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8] 소화기계 수술 (2) - 식도의 수술|[18] 소화기계 수술 (2) - 식도의 수술]]
-
[[#[18] 소화기계 수술 (2) - 식도의 수술#Ⅰ. 일반 원칙 및 기법|Ⅰ. 일반 원칙 및 기법]]
-
- [[#5) 수술 기법#목 식도 접근|목 식도 접근]]
- [[#5) 수술 기법#개흉을 통한 앞쪽가슴식도의 접근|개흉을 통한 앞쪽가슴식도의 접근]]
- [[#5) 수술 기법#Esophageal replacement|Esophageal replacement]]
- [[#5) 수술 기법#Patching the esophagus|Patching the esophagus]]
- 6) 수술 치유
- 7) 수술 후 관리 및 평가
-
[[#13주차 (5/29) :#Ⅱ. 주요 질병|Ⅱ. 주요 질병]]
- [[#Ⅱ. 주요 질병#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
- [[#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1) 일반 고려사항 및 임상 병태생리|1) 일반 고려사항 및 임상 병태생리]]
- [[#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2) Diagnosis|2) Diagnosis]]
- [[#2) Diagnosis#Physical Examination Findings|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 [[#2) Diagnosis#Diagnostic imaging|Diagnostic imaging]]
- [[#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3) Surgical treatment|3) Surgical treatment]]
- [[#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4) Surgical Technique|4) Surgical Technique]]
- [[#4) Surgical Technique#Endoscopic removal|Endoscopic removal]]
- [[#4) Surgical Technique#Balloon catheter|Balloon catheter]]
- [[#4) Surgical Technique#Surgical removal|Surgical removal]]
- [[#Ⅱ. 주요 질병#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
-
- [[#Ⅱ. 주요 질병#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
- [[#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2) Surgical Technique|2) Surgical Technique]]
- [[#2) Surgical Technique#Bougineage (Bougie)|Bougineage (Bougie)]]
- [[#2) Surgical Technique#Balloon Dilation|Balloon Dilation]]
- [[#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2) Surgical Technique|2) Surgical Technique]]
- [[#Ⅱ. 주요 질병#3. Esophageal Diverticula (식도게실, 식도곁주머니)|3. Esophageal Diverticula (식도게실, 식도곁주머니)]]
- [[#Ⅱ. 주요 질병#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
-
- [[#Ⅱ. 주요 질병#4. Esophageal Neoplasia (식도 종양)|4. Esophageal Neoplasia (식도 종양)]]
- [[#Ⅱ. 주요 질병#5. Hiatal Hernia (식도열공)|5. Hiatal Hernia (식도열공)]]
- [[#2) Surgical Technique#Treatment|Treatment]]
-
식도는 통과하는 기능밖에 없는 아주 단순한 구조지만,
-
위치상 심장/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식도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이 치명적.
9주차 (5/1) :
[18] 소화기계 수술 (2) - 식도의 수술
Ⅰ. 일반 원칙 및 기법
1) 정의
- Esophagotomy (식도절개술) : 안쪽 내용물을 꺼내거나 확인할 때
- Esophagectomy (식도절제술) : 종양, 괴사된 부분 등
- Esophagostomy (식도누관술) : 식도에 영양관 장착
- Regurgitation (역류, 역출) : 위내에 들어가지 못한 식이가 도로 나오는 것. 소화액 등의 혼입이 없음.
- Vomiting (구토) : 위내로 들어갔던 식이가 도로 나옴.
2) 수술 전 고려사항
- 사족보행을 하는 반려동물은 식도가 수평이다 → 음식물이 저류되기 쉬움.
수술이 필요한 식도 질환 (BOX 20-10)
- 이물, 종양, 천공(perforation),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 식도협착(strictures)
- rare : fistulae, gastroesophageal intussusception(위식도중첩), diverticula(식도게실), cricopharyngeal achalasia(식도주위근육에 의해 식도가 좁아짐)
- Esophageal perforation(식도천공) : 응급수술 필요
- 식도는 종격동 내에 위치함 → 종격동염(septic mediastinitis) 유발, 심장 등에도 영향
- 식도 천공 의심 소견 : 종격동염(septic mediastinitis), 종격동기종(pneumomediastinum), 흉막삼출(mediastinal or pleural effusion) 등
- 천공이 의심될 경우 바륨 사용 금지 → 수용성 요오드 or 등장성 제제(iohexol, iopamidol) 사용 (폐수종 방지)
- 천공 확실하면 조영은 하지 말 것.
