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 Poxviridae:
    • 크기가 크고 구조가 특이함아래 형태학적 특징이 서술형출제. 주로 전자현미경 진단(negative-stain).
    • (A) 대부분은 벽돌(brick) 모양, 실타래 모양의 tubule 형태의 표면이 불규칙 배열.
    • (B) Parapoxvirus는 타원형(ovoid), 튜브 모양의 표면이 나선형(규칙적) 배열.

- Complex structure : core - lateral bodies - outer membrane - (envelope: 선택적) 구조 - 중화항체는 envelope에 부착 족보출제, 강의에선X - budding : envelope를 가짐. : EV(Envelope virus) - exocytosis, cell lysis : envelope를 가지지 않음. : MV(Mature virus) - envelope 유무와 관계없이 감염성을 가짐. envelope 있는 경우 세포에 더 쉽게 감염, 전신으로 잘 퍼져나감. (기본적으로는 enveloped virus로 분류하는 듯함.) - 선천 면역, 후천 면역에 반대로 작용하는 단백질(면역 조절 단백질; immunomodulating proteins)을 많이 포함함.

  • 보체, serine protease 억제제, chemokine 활성 조절 단백질, TLR signalling, IFN을 통한 바이러스 내성 등

Chemokine 활성 조절 단백질

  • chemokine에 부착하는 chemokine receptor homologous(유사체)
  • chemokine receptor에 부착하는, 활성이 없는 chemokine homologous(유사체)
  • chemokine 활성을 중화하는 단백질 등
  • chemokine 분해 효소를 직접 발현하진 않음 - 다른 DNA 바이러스와 달리, 전사와 복제에 필요한 모든 단백질을 유전체에 coding. → cytoplasm에서 replication
  • 07b. genus Capripoxvirus:

    • pathogenesis, clinical sign, 지역적 분포
    • 진단 : 특징적인 피부 병변 → 임상적 진단이 쉬움. / 전자현미경 분석(다른 genus와 구분 어려움), 바이러스 직접 분리. (세포질에 eosinophilic inclusion body^[바이러스 복제 과정에서 구성물질이 축적되어 나타나며, virion을 포함할 수 있음.])
    • 무는 곤충에 의해 기계적 전파
    • Goatpox, Sheeppox : 높은 폐사율 / 그리스, 베트남, 몽골, ..
    • Lumpy skin : 소의 피부에 딱딱하고 둥근 nodule, 유산 / 이집트,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
  • 08. Asfarviridae:

    • 이십면체(icosahedral) 구조. 전반적으로 육각형(hexagonal) 모양을 띤다.
    • ==enveloped virus== : envelope 포함하면 직경 200nm, capsid만 보면 180nm.
    • linear dsDNA virus
    • 170-180kb : 바이러스 중에서는 아주 큰 편.
    • 돼지의 monocytes - 특히 macrophages서 복제가 일어남.
    • endocytosis : 수용체 매개(receptor-mediated)로 일어남. fusion 아님
  • 08a. African swine fever virus:

    • DNA 바이러스 중 유일한 arbovirus이다.
    • ==진드기(ticks)==에 의해 전파됨. (진드기의 바이러스에서 기원함. 공주진드기과가 벡터로 작용하여 전파.)
    • Family Suidae(돼지)에만 감염함. (warthogs, bush pigs 등)
    • 4일 동안 지속되는 ==발열 → 식욕 결핍, 설사, 운동실조, 탈진, 호흡곤란, 구토, 비강이나 결막 삼출물, 귀와 주둥이의 발적이나 청색증, 코나 항문의 출혈== + 유산.
    • 야생 멧돼지(무증상 감염) + ==공주진드기(ornithodoros)==의 흡혈로 전파
    • 어린 개체에서 높은 농도의 바이러스 혈증이 일어나, 흡혈로 인한 전파 가능.
  • 나이든 개체는 지속 감염은 있지만, 바이러스혈증이 없어 진드기에게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음.

