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통
산통(Colic)
- 복강내 장기에서 통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통칭 (“배앓이”)
- 말 폐사의 주요 원인, 이환율과 치사율 매우 높음.
산통 발생의 원인
- 해부학적으로 장 내용물이 정체하기 쉬운 구조 (위 유문부, 맹장 말단, 대결장 만곡부 및 말단)
- 긴 장간막이 소장을 복강에 연결함 → 염전 쉽게 발생
- 대결장이 큰 double U 형태, 복강 내 지지 구조 없음 → 복강 내 유리, 장 변이가 쉬움
- 구토가 어려움
| 사양 관리 | 장 내부 | 기타 |
|---|---|---|
| - 과식 (특히 농후사료) - 부패한 사료 급식 - 급격한 사료 변경 - 음수 부족 (수분부족) - 모래 섞인 목초 섭취 | - 장 내용물 정체 - 위장 내 발효 (가스 저류) - 장결석, 식괴, 헤어볼 - 장내 기생충 감염 - 장 협착, 경련 - 장 변위, 염전, 중첩 | - 기후 급변 (多) - 체온 하강 - 스트레스 - 치아 이상 - 장기간 항생제 투여 - 원인 불명 |
Colic의 기전
- 장 내용물 축적으로 장벽 확장/신장 → 장벽내 예민한 신경 자극
- 장 변위 발생 → 장간막에 팽팽한 긴장 → 통증
- 장 염전 → 혈관 폐색
- 장 내외측 장벽에서 발생하는 염증
산통의 종류
| 종류 | |
|---|---|
| 장폐색 | - 교액 : 장염전, 장중첩 등에 의해 장의 혈액공급이 막힌 것. - 장염전 : 극심한 통증, 탈수 및 내독소성 쇼크 - 장중첩 : 중증 기생충 감염이 원인, 회맹부 연결부 중첩이 일반적 - 비교액성 경색 : 원선충의 유충에 의한 동맥 폐색 - 매복 : 장관의 기계적/물리적 폐색 (부적절하게 소화된 사료) - 장결석, 이물질 폐색 - 대결장 변위 : 합병증 없으면 경증 |
| 가스산 (고창산) | - 원발성 : 장내 탄수화물의 발효로 가스 과다 - 속발성 : 맹장/결장의 장폐색에 의해 2차 발생 (급성, 개복수술) |
| 경련산 | - 예민한 말, 공포/불안 자극 - 심한 운동 후 다량의 찬물을 급격히 마셨을 때 - 목 부위 일부분에 땀이 남 |
증상
- 식욕감퇴, 침울, 불안, 배뇨 자세/견좌 자세, 심한 전신 땀흘림
- 복부팽만, 호흡수/맥박수/체온 증가, 장운동 감소
- 통증 시 → Pawing(앞발 긁기), 윗입술을 말아올림, 몸뻗치기(: 소장중첩), 등을 대고 뒹굴기(: 위궤양)
- 아픈 쪽을 바라봄, 몸을 뒤로 길게 늘어뜨림, 누우려 함
2. 산통 진단
| 진단 항목 | |
|---|---|
| 병력 청취 | - 최근 변동 : 급식, 급수, 환경, 운동량 - 급수 부족, 거친 등겨 급식 → 장폐색 - 모래 마당, 흙 바닥 사육 → 모래산 - 어린 말의 이물 섭식 → 소결장 폐색 |
| 마체임상검사 (P/E) | - 전신 상태와 통증 정도 : 땀, 앞발, 머리, 다리, rolling, stretching - 체온 : 정상이거나 통증으로 인해 약간 상승 (* 직장검사 전 체온 측정!) - 심박수 : 정상 40회/분 → 급격한 상승 (80-90회/분) 시 완전 폐색, 염전 시 40-70회 |
| 장음 청진 | - 좌측 상부에서 소장/결장, 하부에서 대결장 ⇒ mixing, progressive sound - 우측 상부에서 맹장, 하부에서 대결장 맹장 ⇒ 파이프 통과하는 물 소리 - 맹장 부위에 가스가 가득 차면 ping sound |
| 직장 검사 | 비장 → 신장 → 십이지장 → 맹장 → 소결장 → 대결장 만곡부 검사 복강 후반 1/3 검사 가능 |