식도 질환의 임상증상 (BOX 20-11)
- 역류, 기침, 호흡곤란
- 삼킴곤란(dysphagia), 침흘림증(ptyalism)
- 열, 체중감소, 식욕변화(altered appetite)
10주차 (5/8) :
Esophagoscopy
수술 전 관리
- 가벼운 식도염 → 금식 : 성숙 동물에서 12-18h
- 주증 식도염 → 제산제
- omeprazole (강력한 제산제)
- metoclopramide (장 운동성 증가)
- cisapride (식도 운동성 증가)
- sucralfate (점막 코팅)
- 어린 동물(2주-6개월)은 너무 오래 절식하면 저혈당증 발생 → 4-8h 절식
- 예방적 항생제 (ampicillin, cephalosporins - cefazolin) 등
- Esophagitis, Aspiration pneumonia의 치료
3) 마취 시 고려 사항
-
Pulmonary shunt의 예방 : 강제 환기
- 장시간 누워 있으면 위의 폐가 아래를 누르게 됨 ⇒ pulmonary shunt ⇒ 무기폐
- 환기를 시켜서 무기폐 상태를 없애고 폐수종을 개선 : 압을 걸어 폐포를 확장시켜 줘야 함.
- Tidal volume (1회 환기량) 은 보통 10ml/kg인데, 강제 환기 시 15ml/kg 정도 됨
-
Aspiration pneumonia : 양압 환기(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 횟수를 줄이고 tidal volume을 많이 가져가서 효율적으로 환기
-
Thoracotomy (개흉) 시 : tidal volume을 낮춰서 술야 확보
- Vt 6-10ml/kg (폐가 과도하게 팽창하면 술야를 가릴 수 있으므로 volume 낮춤)
- Ispiration time :1-1.5sec (너무 길면 정맥 환류와 폐포 확장을 방해함)
-
Prolonged I/T : alveolar capillaries & impede venous return
-
Rapid induction (propofol), intubation
-
Nitrous oxide : (지금까지도 대체되지 않을 만큼 적합한 기체 마취제. 50% 또는 60% 희석)
- diffusion hypoxia : 각성 시에 확산성 저산소증
- 구토와 토출이 있다면 aspiration pneumonia의 위험성 반드시 유의.
-
예방적 항생제 (IV 투여)
- clindamycin, ticarcillin, clavulanic acid, cafoxitin, .. (수술 후 2주 정도)
4) 해부학적 구조
- 안쪽에서부터
- Mucosa (점막)
- Submucosa (점막하)
- Muscularis (근육층)
- Adventitia (외막, 얇은 막) - serosa 아님
- serosa가 없어서 유합되는 데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림.
- Canine : linear mucosal striations
- Feline : 조영(positive contrast) 시 herringbone pattern
- 소화관에 바륨 조영제를 많이 쓰지만, 식도 쪽에 조영제를 쓸 때는 짙게 써야 함.
- 혈류 공급
-
- 경부(cervical) 식도 : subclavian a., cr. & cd. thyroid arteries에서 분지한 가지들
-
- 흉부(thoracic) 식도 : bronchoesophageal artery의 caudal 2/3,
-
- 복부(abdominal) 식도 : left gastric & left phrenic artery에서 분지한 가지들
-
5) 수술 기법
- 식도는 중앙-왼쪽-오른쪽-왼쪽 이렇게 굽어져서 들어가기 때문에 접근에 유의해야 함.
- 경부 식도는 ventral midline cervical (누운 상태에서 정중앙)
- 흉부 식도는 오른쪽으로 눕힌 상태에서 왼쪽으로 approach
식도 수술의 원칙
- 가장 적합한, 유리한 접근법을 쓰지 않으면 안 됨.
- 아주 gentle하게, 세심하고 꼼꼼하게 수술해야.
- Omentum은 혈관의 그물망. 감염된 부분을 감싸 버리거나 막아주고, 혈관에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관. 하지만 식도에는 없기 때문에 healing이 늦어진다.
- 호흡으로 인해 계속 움직임.
- Longitudinal stretching (종으로 늘어나는)에 약하다. longitudinal 확장 불가. 횡으로는 늘어나지만 종으로는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절제하고 다시 붙이면 장력이 엄청 걸림. 극히 일부만 절제 가능.
- 박리할 때는 아주 세심하게, 혈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 식도 내강이 오픈되기 전에 suction
- 구강으로부터 suction + 절개하더라도 최소한으로 절개해서 안쪽에 catheter 넣어서 suction
- ~ 해도 힐링이..
- 절제를 해야 하는 경우 3-5cm만. 더 많이 잘라야 한다면, 식도를 대체해줘야.
- Incorporate submucosa with all sutures : 모든 suture에는 submucosa가 적절히 포함되어야 함.