-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비인두(nasopharyngeal) 분비물과 분변을 통해 배출(`바이러스는 낮은 역가, 분비물에서 검출 안됨: X`), 축사 내 비말을 통한 접촉으로 전파, 물리적 전파(사람, 차량 등). 구강을 통해서도 전파. - ==호흡기로 감염== → pharyngeal tonsil에서 복제 → 림프절을 통해 비강 점막으로 흡수 → 백혈구, 적혈구 등 면역 세포들이 전신을 빠르게 순환하며 viremia 발생. - ==급성 폐사 개체 : 림프 장기와 혈관 장기의 병변이 많음==.
  • 09. Herpesviridae:

    • Bovine herpesvirus 1 :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infectious pustular vulvovaginitis
    • Bovine herpesvirus 2 : mammillitis/Pseudo-lumpyskin disease
    • Suid herpesvirus 1 : pseudorabies, Aujeszky's disease virus
    • Alcelaphine herpesvirus 1 & Ovine herpesvirus 2 : Malignant catarrhal fever
    • Alphaherpesvirinae : 숙주 범위가 넓지만, 자연 숙주범위에서는 대부분 억제됨.
    • Betaherpesvirinae : 숙주 범위가 매우 좁고, 복제 주기가 느림.
    • Gammaherpesvirinae : 숙주 범위가 좁음. lymphocyte에 잠복감염, 종양을 형성.
    • linear dsDNA, 125-290kb.
    • capsid 포함 직경 120-250nm, 정이십면체, enveloped.
    • 전자현미경상 단면 구조는 도넛 모양(torus) 안에 capsid가 들어있는 형태고, 실제 구조는 구에 가까움.
    • core-capsid-tegument로 구성됨.
    • α, β, γ - 이 3가지 mRNA는 cellular RNA polymerase Ⅱ에 의해 전사된다.
    • early α, β 단백질 → 효소 및 DNA-binding 단백질이 됨. (바이러스 복제와 전사 조절)
    • late γ 단백질구조 단백질이 됨.
  • 09a. Bovine herpesvirus 1:

    • Infectious Rhinotracheitis
    • 증상 : 호흡장애, 구개호흡, 깊은 기침소리, 장액성→화농점액성으로 진행하는 코 분비물, 결막염, 위장염 등
    • Infectious Pustular Vulvovaginitis (전염성 농포 외음부질염)
    • 증상 : 생식기에서 접촉을 피하기 위해 들려진 꼬리, 빈뇨/배뇨 시 고통, 생식기 분비물, 음순 부음, 입구의 붉은 점막과 작은 농포
  • 09b. Bovine herpesvirus 2 (유두염, Pseudo-LSD):

    • LSD보다 약하고, 피부 nodule 중심이 움푹 파져 있고, 표피의 표면 괴사가 일어나며, course가 더 짧음.
  • 09d. Canid herpesvirus 1:

    • 치료 : 체온 유지(raising body temperature)가 도움됨.
  • 09f. Equid herpesvirus 1:

    • 임신 말기(last trimester)에 주로 유산.
    • 부검 소견의 특이점..?
    • 사산 태아 : 황달, 태변 색으로 피부 착색, 부종, 간에서 다수의 창백한 괴사 병소
    • 병변 : 혈전증(thrombosis)을 동반한 혈관염(vasculitis), 허혈성 괴사, 무작위로 분포하는 출혈 영역
  • 09h. Suid herpesvirus 1 (Pseudorabies, Aujeszky):

    • host마다 다른 임상 증상의 발현
    • 1차 숙주 (돼지) : 고열, 변비, 운동불량, 경련 / 체중감소 / 유산 등
    • 유산돈의 20%는 처음에 불임이나, 나중에 다시 번식 가능
    • 포유돈 : 높은 폐사율
    • 이유돈 : 30시간 잠복기, 4-8일 동안 진행, 호흡기 증상
    • 후보돈 : 무증상
    • 2차 숙주 : 심한 가려움증 / 광란상태(frenzy) (소, 개) / 턱, 인두 마비 (개)
  • 09i. Alcelaphine herpesvirus 1 & Ovine herpesvirus 2 (악성 카타르성 열병):

