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ted image 20241203150314.png

  • 마지막 10. RPE 층 : 1줄짜리.
  • PRA, SARD : outer 측 손상
  • tapetum이 있는 곳에는 REP

REG = Retina function 검사 = 시력 검사 X * BEP? = 대뇌 function 검사 = 시력 검사 O

전기적 신호가 들어와서 모여서 흘러감. (A) 전기가 이동할 때는 = 0 (B) 전하가 만들어질 때는 = 마이너스 신호 (C) electron가 (+) 방향으로 흘러갈 때 정방향으로 가니까 = 올라감 (D) nerve fiber를 타고 시신경 판으로 갈 때, 옆으로 가니까 전기는 안 흐름 = 점차 내려옴 (E) optic disc에서 빠질 때 전기가 완전히 뒤로 빠짐 = 올라감

Rod cell 단독 → 어두운 곳에서(암순응) 갑자기 강한 빛 ⇒ A-wave 크게.

OD =오른눈 OS = 왼눈 OU = 양눈

Holangiotic = 방사형, 보통

Merangiotic Anangiotic = pecten 있음, 조류

Normal fundus
Holangiotic = 방사형, 보통Merangiotic = 토끼Paurangiotic = 말PaurangioticAnangiotic = pecten 있음, 조류
정상 눈
- 망막이형성증
- 혈관이 통통하고 주변에도 뭐가 생김
- Geographic retinal dysplasia 예시
- RPE degeneration
(점점점)

Abnormal fundus

Focus

Raise → Common / Retinal detachment
Recess → Uncommon (optic disc) / Glaucoma, colobomatous defect

Tapetal Reflex ⭐

Increased (반짝) → Retinal thinning

빛이 초점을 맞추기 너무 얇아서..

Decreased → Retinal swelling, / e.g. oedema, detachment

매우 어둡게 보임 Pasted image 20241210142418.png 들어와서 빛이 통과해야 하는 공간이 넓어져서, 되돌아나오는 빛의 양이 줄어듦.

Pigmentationㅁ

숙련자 아니면 구분하기 어려움,,

Increased →

Vascularization

Increaed →

당뇨 주기적으로 fundus 검사해야 함 3ㄷ

Collie Eye Analomy

\1) ~ 4) 외우세요⭐

1) 맥락막망막 이형성증

  • 맥락막, 망막이 형성되지 못함
  • 맥락막, 망막이 없읜 sclera가 보임
  • 보더콜리 → 안저 검사. 가운데가 뭔가 부족한 느낌이 보이면 맞음

2) Coloboma (결손증)

  • 심하면 시신경판에 구멍

3) Retinal detachment (망막 박리)

4) Intraocular hemorrhage (안내 출혈)

Retinal Dysplasia

  • 넓은 부위의 손상 : Geographic retinal dysplasia
    • 이 영역은 시력 손실
  • focal retinal dysplasia

Generalized progressive retinal atrophy (gPRA) ⇒ 요즘은 PRED라고 함

  • Menance responses 감소
  • PLR 대부분 느리거나 사라짐
  • dazzle reflex 대개 감소함
  • 개는 백내장을 가질 때가 종종 있음
  • 고양이에서도 나타남

Retinal detachment

  • RPE와 neuroretina가 떨어짐
  • 갑자기 발병하는 것이 특징 → 갑자기 눈이 안 보임
    • 지금은 기술이 발전해서 정기검사 중에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짐
Types
  • Rhegmatogenous (열공성 망막박리) : vitreous에 구멍 생김 → 물이 자꾸자꾸 차서 점점..
    • 망막이 떨어져서 접힐 수 있음
    • 붙이는 방법은 수술이 유일 (견인 망막박리)
    • (혈관이 없음)
  • (망막 떨어져서 나풀나풀)

SARD (Sudden acquired retinal degeneration)

  • 무기력(letharge), 토실토실하지만 비만은 아님(slightly overweighted)
  • polyphagia, polydipsia, polyuria (쿠싱 증상) : 시력이 없어지고 나면 이 증상은 회복됨
  • melanopsin? 이 포함된 ganglioncell만 손상됨 → melanopsin은 푸른빛만 받아들임, …, CPRA로 확인할 수 있다
  • 치료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져있지 않음 (그냥 시력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