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가면역질환 등을 치료하기 위해
- 이식장기를 거부하는 신체의 능력을 낮추기 위해 면역계의 활성화나 효능을 감소시키는 약물
A. 면역억제제 투약
- 동종이식편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데 항체 사용이 중요하다.
- 사람 림프유사세포로 토끼/말을 면역화시키거나, hybridoma 기술을 이용해 항체를 제조한다.
-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해 마우스 유전자 배열의 일부를 사람의 유전적 물질과 치환하여 인간화된(humanizing) 항체를 생산하고, 항원성을 낮춘다,
- 관례적으로 단클론항체에는 “mab”이 접미어로 붙는다.
| 약물 | 작용기전 | 치료용도 | 약동학 |
|---|---|---|---|
| A04. rituximab (리툭시맙) |
| - B세포 림프종 PTLD(이식후 림프구증식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 정맥투여, 9-12개월 지속 |
| A05. bortezomib (보르테조밉) | - preteasome 억제제, 정상 혈장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일으켜 항체 생산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체매개거부(AMR) 조절 | - 다발골수종치료, 이식환자의 AMR 치료 | 정맥내 대량주입, 피하주사, CYP450에 대사됨 |
| A06.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
|
| 반감기 3-4주 |
| Alemtuzumab (알렘투주맙) | - | - | - |
| Antithymocyte globulins (항가슴샘세포 글로불린) | - | - | - |
| Basiliximab (바실릭시맙) | 키메라화된 쥐/사람 단클론항체 -활성화된 T세포상의 IL-2 수용체 CD25 α사슬에 결합하여 세포 증식을 방해함 | - | - |
B. 유지 면역억제제 투약
- 동종이식거부를 막기 위해 적절한 면역억제를 제공
- 감염, 암, 약물유발성 부작용을 최소화
- 약물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용기전이 다른 약물을 사용
- 4가지 분류 : calcineurin 억제제 / 동시자극 차단제 / mTOR 억제제 / 항증식제
| 약물 | 구분 | 작용기전 | 치료용도 | 약동학 |
|---|---|---|---|---|
| B01. cyclosporine (사이클로스포린) & tacrolimus | calcineurin 억제제 | 칼슘-calcineurin 경로를 통한 신호 전달을 차단, 신호1의 downstream을 활성화하고, T세포 활성화를 손상시킴 | - | - |
| B02. belatacept (벨라타셉트) | 제2세대 동시자극 차단제 | - 항원제시세포의 CD80, CD86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CD28의 결합을 차단하고, T세포 활성화 경로의 신호2를 억제함 |
| 2상으로 투여, 첫달 4회 고용량, 다음 달 1회 투여, 4개월 후 용량 감소 투여 |
| B03. sirolimus (시로리무스) & everolimus (에베로리무스) | mTOR 억제제 |
| - calcineurin 억제제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콩팥독성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함 [everolimus] 유방, 콩팥, 신경내분비 등 다양한 암치료 | CYP3A4에 의해 대사, P-당단백질의 기질, DDI 심함 [sirolimus] 반감기가 긴 편, 1일 1회 투여 |
| B04. azathioprine (아자티오프린) & mycophenolate | 항증식제 (antiproliferatives) |
|
| [azathioprine] 투여용량 제한 부작용-골수억제, allopurinol과 사용하면 부작용이 큼 [mycophenolate] 2가지 제형. mofetil(전약물)과 acid(활성약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