| 위관 삽입 | - 식도, 상부 소화기 폐색 여부 진단 및 약물 투약 - 식도는 튜브 진입에 저항이 있는 반면, 기관은 저항 없이 들어가니 주의 - 위관은 산통 시 [위확장 완화 / 진단 목적 / 약물 투여] 위해 반드시 실시! |
| 복강천자 | 복수 검사 |
| 내시경 및 방사선 검사 | 잘 하지 X |
| 복부 초음파 검사 | 최근 가장 주요 진단 수단. 복벽을 통해 진단. 맹장, 결장, 소결장 장벽이 두꺼워짐 (정상 두께 <3mm) |
| 임상병리 검사 | - PCV / TP (hydration) - Anion gap : 정상 9-12mEq/L 정도 * > 20 이면 생존률 급격히 감소(80%), 25 정도면 47% 생존, 그 이상이면 0% - Serum lactate : 4-6이면 수액 처치, 7 이상은 수술 필요, 10 이상은 예후 불량 |
| 예후 판단 | 심박수 > 100, 호흡수 > 40, 청색증, PCV > 65, Lactate > 10, 약물 반응 X ⇒ Poor |
3. 산통 처치
- 대부분 내과적 처치로 개선 : 진통소염제 + 수액 + 항생제 + 윤활제 투여
- 구조적 폐색인 경우 외과적 처치
| 내과적 처치 | |
|---|---|
| 수액 처치 | 탈수 예방, 혈액 공급 원활 14-16G 카테터로 8-10L/1-2Hr - 순환기 쇼크 시 20L/hr, 필요 시 30-100L/day |
| 윤활제/사하제 | 치료(장 윤활+분변 연화) + 진단(장관 폐색 확인) 목적 - Fluid, Mineral oil |
| 진통제 | - NSAIDs : Flunixin meglumine (가장 많이) - 진정 마취 : Detomidine - Opoids : Butorphanol |
| 위장관 운동 항진 | - Neostigmine |
| 외과적 처치 | |
|---|---|
| 수술 지표 | - uncontrollable / severe pain - depressed - alkaline yellow fluid > 5L (위 후방 폐색 가능성) - 직장 검사 → 소장 확장, 대결장 확장 변위, 이물 촉진 - 심박 > 75회/분, 약한 맥박, CRT > 2.5s, 사지 말단 차가움 (shock) - 내과적 치료에 반응 없음, 통증 지속 |
| 개복 수술 | 전신 흡입 마취, 정중 절개 - 복강 장기를 최대한 노출할 수 있고, 수술 시간이 빠름 * 대장 및 소장 탐색 : 맹장의 lateral band가 cecocolic fold로 이어짐 * 소장 탐색 : 맹장을 뒤집으면 dorsal band → 따라 내려가면 ileocecal fold |
| Enterotomy Resection Anastomosis | - 장 운동성과 생존성을 판단해서 절제 결정 - 대결장의 경우 pelvic flexure의 antimesenteric surface 절개 - 누출, 협착, 유착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으니, - 새지 않게 봉합 / fibrous 형성 최소화 / 적절한 내강 확보 |
| 술후 처치 | 최초 3일 집중 처치 : 드레싱, 수액/소염제/항생제 투여 - 1일간 절수, 2일간 절식, 3일째부터 부드러운 건초 공급 (너무 일찍 급여하면 ileus 유발) - 12-14일 후 복부 봉합사 제거 |
| 술후 합병증 | ileus (원인불명) / peritonitis (오염, 내용물 누출) / myopathy (장시간 전신마취 및 압박) / Laminitis (endotoxin ↑) / Pneumonia |
4. 산통 종류 및 수술적 교정
대강 정리는 했으나 1도 안 중요할듯
- 장중첩 (Intussusception)
- 장의 일부가 다른 장 속으로 들어가는 상태로, 주로 어린 말에서 발생.
