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 ciliary zone : muscle로 되어 있음
  • papillary zone : 막으로되어 있음’ - 유착 절 됨.
  • 앞쪽은 constrictor muscle : 수축. 조인다. 축동시킴.
  • 바깥쪽에는 dilator muscle,
  • 홍채 : 빛의양을 조절한다. 빛이 들어올 때 조리개 역할.

    • pupil의 size를 조정해서 초점을 맞춘다.
    • 조리개를 조이면 초점이 맞는 거리가 넓어짐.
    • 조리개를 최대한 벌리면 원하는데만 초점 맞춰줄 수.
  • cilary process가 dilation 되면 뒤쪽으로 무너진다.

  • 압력(ultrafilitation), active secretion, diffusion ?

  • 물을 만드는 역할 -

  • 안약으로 투루솝 많이 씀

  • Ciliary body 수축 - 렌즈 두꺼워짐 - nr

BOB

  • 유전적으로 tyrosine hydrolase 없어서 melanins 못 만들어내는 : Merle sign (사람에서는 Waardenburg’s syndrome)
    • 눈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 눈 사이 거리가 멀다
    • 눈 색깔 서로 다름
    • 심하면 귀가 들리지 않거나

Persistent pupillary membrnaes

Uveitis

Pathologic classification

  • Suppurative uveitis
  • Nonsuppurative uveitis
    • Nongranulomatous
    • Granulomatous

Grade of aqueous flare

Hypopyon

Hyphema

  • Steroid는 각막 궤양의 상피화를 억제, 혈관이 들어오는 걸 막음
  • NSAIDs 밖에 못 씀
  • 안약 : first choice로 gentamycin, __, -floxacin(quinolone 계열)

Sketchbook-2#^areajibx-ie3vqwmfrpea05lh

  • third eyelid protusion -
  • chemosis (결막부종)
  • corneal opacity 존재 (corneal edema가 center에 존재)
  • hyphema
  • 동공 안이 빨간 거 : ocular hemorrhage, 피가 앞쪽으로 넘어와서 hyphema 같이 발생
  • 감염성 질환이 아님 → 항생제는 쓰지 X
  • NSAIDs X → 출혈 계쏙 일으킴
  • Steroid제 선택 -유리체주사해서

Pasted image 20241119143017.png rubeosis iridis 색깔 변화 오래된 염증→ 검게 관찰됨

Phacolytic

Feline uvietis

  • 홍채의 충혈 : rubeosis iridis 관찰됨

Rabbit uveiris

-.

Uveal neoplasia

  • Feline post-rttr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