과 신장 질환 - Chronic : PU/PD, 복수, 간성 뇌병증 |
| Diagnosis | 농촌 등 history + 신장 등에 이상 ⇒ Top Ddx는 아니지만 고려해야 함. - USG 감소, bilirubinuria, cast 확인 / Renomegaly, hepatomegaly - [키트] MAT(Microscopic Agglutination test) : titer가 정상의 4배 이상 Definitive Dx. : PCR, 뇨/혈액/조직의 감염체 확인. |
| Treatment | - 수액 처치 : 신장에 영향 많이 주므로 기본 수액 처치. - 항생제 : ampicillin,amoxicillin, doxycycline |
| Prevention | 인수공통 조심, 배설물/물/그릇 조심, 몇 개 혈청형에서만 유효함. DHPPL의 L, 지금은 빠졌으나 코어 백신 될 수도 있음. |
Canine Distemper Virus

| CDV | |
|---|---|
| Etiology | Paramyxoviridae 에 속하며 strain에 따라 병원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바이러스. 호흡기를 통해 들어와 관련 증상을 유발했다가, 신경계까지 퍼져서 신경 증상을 유발한다(8-9일). 어린 개에서 심각하게 나타남. (그래서 마음 아픈 케이스들이 많다..) 면역이 형성되면 그리 심각하지 않음. |
| Clinical Features | 우울, 무기력, 기침, 구토, 설사, 신경 증상. - 편도 비대, 기관지 폐렴 - 무도증(얼굴 근육 마음대로 떨림), 발작 통제 안 됨. - 포도막염, 시신경염, 망막맥락염 등 안과 질환도 동반 - 치아 표면이 울퉁불퉁, 코와 발바닥의 과각화 |
| Diagnosis | - 임상 증상 (호흡기 → 신경계) + 나이 로 잠정 진단. - CSF 검사 → 단핵구 증가, IgG 상승 Definitive Dx : DFA - 직접형광염색, 조직 검사, PCR 등으로 감염체 확인! |
| Treatment | 항생제, 항경련제 등 but 예후 안 좋음. |
| Prevention | 체외 생존 시간 짧고 소독제에 쉽게 사멸됨. 생독(modified live) 백신 : 6-16주령에 3-4주 간격으로 3회 이상 접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