- 주로 회장이 맹장으로 말려들어감
- 증상은 소장의 완전 폐색과 유사하며, 중첩된 장을 절제해야 함.
- 염전 (Volvulus)
- 장이 360도 이상 회전하여 꼬인 상태로, 급성 산통을 유발.
- 절제해야 하는 부위가 소장의 50% 이상이면 안락사
- 교액 (Strangulating Obstruction)
- 노령마(10세 이상)에서 발생
- 장간막의 지방종이 소장을 감싸 폐색을 유발하는 경우.
- 지방종 제거 후 소장의 운동성을 확인하고, 필요시 절제 후 문합.
- 내부 허니아 (Internal Hernias)
- 복강 내 정상 또는 병변 구멍을 통해 소장이 감돈.
- Epiploic foramen incarceration : 초기 확진이 어려워 수술 단계에서 예후 불량
- Mesenteric incarceration : 절제 후 문합
- 대결장 변위 (Displacement of Large Colon)
- 대결장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혈액 공급은 유지됨.
-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며, 대결장을 정상 위치로 복원.
- 좌측 대결장 변위 혹은 끼임 (Left dorsal displacement or nephrosplenic entrapment of large colon)
- Left large colon이 복벽과 비장 사이에 끼인 상태
실전 문제
(답을 너무 따지고 들기보단 복습용으로..)
1. 산통의 종류 중 장의 회전으로 인해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는 무엇인가?
- 폐색성 산통
- 경련성 산통
- 염전
- 장 중첩
- 변위
정답: 3 (염전은 장이 360도 이상 회전하여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입니다.)
2. 산통의 주요 원인 중 과식 외에 어떤 요인이 산통을 유발할 수 있는가?
- 수분 부족
- 기생충 감염
- 급격한 사료 변경
- 운동 부족
- 장내 가스 저류
정답: 1, 2, 3 (모두 산통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장중첩이 발생할 때 가장 흔히 중첩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 소장
- 대장
- 회장
- 맹장
- 십이지장
정답: 1, 3 (소장과 회장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4. 산통의 수술적 치료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 장의 생존성 확인
- 장 내용물의 제거
- 복강 내 감염 예방
- 수술 후 회복 관리
- 장의 위치 복원
정답: 1 (장 생존성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5. 대결장 변위의 수술적 교정 시 가장 먼저 노출해야 하는 부위는?
- 맹장
- pelvic flexure
- 대장
- 소장
- 장간막
정답: 2 (pelvic flexure를 먼저 노출하여 교정합니다.)
6. 경련성 산통의 주요 증상으로 올바른 것은?
- 장음 증가
- 식욕 증가
- 배변 횟수 감소
- 심한 전신 땀 흘림
- 안정된 행동
정답: 1, 4 (장음 증가와 전신 땀 흘림이 주요 증상입니다.)
7. 장중첩의 수술적 치료에서 절제 후 가장 중요한 것은?
- 장 문합의 정확성
- 장의 혈액 공급
- 장의 운동성 회복
- 감염 예방
- 수술 후 통증 관리
정답: 1 (장 문합의 정확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8. 산통의 진단에서 직장 검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 장의 위치 확인
- 장의 팽만 여부 확인
- 장 내용물의 상태 확인
- 복강 내 출혈 여부 확인
- 장의 운동성 확인
정답: 2, 3 (장 팽만 여부와 내용물 상태 확인이 주요 목적입니다.)
9. 염전이 발생할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 복부 팽만
- 심한 통증
- 식욕 감소
- 배변 횟수 증가
- 장음 소실
정답: 2 (심한 통증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10. 산통의 수술 후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 수분 공급
- 장 운동성 회복
- 감염 예방
- 통증 관리
- 식욕 회복
정답: 1, 3 (수분 공급과 감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11. 대결장 변위의 수술적 교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 장의 혈액 공급 유지
- 장 내용물의 제거
- 장의 위치 복원
- 장의 생존성 확인
- 복강 내 감염 예방
정답: 1, 4 (혈액 공급 유지와 생존성 확인이 중요합니다.)
12. 산통의 치료에서 내과적 처치의 목표는 무엇인가?