    • 발열, 침울, leukopenia, bilateral corneal opacity(각막 혼탁), 광범위한 점막 erosion(침식), 전신성 림프절염(lymphadenopathy) pruritus는 오제스키
    • GI 점막 erosion → 출혈, 흑색변(melena)
  • 10. Adenoviridae:

    • 4가지 serologically distinct genera : serotype가 중요하다는 사실은 기억
    • linear dsDNA, 26-45kbp, 끝에 inverted terminal repeats.
    • non-enveloped. icosahedral. 직경 70-90nm.
    • 252 capsomer : 240 hexon(=base), 12 pepton(=spike).
    • 상대적으로 환경에서 stable하지만, 일반적인 소독제에 쉽게 불활화됨.
    • 혈구응집능이 있음.(agglutinate RBC)
  • 10a. Canine Adenovirus 1:

    • 개뿐만 아니라 여우, 늑대, 코요테, 스컹크, 곰
    • 개 : acute hepatitis + respiratory or ocular disease
    • acute disease(급성) : 치명적. 고열, 침울, 식욕부진, 구토, 혈변, 잇몸 점상출혈, 황달
    • 임상증상 : 고열, 무감각, 식욕부진, 갈증, 결막염, 복통, 눈/비강의 장액성 분비물, 구강 점막의 점상출혈, 빈맥, leukopenia, 응고 지연, DIC, 혈종, 경련 등 (빈뇨는 관련없음)
    • 7-10% 후에 증상이 사라진 후, 25%의 강아지는 bilateral corneal opacity(각막 혼탁)이 나타났다가 저절로 회복됨.
    • urine, feces, saliva를 통해 전파. 회복된 개는 6개월까지 오줌에 바이러스를 shedding.
    • 여우에서 CNS 질환. 간헐적 경련, 다리 마비.
    • 9-12주의 강아지에서는 모체이행항체의 방해
    • 중화항체가 높으면 질병이 더 잘 방어됨.
    • virus neutralizing : 응집하여 바이러스가 움직이지 못하게 / 바이러스가 receptor에 붙지 못하게 / uncoating 방해
  • 12. Parvoviridae:

    • ssDNA, 4.5-5.5kb (매우 작은 편)
    • 정이십면체, 직경 25nm, envelope 없음.
    • VP1과 VP2는 alternative splicing으로 1개의 mRNA에서 생성됨. 각각의 mRNA 아님 (VP2가 VP1 유전자 내부에 coding)
    • 환경에서 stable (60℃에서 60분까지 견딜 수 있음, pH 3-9 사이에서 안정)
    • 2개의 major ORFs를 가짐. 3’ half는 non-structural protein, 5’ half는 structural protein[CAP, VP, S]
  • 12a. Feline panleukopenia virus:

    • 40℃ 이상의 고열 24시간 이상 지속, 급사 발생할 수 있음.
    • 생존한 개체는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가, 3-4일 후 다시 고열. 무기력, 식욕 부진, 반복된 구토가 함께 나타남. 특히, 빈번하고 지속적인 출혈성 설사흡수장애성 탈수는 폐사에 이르는 주요 원인.흡수장애는 일어나지 않는다:X
    • 출생 직후 혹은 자궁 내 감염의 경우, 뇌의 형성 부전/위축이 나타남.
  • 12b. Canine parvovirus 2:

    • panzootic occurrnece : stability, fecal-oral route의 효과적인 전파. 개 군집에서 거의 universal 감수성.
    • 증상 : 구토(시작 증상), 식욕부진, 무기력, 출혈성 설사 등. (발열X)
    • Canine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심근염(Myocarditis syndrome)
    • 일주일령 강아지 : 급성 심부전, 급사
    • 약독화 생백신 널리 사용백신X 틀림. BUT 모체이행항체의 간섭으로 vaccine failure도 자주 발생.
  • 13. Circoviridae:

    • ==circular ssDNA==, 1.7-2.3kb
    • 직경 20-25nm, 이십면체(icosahedral), ==envolope 없음==. parvovirus와 함께, DNA virus 중 가장 작은 편
    • 환경 저항성이 높음 (60℃에서 30분 견딜 수 있고, pH 3-9에서 안정)
    • ambisense DNA ambisense 나오면 circo
    • Chicken aenmia virus는 다른 circovirus와 달리 12개의 trumpet-like 구조를 가짐.
    • Porcine circovirus 2는 면역이 자극되는 시기(lymphocyte 분화)에 복제 활발
  • 13a. Porcine Circovirus:

    • 전파 경로 : 직접 접촉, 매개물을 통한 전파, ==수직 전파(모체이행항체에도 불구하고 발생)==
    •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돼지 호흡기 질환 복합체) : 정확한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음 - 예를 들어, ==Mycoplasma hyopneumoniae를 비롯한 여러 바이러스의 혼합 감염으로 인해 기관지 간질성 폐렴(bronchointerstitial pneumonia)==이 발생하는데, porcine circovirus도 많이 관찰됨.
  • 14. Retroviridae:

    • 바이러스가 provirus로 integeration했을 때, 주변의 숙주 유전자 서열이 바이러스에 존재함(proto-oncogene)
    • 숙주세포의 유전자 서열이 복제 과정에서 변이되면서 oncogene 생성
    • oncogene을 가진 바이러스가 다른 세포에 감염하거나, proto-oncogene에 돌연변이가 유발되어 세포가 변형됨.
  • 14.2 Equine Infectious Anemia virus:

    • 만성형 감염 시 감염성 질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
    • 일생 동안 잠복 감염하며, 복제 과정 중 돌연변이 발생
    • gp90 (envelope 단백질)에 새로운 neutralizaiton-sensitive epitope을 가지는 변이 바이러스 출현
    • 초기 감염 때의 면역을 회피하고 반복적으로 질병 재발
  • 14.3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Acute stage : lymphadenopathy, 발열
    • Long subclinical stage : 무증상
    • Terminal stage : 면역 기능 상실, 기회 감염
    • 바이러스 특이항체 형성, CD8+ T cell 증가, CD4+:CD8+ T cell ratio 역전 등이 나타남.
  • 15. Reoviridae:

    • 10-12 segmented dsRNA, 길이는 20kbp 내외 (Reo, Biranviridae만 유일하게 dsRNA임 (둘 다 noneveloped))
    • non-enveloped, 구형, 직경은 55-80nm.
    • Genetic reassortment (=antigenic shift)가 같은 genus나 serotype끼리도 발생함.
    • antigenic shift : 다른 바이러스가 segment를 서로 교환하여 나타나는 결과 (같은 segment를 여러 개 갖지 않음)
    • antigenic drift : 염기서열에서 mutation이 오랜 시간 누적 발생
    • Orthoerovirus의 σ1 단백질 : 표적 세포에 대한 부착을 매개함.

Orthoreovirus의 특징 보충설명

  • Outer cpasid : σ3 + μ1C complex
  • subviral particle 2개
    • Infectious subviral particle (ISVP) : outer capsid 없음. μ1 단백질만 남음.
    • Core particle : outer&middle capsid 없음. σ1 단백질이 돌출된 spike를 형성.
    • outer capsid가 제거되어도 남아있는 σ1 단백질 분자가 cell attachment에 필요한 부분을 형성해 감염성 부여. - Orbivirus, Coltivirus, Seadornavirus 등 일부 바이러스는 절지동물 벡터에 의해 동물에게 전염됨. - Rotavirus의 Group A는 실온 보관해도 수 개월 안정, 냉동 보관 시 수 년간 안정.
  • 15.1 Bluetongue virus:

