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ammation 목차

File족보
병리1(B) - 3.1 Inflammation
  • 병리학이란? 세포, 조직, 기관에서 병적 상태를 구분하고, 병적 상태에 대한 세포와 조직의 반응과 기전을 연구하는 학문
  • 염증의 5대 주요반응은 heat, redness, swelling, pain, loss of function
    그 중 국소 반응은 redness, swelling, pain
  •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그룹별로 나누고, 원인들을 나열하시오.
    병원체(세균,바이러스,..), 화학적 독성물질, 기계적/열 손상(열,전기,방사선,추위), 면역 반응(항원항체반응, 과민반응, 혈청병, 자가면역질환)
  • 염증의 4대 주요 성분 - plasma protein, fixed tissue cells, leukocytes & platelets, inflammatory mediators (+간단한 설명까지!!)
    - plasma protein의 구성 성분은 albumin, immunoglobulin, zymogens
    - fixed tissue cell에는 비만세포(mast cell), 섬유아세포(fibroblast), 혈관내피세포(endothelium) 등
  • Newly synthesized inflammatory mediator 3개 이상
    prostaglandin(←모든 백혈구, 혈소판, EC) / leukotrine(←모든 백혈구) / Platelet-activating factor(←모든 백혈구, EC) / Cytokine(←림프구, 대식세포, EC)
  • preformed mediators 종류, 기능, 분비하는 세포
    histamine (혈관 투과성 증가 ←비만세포,호염구,혈소판) / serotonin (혈관 투과성 증가 ←혈소판) / lysosomal enzyme (식세포 작용 도움 ←호중구, 대식세포)
    +) bradykinin(←혈관내피세포, 백혈구) / substance P(←비만세포, 호염구, C-reactive 신경섬유)
병리1(B) - 3.2 염증의 Classification
  • 염증의 분류 기준: 염증세포의 종류 / 정도 / 경과 / 기간 / 분포 / 삼출물 / 해부학적 위치
  • : neutrophil은 polymorphonuclear cell, polys, polymorphs, granulocyte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운다.
  • : 토끼와 기니피그 같은 동물에서는, 호중구의 역할을 하지만 호산성의 과립이 보이기 때문에 heterophil이라고 부른다.
  • 호중구의 과립 종류, 함유물질
    azurophilic granule : myeloperoxidase, degratative enzyme(lysozyme, neutral protease, acid hydrolase 등)
    neutrophilic specific granule : degrative enzyme, lactoferrin, Vt B12 binding protein 등
  • opsonin은 serum protein 중 일부로, 이물질에 부착하여 호중구의 탐식 작용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2가지 opsonin의 구분
    Ig : 침입한 세균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져서, 세균에 달라붙어 적군임을 알린다.
    C components : 처음 감염된 것이라 항체가 없을 경우- C3가 C3a, C3b로 쪼개지고 C3b가 세균에 붙어 적군임을 알린다.
  • 호중구 이상 중 Pelger-Heut Anomalystem cell lobulation의 이상이다.
  • Chediak-higashi syndrome은 호중구의 chemotaxis를 저해하여 방향을 찾지 못하게 한다.
  • MBP(major basic protein)는 eosinophil의 기생충 방어에 중요한 성분이다.
  • eosinophil이 항염증작용 할 수 있게 해 주는 성분은?
    histaminase, kinase, arylsulfatase, membrane-associated enzyme, lysophospholipase
  • mast cell은 피부, 소화기 점막, 호흡기 같은 결합조직에 많이 존재한다.
  • mast cell은 heparin을 합성하여 염증 부위에서 항응고 작용을 하며,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이동을 돕는다.
  • mast cell degranulation을 유도하는 factor는 IgE cross linking, anaphylatoxins(C3a, C4a, C5a), physical stimuli, substances P가 있다.