- 통증 완화
- 장 운동 회복
- 체액 불균형 해소
- 장 독소혈증 치료
- 장 내용물의 제거
정답: 1, 2, 3, 4 (모두 내과적 처치의 목표입니다.)
13. 산통의 수술적 치료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접근법은?
- 정중 절개
- 측면 절개
- 후복부 절개
- 복강경 수술
- 복부 측면 절개
정답: 1 (정중 절개가 가장 흔히 사용됩니다.)
14. 산통의 수술적 치료에서 장의 생존성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평가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장의 색상과 연동운동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
- 장의 혈관 맥동과 장간막의 긴장도를 평가하는 것
- 장 내용물의 성상과 양을 측정하는 것
- 복강 내 출혈 여부를 확인하는 것
- 장의 위치와 이동성을 점검하는 것
정답: 1, 2 (장의 색상과 연동운동, 혈관 맥동과 긴장도를 확인하는 것이 생존성 평가에 중요합니다.)
15. 경련성 산통의 발생 원인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행동적 요인은 무엇인가?
- 말이 격렬한 운동 후에 찬물을 급격히 마시는 경우
- 말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해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
- 말이 새로운 사료에 적응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경우
- 말이 과도하게 사료를 섭취하는 경우
- 말이 장시간 방목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경우
정답: 1, 2 (격렬한 운동 후 찬물 섭취와 스트레스가 경련성 산통의 주요 원인입니다.)
16. 장중첩이 발생할 때 가장 흔히 중첩되는 장의 부위는 어디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소장의 회장과 맹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대장의 직장과 결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소장의 회장과 소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대장의 대결장과 소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소장의 십이지장과 회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 1, 3 (소장과 회장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어린 말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17. 염전이 발생할 때 장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중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 장의 색상과 장벽의 두께를 확인하는 것
- 장의 혈관 상태와 장간막의 긴장도를 평가하는 것
- 장 내용물의 성상과 양을 측정하는 것
- 장의 위치와 이동성을 점검하는 것
- 장의 연동운동과 혈관 맥동을 확인하는 것
정답: 1, 2 (장의 색상과 혈관 상태가 염전의 심각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합니다.)
18. 대결장 변위의 수술적 교정 시 가장 먼저 노출해야 하는 부위는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대결장의 pelvic flexure를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결장의 우측 결장을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결장의 좌측 결장을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결장의 맹장을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결장의 소장을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 1 (pelvic flexure를 먼저 노출하여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9. 산통의 수술 후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장 운동성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다.
- 통증 관리를 위한 진통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다.
- 식욕 회복을 위한 사료 급여가 가장 중요하다.
정답: 1, 3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및 감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20. 산통의 진단에서 직장 검사의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장의 위치와 이동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장의 팽만 여부와 내용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복강 내 출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장의 생존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 장의 색상과 연동운동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2 (장 팽만 여부와 내용물 상태 확인이 주요 목적입니다.)
21. 경련성 산통의 주요 증상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 장음이 증가하고 심한 전신 땀 흘림이 나타난다.
- 식욕이 증가하고 배변 횟수가 감소한다.
- 안정된 행동을 보이며 통증이 경미하다.
- 복부 팽만이 나타나고 장음이 소실된다.
-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뒷다리로 배를 차는 행동을 보인다.
정답: 1, 5 (장음 증가와 심한 통증이 주요 증상입니다.)
22. 산통의 수술적 치료에서 장의 생존성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평가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 장의 색상과 연동운동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
- 장의 혈관 맥동과 장간막의 긴장도를 평가하는 것
- 장 내용물의 성상과 양을 측정하는 것
- 복강 내 출혈 여부를 확인하는 것
- 장의 위치와 이동성을 점검하는 것
정답: 1, 2 (장의 색상과 연동운동, 혈관 맥동과 긴장도를 확인하는 것이 생존성 평가에 중요합니다.)
23. 산통의 수술 후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장 운동성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다.
- 통증 관리를 위한 진통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다.
- 식욕 회복을 위한 사료 급여가 가장 중요하다.
정답: 1, 3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및 감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