    • Culicoides(등에모기속)에 의해 전파
    • 특정 양 품종, 야생 반추동물.
    • 며칠간 발열, 구강 점막의 충혈, 과도한 구강 분비물, 입의 거품.
    • 심한 경우 혈관 손상으로 인한 혀의 청색증 (“Blue tongue”).
    • 약독화가 덜 된 백신은 병원성 회복 및 임상증상 유발 가능 (위험)
    • 불활화 백신은 안전하지만 다양한 혈청형에 대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반복접종 필요
  • 15.2 African horse sickness virus:

    • 말에서 매우 치명적 (폐사율 ~90%) (노새, 당나귀에서는 그 정도 X)
    • Culicoides에 의해 전파, 늦여름-초가을 발생
    • 중증의 진행성 호흡곤란, 폐사
    • 발열(3~6일) → 특징적인 안와 눈꺼풀 부종, 결막에서 충혈&출혈 → 입술, 혀, 하악과 상악 사이, 후두부의 부종, 목과 흉부의 피하부종
    • 흡혈 곤충에 물리면 → 국소 림프절에서 먼저 복제되고 → 다른 조직과 장기로 전파 (1차적으로 macrophage, dendritic cells, 내피세포에서 복제)
    • 폐의 팽창, 무거움. (정상 폐는 쪼그라들어야 함)
    • 심낭수, 흉수, 심낭 출혈, 부종성 흉부 림프절, gantric fundus의 울혈 등으로 인함
  • 15.3 Rotavirus infection:

    • 우유를 많이 섭취 : 장상피에서 lactase의 분비 감소 → 많은 양의 우유가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장관 내에 존재 → 삼투압 장애, 많은 양의 설사
    • 주로 어린 양에서 전염성 설사를 보임. + 송아지, 새끼 돼지, 망아지
    • 마우스의 신생 개체 : EDIM(epizootic diarrhea of infant mice) 발생 (흡수 장애, 계속 먹지만 왜소해짐, 폐사율은 낮음.)
    • 어린 토끼 : epizootic의 경우 아주 높은 폐사율. / enzootic의 경우 m-Ab가 transplacentally하게 전달되어 이환율은 높지만 폐사율은 낮음.
    • 조류 : 어린 칠면조에서 가장 흔함. 설사, wet litter, litter eating, 탈수, 증체량 감소, 안절부절 못함, huddling, 발육 부진, 폐사 등.
    • 바이러스 감염 결과 소장 villi 끝의 (최종 분화된) enterocyte가 파괴됨. → 장에서 흡수장애, 소화장애 발생
    • 손상된 villi로 인해 lactase 같은 이당류 분해효소가 줄어듦 → glucose-coupled sodium transport 감소됨 → 소화되지 않은 모유가 남아 세균 증식과 삼투압 불균형을 유발
    • 바이러스의 NSP4 단백질의 enterotoxin의 작용과 바이러스로 유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인해 → 장 상피의 분비 pathway가 활성화 → 전해질을 장관 내로 분비, 설사 증상 심하게 유발 (“secretory diarrhea”)
  • 17. Paramyxoviridae:

    • enveloped, pleomorphic
    • 바이러스는 150-300nm로 큰 편, 큰 spike 단백질이 표면을 덮음.
    • single linear (-) ssRNA, 13-19kb.
    • F (fusion) : 낮은 pH에 의존 X 안배움,족보
    • HN(=H=G) (hemagglutinin-neuraminidase) : Hemadsorption(적혈구흡착) 안배움,족보
    • syncytium을 형성함.
    • 바이러스의 F protein(fusion protein)이 proteolytic cleavage를 거쳐 F1 형태로 활성화되면 주변 세포의 세포막과 fusion된다. (F1 단백질의 말단에는 hydrophobic domain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세포막과 바이러스의 membrane이 fusion) 주변 세포와 합쳐서 핵이 여러 개인 큰 세포가 관찰된다.
    • Sequential interrupted synthesis mechanism : 5’에서 3’으로 전사, 하나의 유전자가 전사된 후 멈췄다가 다음 유전자의 전사가 일어남.
  • 17.1 Rinderpest virus:

