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Initial preparation

  • 스크럽 위에 흰 가운을 착용한 상태여야 함. 비멸균장갑 착용.
  • 마취 후 여기부터 시작
  • [1] initial positioning : 탐색적 개복술의 경우 dorsal recumbency
  • [2] hair clipping : 소형견은 pencil grip, 대형견은 palm grip
  • (오른손잡이 기준) 오른손으로 클리퍼를 잡고 왼손으로는 skin tense를 준다
  • 클리핑은 최소 incision line에서 2cm 이상, 충분히 많이
  • [3] wet gauze 로 남은 털들을 훑어냄
  • [4] urinary bladder expression : 방광을 짜야 함
    • 이유1. 수액이 들어가면서 방광이 팽창하기 때문에, 개복 과정에서 방광까지 열릴 수 있음
    • 이유2. 수컷의 경우 prepuce가 앞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방광이 꽉 차면 prepuce를 타고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질 수 있음 → 복강으로 들어가 오염될 수 있음.
    • 주의점. 방광을 갑자기 압박하면 sphincter muscle이 열리지 못하고 방광이 터질 수 있으므로, 부드럽게 caudal 쪽으로 밀어줘야 함.
  • [5] prepuce flushing : 식염수 또는 0.05% chlorohexidin 이용.
    • 생식기는 훨씬 예민하기 때문에 많이 희석하여 사용
    • 포피와 생식기 사이 공간으로 식염수를 넣고, 포피구멍을 막고 액체가 안에서 돌 수 있도록 충분히 주물러준다. 그릇을 대고 구멍을 막았던 손을 떼서 액체를 빼 준다. 깨끗한 액체가 나올 때까지 반복한다.
  • [6] 소독 (rough scrubbing)
    • chlorhexidine 또는 povidone 사용 (클로로 선호)
      • povidone의 minimal contact time은 5분, chlorhexidine0분.
    • target pattern : 개복술의 경우 적용.
      • i) incision line에서 up&down으로 10번 정도 왔다갔다(:왕복이 1번) 한 뒤, 작은 원부터 시작해서 점점 바깥쪽으로 커지면서 소독, 털에 묻으면 소독솜을 버림.
      • ii) 알코올, 식염수, wet gauze, dry gauze로 소독제를 rinse(없앰).
      • i)~ii)를 1세트라고 할 때, 3세트 반복.
    • orthopedic pattern : 다리 수술 시 적용.
      • i) incision line up&down으로 10번.
      • ii) 양손에 소독솜을 잡고 distal(발끝)에서 proximal 방향으로 소독한 뒤, 양손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서 180도만큼 채움
      • iii) 같은 방식으로 rinse (3세트 반복)
    • perineal pattern : 회음부 수술
      • target pattern과 유사하나, 변이 나오지 않도록 항문에 gauze를 장착하고 주머니 봉합(purse-string) 시행

2. Final preparation

  • [1] 복장 준비 : 흰 가운 벗고 스크럽만 착용. 모자/마스크/스크럽(배바지)/신발(shoe cover) 확인.
  • [2] positioner - heating pad - ground plate(접지판) 순으로 세팅됨.
    • 오늘 본 건 vaccum-activated positioning device
  • [3] Half-hitch 매듭법으로 다리 고정.
    • 세게 고정하면 혈행을 방해해 다리가 괴사될 수 있으므로(Tourniquet effect), 압력을 분산할 수 있는 half-hitch 매듭법 사용.
  • [4] 소독 : 멸균 장갑 착용해야 하는 것이 차이점. 나머지는 동일.
  • [5] 소독 마무리 : 수술 부위에 10% povidone-iodine solution 또는 4% chlorhexidine solution 분사.

3. Scrubbing

  • [1] 손~팔 닦음 (brush) : 손 들고 있기, 허리 숙이기.
  • 남은 물기가 가운에 떨어지면 안 됨, 물기 마를 때까지 원래는 기다려야 함.
  • [2] Gowning : 먼저 멸균 타올로 물기 제거. (1/4면씩 활용, 닦았던 데 다시 닿지 않도록)
  • 가운 착용 : 손은 커프 안에서 나오면 안 됨. 비멸균자가 뒤쪽 끈 묶어주고 (이때 gloving), 종이 앞으로 주면 끈만 받아서 앞에서도 묶기.
  • [3] Gloving : closed gloving 시행
    • palm-to-palm, thumb-to-thumb.
    • 양손 엄지로 접힌 커프 잡아서 뒤집으면서 착용. 소매가 손바닥 아래쪽까지 덮여있어야 함.

4. Draping

  • [1] quarter drapes
    • 펼칠 때 테이블에 닿지 않도록.
    • 1/4은 접혀 있도록 펼쳐서, 접힌 쪽에 손가락을 끼우고 안쪽으로 말아 쥠.
    • incision line의 2cm 정도까지 덮음.
    • 이때,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 수는 없으므로, 먼저 밀착해서 덮은 뒤 내려가면서 위치 잡는 게 좋음.
  • [2] clamp : 타올 2개와 피부까지 집음, 피부에 밀착
  • [3] full drape : 하얀 면(원래 제거해야 하는)이 수술 부위에 맞닿도록 놓고, bilateral-cranial&caudal 순으로 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