  • 존재하는 부위에 따라 달라지는 macrophage의 이름을 7개 이상 명시
    Kupffer cell((간), peritoneal macrophage(복강), alveolar macrophage(폐), microglial cell(CNS), Langerhan’s cell(피부), osteoclast(골수), mesingial cell(신장), synovial cell(관절), histiocyte(결합조직) 등
  • macrophage의 주요 기능을 5가지 이상 열거하시오.
    phagocytosis, acessory cell function, secretory function, wound healing, cytokine 분비, antigen presenting, inflammatory(IL-1, IL-6, TNF-α) & anti-inflammatory(IL-10) function
  • 바이러스나 자가면역질환이 있을 경우 lymphocyte와 macrophage가 관여한다,
  • peracute inflammation이란, 원인 노출 후 04시간 이내에 조직학적 및 육안적으로 관찰 가능한 병변이나 증상 없이 동물이 빠르게 죽는 염증 반응이다.
  • serous inflammation 삼출물의 특징을 suppurative와 비교
    장액성 염증의 삼출물은 혈장 단백질의 농도가 비교적 낮고, leukocytes도 조금 존재한다.
    반대로 화농성 염증의 삼출물은 혈장 단백질의 농도가 높고, leukocytes가 많다.
    또한 장액성 염증의 삼출물은 거의 투명한 watery 액체인 데 반해, 화농성 염증은 고름과 fibrin이 섞여 회백노란색의 끈적한 삼출물이 나온다.
  • 카타르성 염증 삼출물의 특징은 약간 불투명하고 끈적한 젤라틴성 액체, goblet cell과 mucous gland가 많음 / 현미경학적 특징은 과형성된(hyperplastic) 상피세포, goblet cell, 분리된 결합조직
  • 노령견의 다양한 장기에서 diffuse inflammation이 관찰되었을 때, 바이러스성/독성 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병리1(B) - 3.3 Acute Inflammation (급성 염증 반응, AIR)
  • neutrophil의 염증 부위 이동 시 유착 단계
    1) adhesion molecules: selectin, integrin이 나와서 백혈구를 염증부위로 유도한다.
    2) tethering(capture): selectin family와 수용체 사이에서 약한 결합이 일어나서 백혈구가 내피세포 쪽으로 가까워진다.
    3) rolling: L-selectin, E-selectin이 결합하고, TNF-α, E-selectin, β2 integrin 등의 물질이 작용해서 백혈구가 내피에 붙기 위해 속도가 느려진다.
    4) firm adhesion: L-selectin, E-selectin의 결합을 끊고 백혈구의 integrin과 내피세포의 ICAM molecule이 결합하면서 firm adhesion이 일어난다.
  • 염증반응에서 chemokine의 기능 : chemotaxis에 관여하는 cytokine의 일종으로, 호중구, 림프구, 대식세포 등을 삼출물로 끌어들이고 염증세포를 활성화한다. 항바이러스 작용, 면역반응 조절, 혈관신생 등에도 관여한다.
  • 염증 반응에서 steroid는 phospholipase A2의 활성을 방해한다.
  • COX-1 inhibitor에는 aspirin, indomethacin, ibuprofen, naproxen
    COX-2 inhibitor에는 celecoxib, rofecoxib, valdecoxib, lumiracoxib, etoricoxib
  • 통증을 일으키는 염증 매개 인자는 histamine, bradykinin, prostaglandins(PGE₂), mechanoreceptor, thermoreceptor 등
  • 구역질(nausea)에 관여하는 염증 매개 인자는 cytokines: IL-1, TNF, high mobility group factors
  • 보체 활성을 유발하는 인자 : 항체(classical pathway), LPS, polysaccharide, plasma protein (alternative pathway)
  • septic shock 시 주요 병리 및 임상소견 : Hemodynamic derangement (혈행 장애), Abnormal blood temperature (비정상적인 고열), progressive hypoperfusion of the microvasculature (혈액 흐름 이상), hypoxic injury (저산소증 손상), adjustments in blood leukocyte and platelets,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파종성 혈관내 응고), multiple organ failure (다장기부전, 생명 유지에 필요한 장기들이 동시에 이상), death
병리1(B) - 3.4 Chronic inflammation (만성 염증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