    • 1920년 이후 OIE 발족의 원인. 집중적인 전 세계적 노력으로 지금은 근절된 것으로 여겨짐.
    • 소, 야생 동물을 포함하는 우제류(artiodactyles)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높은 질병.
    • 3-5일의 잠복기 후, 체온 급상승, 모유 생산 감소, 호흡곤란, 수유 중단결막, 구강, 비강 점막의 울혈 → 장액성 또는 점액성의 안구비강(oculonasal) 분비물 → 전체 구강 상피에서 광범위한 erosion, ulceration (병변 서로 유착) → GI tract 증상; 출혈성 설사, 탈진 → 체온 급격 하강, 탈수, 쇼크로 폐사 가능
    • 임상 증상 나타나기 전, 잠복기 동안 다량의 바이러스 배출.
  • 17.2 Canine distemper:

    • 심각한 중추 신경증상 (간질 발작, 감각운동 실조, 하반신 마비 등)
    • 이봉열(biphasic fever), 경척증(발바닥 경화)는 특징적인 증상 족보에만 나옴
    • 강아지에게 약독화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서는 모체 이행항체가 없어야 한다.
    • 이를 위해서 monograph 진단 방법을 사용하거나 modified live virus vaccine을 생후 6주령부터 2-4주 간격으로 16주령까지 접종한다.
    • 백신 break가 야기될 수 있음.
  • 17.3 Hendra & Nipha virus:

    • 사람에게 전파되는 주요 벡터는 peropus 박쥐로 알려져 있음.
    • 사람에게 전파되는 이유는 박쥐의 섭식환경이 변화하는 시점에 사람과 접촉하기 때문으로, 박쥐의 침이나 분변, 소변, 태반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주요 원인
    • 짧은 임상증상, 빠른 폐사
    • 사람에서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냄.
    • 고양이, 기니피그 감염 가능. 토끼, 마우스 감염되지 않음.
  • 18. Rhabdoviridae:

    • intracytoplasmic iniclusion (Negri bodies)
    • Attenuated transcription (=stop–start transcription=stuttering transcription)
    • 전사된 결과 3’ 말단에 있는 유전자일수록 더 많이 전사되고 5’에 갈수록 적게 전사되는 것을 말한다.
  • 18.1 Rabies:

    • Rabies 의심동물에 물린 경우 상처 부위를 비누를 이용해 아주 강하게 씻어내야 한다. 노출 정도를 확인하고 노출된 것이 의심된다면 지역 공중보건 공무원에게 즉시 알려야 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물린 이후에 접종받는 백신도 효과가 있으니 백신을 접종한다.
    • Rabies의 야생 동물 reservoir control을 위하여 사용되는 bait vaccine
    • 야생동물 분야에서는 약독화 생백신이나 재조합 백신이 들어있는 미끼백신을 사용한다.
  • 19.1 Marburg & Ebola Hemorrhagic fever virus:

    • control : 질병이 발생한 국가로부터 영장류 수입 금지, 대부분의 수입국은 수입 검역 시설 운영, 국제 영장류 운송 및 수입 표준 준수
  • 24.1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

    • Porcine Respiratory Coronavirus는 처음에 TGE의 gene deletion으로 발생했으나, 지금은 더 흔한 질병이 됨.
    • 어미 돼지에게 사체로부터 획득한 혈장을 구강투여함. / 1-2주령 사이 새끼돼지들이 폐사하면, 폐사체의 장 샘플에서 바이러스를 추출, 정제, 모돈에게 급이.
    • 1-2주 내에 면역이 부스팅되고 초유에서 높은 농도의 IgA를 분비한다.
  • 24.2 Porcine Respiratory Coronavirus (PRCV):

    • TGE 바이러스의 5’쪽 deletion muation → tropism이 장관계가 아니라 호흡기로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