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7 Diuretics (이뇨제)
개요
이뇨제는 배설되는 오줌량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혈액이 순환하지 않아 생기는 질병에 많이 사용한다. 주로 이온 재흡수를 억제해 오줌의 이온 농도를 높임으로써 오줌량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이뇨제는 네프론의 각각 다른 부위에서 Na+ 이온 등의 재흡수를 감소시키는 콩팥의 이온 수송 억제제이다. 이뇨제에는 5종류가 있으며, 종류마다 그 작용 부위나 기전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Thiazide diuretics
Thiazide류는 항고혈압 효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뇨제로, sulfonamide 유도체이다. Chlorothiazide, hydrochlorothiazide 등이 이에 속하며, 원위세뇨관과 ascending loop of henle의 피질에서 주로 작용한다.
Na+/Cl-의 cotransporter를 억제하여 Na+의 재흡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세관액에서 Na+와 Cl-의 농도를 증가시켜 물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Na+와 Cl-의 배설을 증가시키고, Ca의 재흡수를 촉진하며, 말초혈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값이 싸고 편리하며 약효가 좋아 항고혈압제의 주요 약물로 쓰이며, 고칼슘요증이나 요붕증 치료제로도 사용한다. 부작용으로는 K 고갈로 인한 저칼륨 혈증, 저타륨혈증, 코칼슘혈증, 고요산혈증, 저혈압 등이 있다.
Loop diuretics
모든 이뇨제 중 체내에서 Na, Cl을 이동시키는 데 가장 높은 효능을 가지며, 오줌량을 가장 크게 증가시킨다. 강력한 효과를 지닌 furosemide와 그보다 더 강력한 torsemide가 있다. 루프 이뇨제는 Ascending loop of henle에서 Na+/K+/2Cl- cotransporter을 억제해 이온 재흡수를 감소시킨다. 콩팥기능이 빈약한 환자나 다른 이뇨제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에서도 신속히 작용하며, thiazide류와 달리 요중 Ca 함량을 증가시킨다. 강력한 이뇨작용을 필요로 하는 급성 폐부종, 흉수, 부종의 치료용도로 사용하며, 부작용으로는 이독성, 고요산혈증, 급성저혈량증 등이 있다.
칼륨 보존성 이뇨제
앞의 thiazide류나 loop 이뇨제는 칼륨 농도를 낮추는 반면, 칼륨 보존성 이뇨제는 potassium loss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이뇨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thiazide, loop 이뇨제와 병용하여 많이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spironolactone 등 알도스테론 길항제가 이에 속하는데, Na+를 재흡수하고 K+을 분비하는 transporter을 활성화시키는 알도스테론을 억제함으로써 재흡수를 차단하고 이뇨 작용을 일으킨다. 고혈압, 저칼륨혈증, 심부전증 등의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부작용으로는 반대로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Sodium channel blocker인 amiloride도 이와 유사하게 Na+ 재흡수와 K+ 분비를 억제하는 칼륨 보존성 이뇨제이다.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는 효능이 낮아 이뇨작용보다는 다른 약리 작용을 위해 자주 사용하며, acetazolamide가 대표적이다. 이 계열의 약물은 근위세뇨관에서 proton과 bicarbonate를 합성하는 탄산탈수효소를 억제하여 H+/Na+ countertransporter이 Na+ 유입을 활발하게 하지 못하게 한다. 녹내장 치료, 고산병 증상의 예방 등에 사용하며, 신결석 형성 등의 부작용이 존재한다.
삼투성 이뇨제
삼투성 이뇨제는 하행각에 작용하며, 오줌의 삼투압을 높여 물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mannitol과 같은 물질이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