- One-layer closure : 전층을 포함, knot이 extraluminal하게
- Two-layer closure : 점막과 점막하층을 suture했을 때 knot이 intraluminal하게 (Suture가 안에서부터 시작)
- 흡수성 봉합사 - 물론 흡수성이지만 조직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healing을 방해할 수 있음, 가급적 바깥쪽에 knot를 둠
- Tension-relieving techniques : 종으로 tension이 걸려있기 때문에 절제되는 순간 쭉 벌어짐. 종으로 치밀하게 tension이 걸린 상황에서 cutting만 되어도 쭉 벌어짐.
- 근육도 2개의 층으로 되어 있어서 .. 쭉 벌어짐 .. suture line에는 tension 안 걸림.
- gastric advancement : 위가 횡격막을 통해 위로 올라오는 형태 →
- Sealing and support : 혈류를 충분하게 공급, 종격동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 경부에 있는 근육을 떼어 suture했던 부위를 wrapping
11-12주차 (5/22, 23) :
목 식도 접근
- 기관을 오른쪽으로 당겨 왼쪽의 식도를 노출
- Recurrent laryngeal nerve > 신장 근처에서 좌우측으로 돌아서 후두/기관/식도로 다시 올라옴. 끊어지지 않도록 주의.
개흉을 통한 앞쪽가슴식도의 접근

- 피부를 절개하고 왼쪽 4-5번 늑간으로 접근
- 늑골의 후연(뒤쪽)에 신경, 동정맥 → 앞쪽으로 절개
- 폐로 접근할 수 있는건 3, 4, 5 ICS
- Aorta가 올라와서 뒤쪽으로, left costocervical/subclavian artery도 뻗어나옴
- 횡격막,
- interostal arler
Esophageal replacement
- 피부를 이용하면 단점 : 원래 식도에 비해 신축성이 떨어짐, 개의 경우 털이 자란다. 작은 시기.
Patching the esophagus
- 근육을 덮어준다 : serosa가 없는 부위이다 보니, 주위에 있는 근육을 뜯어서 suture 윗부분에 덧대주기만 해도 지지 & 충분한 혈류 공급 & sealing 효과
- Omentum으로 덮어준다 : 충분한 영양 공급, 혈류 공급, sealing 효과 가능
Omentum extention
- 2장의 sheet로 되어 있음
- 비장 혈관.. 등을 dorsal 쪽으로 펼치게 되면,
- 긴 스커트를 펼친 것처럼 넓은 omentum이 나옴.
- 역L자의 형태로 자른다. 중간 직전 형태까지.
6) 수술 치유
7) 수술 후 관리 및 평가
- 진통제 투여 (Analgesics) : 반드시 아프니까, 아픔을 느끼기 전에 미리 투여
- 수술수 : 산소공급(산소방), 식ㅇ
- )12시간
- 위내 튜브를 장착해서 gastrostomy
- 후유증 : stricture(협착) - 3~6주 뒤, 늦게 발견됨
Client Education
어려운 healing 과정을 거친다 (보호자에게도 잘 설명)
13주차 (5/29) :
Ⅱ. 주요 질병
1. Esophageal Foreign Bodies (식도 이물)
- 세균 등이 들어가 종격동염, 기흉과 흉수 발생
- 종격동 ⇒ 심장을 보호
1) 일반 고려사항 및 임상 병태생리
Key Points
- 흔한 부위 : 흉강 입구, 심장 바닥, 가로막
- X-ray로 대부분 확인된다
- 이물의 정체도 중요하지만 정체 시간이 중요하다
- Sharp object → 식도 벽 관통하면 치명적인 출혈 발생 가능
- 내시경을 이용해 위로 밀어내는 것도 방법 - 이 방법은 내시경으로만 하는 것을 권장.
- 한 번에 밀어넣으려고 생각하지 말 것 : 공간이 필요하다, 이물이 앞으로 나아가는 정도를 파악하면서 밀어야 함. 수 차례 조금씩 밀어넣는다.
- 내시경으로 식도의 개통성을 확보했다면, 다시 내시경을 천천히 꺼내면서 관찰하고, 천공을 확인하기 위해 X-ray 촬영이 필요.
- 경우에 따라 feeding tube (영양관)이 필요
- postoperative strictures이 나타날 수도 있다
NOTE
regurgitation인지 vomiting인지 구분 필요함.
2) Diagnosis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 may be normal or depressed
- cervical esophageus에 이물이 있으면 촉진될 수 있음.
Diagnostic imaging
- FB : 경부 피하 기종 (cervical subcutaneous emphysema), 정체 앞쪽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 확장된 것 확인 (air-filled cranial esophagus), 폐렴, 변위(distortion)
- 횡격막 앞쪽에 radiopaque mass가 발견된다면, 나이든 경우 종양 가능성
개흉 또는 개복 필요,,
3) Surgical treatment
- Endoscopic removal, balloon catheter, surgical removal
- 마취의 induction 직전 방사선 촬영
- 내시경적 제거 - rigid type 보통 씀
- Surgical removal : 명확한 perforation이 있을 때, 내시경으로 꺼낼 수 없을 때, 낚시바늘이 너무 깊이 박혔을 때
4) Surgical Technique
Endoscopic removal
제거 후 궤양 남음- Curved가 훨씬 길고 유용
- 낚싯바늘+낚싯줄까지 같이 먹는 경우 많으니, 줄까지 꼭 확인할 것.
