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포유류의 종류
- 고래류
- 기각류
- 해우류
- 해달
- 북극곰
고래
고래의 진화
- 파키세투스 : 고래의 조상
- 고래와 가장 진화적으로 가까운 동물은 소목동물 하마
고래의 몸
- 유선형의 몸/털 없음
- 가슴지느러미 1쌍, 꼬리지느러미 1쌍, (등지느러미 1쌍) : 개체에 따라 다름
- 범고래는 등지느러미가 발달. 빠른 유영력, 집단생활
- 가슴지느러미(flipper) : 앞다리로부터 진화해서 뼈가 있음.
- 등지느러미(dorsal fin)/꼬리지느러미(fluke) : 뼈 대신 결합조직으로 구성. 피부에서 발달함.
- 분수공(해부학적으로 맞는 표현은 ‘분기공’) : 비강이 dorsal에(위에) 위치
| 연골어류(상어) | 경골어류 | 포유류(고래) |
|---|---|---|
| 등, 가슴, 배, 꼬리 | 등, 가슴, 배, 뒷, 꼬리 +기름, 부속 | 가슴(1쌍), 꼬리(홑), (등) |
고래와 물고기의 비교
- 고래 : 폐호흡, 꼬리지느러미가 수평으로 누워 있고 상하로 물을 치며 움직인다, 수중에서 새끼를 출산하고 젖을 먹인다, 피부는 고무와 비슷한 촉감
- 어류 : 아가미호흡, 꼬리지느러미가 수직으로 서 있고 좌우로 물을 친다, 수중에서 알을 낳는다, 피부는 비늘로 되어 있다

어류의 호흡
- 경골어류 : 아가미 덮개. 입을 열 때 아가미 덮개가 열리면서 기체교환이 일어남
- 연골어류 : 입을 계속 열고 다님. 기체교환이 빠르게 일어남
고래의 호흡
- 사람과 비슷하지만, 코가 머리 위쪽에 존재하고 기도도 위로 올라가 있다.

고래의 이빨
- 이빨고래와 수염고래로 나뉨
- 이빨고래(76종) : 이빨을 가짐
- 분기공이 겉으로 1쌍처럼 보임 (안쪽에서 2쌍)
- 먹이를 물어서 삼킴
- 수염고래(16종) : 수염판(수염처럼 보이는 이빨)를 가진다. (대왕고래, 흑동고래..)
- 수염처럼 보이는 키틴질의 이빨(=baleen plate, 수염판)을 가진다.
- 분기공이 겉으로 2쌍
-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 다 빠져나가고 수염에 플랑크톤 등 먹이가 낀다.
- 단, 향고래는 매우 큰데도 이빨고래 (이빨고래 중 가장 큼, 빨간 동그라미)

고래의 해부학적 특징
성별 판단
- 암컷 : 항문과 생식공(genital slit)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 유선(mammary slit) 한 쌍을 가진다.
- 작은 돌고래류는 암컷에 유선 O, 큰 고래류는 수컷에도 유선의 흔적이 남는다.
- 암컷은 포셉이 앞쪽으로(cranial) 사선으로 꽂힌다. vagina 등이 앞쪽에 위치


- 수컷 : 항문과 생식공 사이의 거리가 멀다.
- 수컷은 포셉이 뒤쪽으로(caudal) 사선으로 꽂힌다. testis 등이 뒤쪽에 위치
- 수컷에만 preanal sinus(항문앞구멍)가 있음.

해부학적 특징
- 피부 박리
- 암컷 유선 확인
- 지방층(하얗게 보이는 부분) : blubber(subepidermal fat)
- 체온 유지를 위해 지방층이 두껍게 진화함.
- 종, 계절, 영양상태, 분만 여부에 따라 두께 달라짐.
- 고래류는 내장지방이 없다⭐ 모든 지방은 위로 올라와 있다
- 근육 박리
- 뒷다리는 퇴화되어 없어지고 골반뼈만 작게 흔적으로 남음

- 척추
- 경추가 융합되어 있음(하나처럼 보임)
- 포유류는 경추 7개^[기린도 7개, 나무늘보 일부는 8-9개] / 고래도 마찬가지로 7개
- 보통 하나로 완전히 융합되어 있음
- 혈관궁(chevron) : 꼬리뼈 아래에 붙어있는 뼈. 꼬리로 가는 혈관이 발달. 척추 안쪽에 혈관을 보호하기 위함.
- 신생아 확인
- 털(수염)이 있으면 태어난 지 1주일도 안 된 새끼고래
- 혀 바닥 주름 : 혀가 어미의 유두를 말아서 먹을 때, 혀주름이 젖이 새지 않도록 도와줌, 이 구조물이 명확히 보이면 새끼고래


- 내부장기 확인 : 가로막 존재, 폐와 심장 흉강에, 나머지 장기 복강에
- thoracic rete mirabile : 흉곽벽에 혈관 촘촘. 수영하면서 높아진 온도의 혈액이 흉강에서 느리게 돌면서 식음
일반적인 육상 포유류와의 해부학적 차이
- 담낭이 없음 : 저장 없이 이자에서 바로 십이지장으로 들어감
- 다엽신 : 소 등 (염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동물)
- 흉선이 성장 후에도 존재함
- 덧비장(accessory spleen) : 1~12개까지 있음
- Valentine’s heart shape : 명확하게 하트 모양
-
위가 3구획으로 되어 있음 : 1위(원위, 물리적 소화), 2위(진위, 소화효소 분비)
-
Melon : 머리 앞쪽 지방으로만 이루어진 구조물. 초음파를 확장. 초음파가 melon이라는 지방층을 통과하면서 확장됨
- 초음파를 받는 것은 아래턱으로


- 초음파를 받는 것은 아래턱으로
-
Laryngeal appendix (Goose beak, 후두덮개) : 기도가 위로 향하다 보니 먼데, 후두덮개가 길고 두꺼워져서 식도와 겹치지 않게 막을 수 있음

-
후각 퇴화 : olfactory bulb가 흔적만 남아있음
-
지느러미에 혈관 분포 : 동맥이 더 안쪽, 정맥이 더 바깥쪽으로 분포. 꼬리지느러미 정맥에서 채혈
-
영상의학 : 내장지방이 없어서 대비가 약함(명확히 하얀색으로 경계가 되어주는 게 없음)
-
마취 및 수술 : 원래 중력을 받지 않고 부력을 받고 사는데, 끄집어 내서 중력을 받기 시작하면 그것만으로도 큰 damage가 됨. 물 밖으로 꺼내는 걸 최소화해야 함.
- 보정을 하고 물을 빼서 바닥에 두고 처치하기도 함
- but 보통 이 정도 수준이면 예후가 안 좋을 때가 많음..
-
뇌가 반씩 자기 때문에 항상 한쪽 뇌는 깨어있음. 잠을 잘 때도 꾸준히 올라와서 호흡해야 함
-
호흡마취가 어려움. 자더라도 중간중간 깨는 동물. 그래서 ventilation이 중요함.
-
육상포유류와 공통점 (읽어보세요)
- 2심방 2심실, 온혈동물, 폐호흡
- 고도로 발달한 신경계, 12쌍의 뇌신경
- 횡격막 존재
- 자웅이체, 태반생식, 젖으로 양육, 체내수정
- 출산 시 꼬리부터 나옴. 물속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출산 후 새끼를 수면으로 올려 호흡할 수 있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