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동물에서 하절기에 소화기 질환 빈번

A. 소화궤양질환(peptic ulcer) & 위-식도 역류질환(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2가지 원인 : 1) Helicobacter pylori 감염(Gram-), 2) NSAIDs 항염증제 사용
구분약물내용
A01. 항균제 (H. pylori)-
  • H. pylori 감염 박멸
  • 4중요법 (PPI + bismuth subsalicylate + metronidazole + tetracycline)
    통상 90% 이상의 박멸율을 나타내는 제 1선 선택제
  • 3중요법 (PPI + amoxicillin + Clarithromycin)
    clarithromycin 내성율이 낮고, macrolide 항생제에 노출된 적 없는 경우에 선호
A02. H2 수용체 길항제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nizatidine
  • 작용기전 - 히스타민의 H2 수용체 결합을 경쟁적으로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감소시킴
  • 치료용도 - 소화성 위궤양, 급성 스트레스성 궤양, 위식도 역류성 질환(GERD)
A03. PPIsomeprazole, lansoprazole, dexlansoprazole, esoprazole
  • 작용기전 - 위벽세포의 H+/K+ ATPase 양성자 펌프에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90% 이상 억제
  • 치료용도 - 위산 생성 억제, 소화성 궤양 치료에 H2 길항제보다 우수함, GERD, 미란성 식도염, 십이지장궤양 치료와 스트레스궤양 예방에도 선호됨
A04. Prostaglandinsmisoprostol
  • 작용기전 - 산(HCl) 분비를 억제하고, 점액과 HCO3의 분비를 자극하여 세포보호작용을 함
  • 치료용도 - NSAIDs에 의해 야기되는 위궤양의 예방
A05. 제산제(Antacids)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 작용기전 - 약염기로서, 위산과 반응하여 물과 염을 형성함으로써 위산을 감소시킴, pepsin 활성도 함께 감소
  • 치료용도 - 속쓰림, 소화성궤양질환, GERD 증상 완화
A06. 점막 보호제sucralfate(수크랄페이트)
  • 작용기전 - 점막의 상처나 염증을 감소, 궤양 치료(상피세포와 복합체 gel을 형성하여 pepsin과 산으로부터 궤양을 보호)
  • 치료용도 - 십이지장궤양 치료, 스트레스궤양 예방

B. 항구토제

  • 많은 환자들이 화학요법 치료에서 오심이나 구토를 경험함
  • 화학수용체 방아쇠 영역(CTZ^[chemoreceptor trigger zone]은 제4뇌실 말미의 최후야(postrema area)에 위치하는데, BBB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혈액이나 뇌척수액 내의 화학적 자극에 직접 반응한다. 또, 연수에 위치한 구토중추(vomiting center) 는 구토의 운동기전을 조정한다.
  • 화학요법제는 직접적으로 CTZ나 구토 중추를 자극한다. 종종 화학요법제의 냄새나 색깔도 고위 뇌중추를 자극하여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또 위장관계의 세포 손상을 초래하거나, 소장점막의 장크롬친화 세포로부터 serotonin(5-HT3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구토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유리시키기도 한다.
구분약물내용
B01. Phenothiazines (페노치아진류)prochlorperazine
  • 작용기전 - CTZ의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
  • 치료용도 - fluorouracil, doxorubicin 같은 항암제 사용 후 효과적으로 작용
B02. 5-HT₃ 세로토닌수용체 차단제ondansetron, granisetron, palonosetron, dolasetron
  • 작용기전 - CTZ의 세로토닌(5-HT₃) 수용체를 차단
  • 치료용도 - 작용지속시간이 길고 효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 모든 단계의 구토유발성 치료에 효능
B03. 치환된 benzamides (벤자미드류)metoclopramide
  • 작용기전 - CTZ에서 도파민 수용체 억제
  • 치료용도 - 구토 유발하는 항암제 cisplatin에 효과적
B04. butyrophenones (부티로페논류)haloperidol, droperidol
  • 작용기전 - 도파민수용체 차단
  • 치료용도 - 중증도로 효과적인 항구토제
B05. benzodiazepines (벤조디아제핀류)lorazepam, alprazolam
  • 작용기전
  • 치료용도 - 항구토 효력은 낮고 진정 목적으로 사용
B06. corticosteroids (피질스테로이드류)dexamethasone, methylprednisolone
  • 작용기전 - prostaglandin과 관련 있을 것으로 예상
  • 치료용도 - 면역억제 목적이 주, 일부 항구토 작용도 있음, 타약물과 즐겨 병용
B07. substance P+neurokinin-1 수용체 길항제aprepitant, rolapitant
  • 작용기전 - 구토중추의 neurokinin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substance P의 작용을 차단
  • 치료용도 - 고도/중증도 구토유발 화학요법제에 적용 (dexamethasone, 5-HT₃ 길항제와 병용)

병용요법 dexamethasone(B06)
+ metoclopramide(B03)/5-HT₃ 길항제(B02)/butyrophenone(B04)/benzodiazepines(B05)

C. 지사제(Antidiarrheals)

  • 설사의 주요 원인은 위장관의 운동성 증가, 수분의 흡수 감소
구분약물내용
C01. 장운동 억제제diphenoxylate, loperamide- 내장 신경계의 시냅스 전 아편 수용체 활성화 → 아세틸콜린 유리 억제, 연동운동 저하
C02. 흡착제(Adsorbents)methylcellulose- 장내독소나 미생물을 흡착, 장점막을 보호함, 효과 낮음
C03. 수분 및 전해질 약물bismuth subsalicylate- 여행자 설사에 이용, 장내 수분 분비 감소시킴

D. 완하제 (Laxatives)

  •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

E. 과민성 대장 증후군




F. 염증성 장질환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