바륨 조영으로 lucent하게 나타난 이물 : filling defect의 형태
Balloon catheter
Surgical removal
- Horizontal line :흉수가 동반되어 나타난 것.
- Case) 내원 24시간째 severe dyspnea 후 cardiac arrest - 이미 너무 진행되어 복막염 등
14주차 (6/5) :
2. Esophageal Stricture (식도 협착)
- 식도 내강 또는 벽내의 섬유조직성 띠로 식도의 폐쇄 또는 부분 폐쇄를 일으킨 상태
- Trauma가 근육층까지 손상을 입혀, healing되는 과정에서 아래 층이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채워지고, 수축 과정에서 둥글게..
- ? 으로 손상을 입히는 건 아님
Key Points
- 마취 전 반드시 위를 비울 것 : 위내 식이 ↑ 구토 ↑ & 역류성 식도염 → 위산으로 인해 식도내 산도가 높아짐 → 염증을 일으킴.
- 최근 수술 이력이 중요: 협착은 손상을 받고 바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healing 과정에서 일어남. 수술 받고 2-3주 뒤..
- 고형 식이 등은 통과하지 못함 → 식도 협착 앞부분에 저류됨 → 해당 부위에 식도의 확장 발생
- 단순 확장인지 협착에 의한 확장인지 판별 어려움 → 바륨 100%짜리로 조영해야 식도에 접착력이 있어서 제대로 촬영 가능.
- 한 군데일 수도, 여러 군데일 수도 & 짧을 수도, 길 수도 있음.
- 병변이 있는 식도는 일단 먹이지 않는다? 식도 협착은 수술이 아니면 제거 불가. 하지만 병발한 식도염, 폐렴 등 감염증을 완전히 치료하고 들어가야 함.
- 협착된 부분을 직접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확장시키는 방법을 사용
- (1) Balloon 확장
- (2) Bougie 사용
- 확장술 이후 캔이나 건조식을 먹일 수 있음.
- 수술 과정에서 healing되면서 협착이 재발할 수 있음 → 몇 차례 반복된 수술 필요
![]() | 내시경이 잘 통과 못하고 턱 막힘. 그러다가 점막이 벗겨져 출혈 발생. |
![]() | OHE 수술 1주일 후 발생한 regurgitation 조영제가 식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힘. |
2) Surgical Technique
Bougineage (Bougie)
- Bougie : 좁아진 부위를 점진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길고 얇은 원통형 기구

- 점점 두꺼운 bougie를 집어넣어서 넓힘.
- 사람에서는) 일단 넓혀놓으면 조금 더 잘 먹음 → 먹는 과정 자체로 재수축을 방해함
- 반려동물) 수평식도다 보니 충분히 넓히지 않으면 다시 정체됨.
- 너무 좁으면 가이드 와이어를 먼저 진입시키고 bougie를 천천히 밀어넣음.
Balloon Dilation
3. Esophageal Diverticula (식도게실, 식도곁주머니)
-
식도벽에 주머니를 형성하는 낭 모양의 확장
-
조영촬영? : Aorta를 넘어오지 못하고 앞쪽에만 저류 → 게실로 진단될 수 있음 (오진)
-
이런 오진을 막으려면?
-
단순촬영 먼저 → 식도의 크기를 먼저 윤곽을 잡고, 바륨의 양을 조절?
DDx
- Achalasia
- Esophageal cancer
-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 ..
| 분류 | |
|---|---|
| Pulsion (압출성 게실) | 점막과 점막 사이를 근육이 비집고 나와 주머니처럼 튀어나온 것. 국소적으로 떨어진 motility, 과도한 내강의 압력 등에 의해 발생함. |
| Traction (견인성 게실) | 바깥쪽으로 집어당겨서 섬유성 유착 발생 (?) parabronchial 이 흔함 |
| Treatment | |
|---|---|
| Conservative care | - 계속 저류되니까 → feeding liquid, elevated feeding 등으로 |
| Surgical treatment | - 수술적으로 제거 (but 개흉은 가급적이면 우선하지 않음) - 게실에 구멍 뚫리면 → 숨을 쉴 때마다 뽀글뽀글 거품 올라옴 → 적극적 개입 필요 |
15주차 (6/12) :
4. Esophageal Neoplasia (식도 종양)
5. Hiatal Hernia (식도열공)
- 벽이 둥글게 따라올라오는 것이 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