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생물학

실험동물의 분류

  • 동물분류학상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에 의해 분류
  • 우리는 이명식 명명법을 이용 (속명+종명)
    • 마우스 (mus musculus)
    • 랫드 (Rattus norvegicus)
    • 실험동물에서는 외래어를 차용하여 ‘마우스’ ‘랫드’로 부르기로 약속함.
  • 일본에서는 삼명식 명명법을 사용. (아종은 종 이하를 지리적 분포면에서 재분류)
    • 일본원숭이 (Macaca fuscata fuscata)
    • 일본메추리 (Coturnix coturnix japonica

각종 실험동물의 특성

  • 품종 (breed, race) : 같은 종에 속하는 가축으로부터 출발한 것으로 형태, 생리, 능력 면에서는 다른 것과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전 집단
  • 계통 (strain) : 품종 내에서 유전적으로 근연 관계에 있는 동물간에 번식, 유지되어 다른 것과 어딘가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갖추고 있는 유전집단

소형설치동물

  • harvest mouse, capybara, guinea pig, ..
  • 포유류 가장 작은 편. 또한 가장 종류가 많음.
  • 설치류(갈 설, 이 치) : 이를 가는 동물이라는 뜻.

마우스

마우스의 동물분류학적 위치

  • 척추동물문, 포유동물강, 설치목, 쥐과, 생쥐속, 생쥐종
  • Vetebrata, Mammalia, Rodentia, Muridae, Mus, musculus
  • 학명 : Mus musculus
  • 영어명 : MOUSE, MICE(pl.), murine(adj)

마우스의 기원

  • 기원전 6,000년 경부터 유적이 남아 있음
  • 동양에서는 기원전 1,100년에 기록이 있음
  • 17세기 이후부터 실험에 응용됨
  • 번식율이 좋고 소형으로 다수를 사용한 실험에 유리함
  • 가장 실험동물화 (유전제어, 미생물 제어)가 잘된 동
  • 현재 300여종 이상의 근교계가 존재함

사용 목적

  • 실험동물 중 사용 빈도가 높음.
  • 근교계 유전적 특성에 관한 검토
  • 비근교계 마우스 : 대규모 시험에 주로 사용
    • 약제선별시험, 항암제 개발, 독성시험 등

실험동물로서의 마우스

장점단점
1) 소형이다.
2) 다산이다.
3) 세대수가 짧다.
4) 사육이 용이하다.
5) 경제적이다.
6) 쉽게 얻을 수 있다.
7) 정보가 풍부하다.
8) 가격이 저렴하다.
9)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선택이 가능하다.
10) 교배가 쉽다
1) 체격이 작아 외과수술이 용이치 않다.
2) 실험장치를 몸에 부착하기 어렵다.
3) 시료 (혈액, 뇨, 기타)를 연속적으로 채취하기 어렵다.

생리학적 특징 (⭐암기⭐)

특징내용
체중암컷 18-40g, 수컷 20-40g (아시아 기준)
성주기4-5일 (=암컷 발정기)
섭식량1마리가 매일 5.0g (8주)
성성숙년령28-49일 (1달 반 정도, 2달이면 충분)
* 생산시설에서는 보통 3개월 이후 교배 시작
임신기간19-21일 (약 3주)
음수량6.7ml/일/마리 (8주)
교배개시령6-10주 (2개월 이상)
산자수4-12마리 (1.0-1.5g)
수명1-3년(Max 4년)
교배퇴역령12개월령
이유연령21일 (3주)
염색체40
체온37-37.2℃ (대략 37~38)
  • 새끼마우스 (털이 없고 눈과 귀가 막힌 상태로 태어남)
    • 4-6일령 : 털이 나고 귀가 열림
    • 12-13일령 : 눈을 뜸
    • 13-15일령 : 둥지에서 기어 나옴 (어미가 불안하면, 2주령 때 많이 잡아먹힘. 이유 전까지 건드리지 않고, 어둡게 하는 게 좋음.)
    • 18일령 : 이유가능 (보통 3주령경)
    • 25-30일령 : 암컷 질 개구
    • 25일령 : 수컷 복강 정소 하강
    • 35일령 : 정소 중 정자생성
    • 60일령 : 번식 사용 (생산 시설에서는 90일령 이후) → 분만 후 발정(Postpartum estrus) : 분만 12-20시간 후에 1회만 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