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Principles of Orthopedic Surgery and Regenerative Medicine
용어 정리
| 용어 | 정의 |
|---|---|
| Circumduction (휘둘림) | 환자가 걸을 때 다리를 바깥쪽으로 휘젓는 것. an external swinging of the limb. |
| 진단 | 근골격계 이상으로 굽히지 못하거나, 마비에 의해. |
| Hypermetria (측정과대증) | 원래 착지 지점보다 더 멀리 착지할 때 (정상보다 긴 보폭 등). is characterized by a dysfunction of the power to control the range of muscular action which results in movements that are exaggerated or the overreach the intended goal. |
| 진단 | 근육의 조절 능력이 떨어져서. 근육의 문제, 관절의 문제, 뇌(소뇌) 쪽 운동장애 등. |
| Proprioceptive deficits (고유감각결손) | 정상적인 자세나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되어있을 때. are abnormal body positions of movements due to a lack of normal perception. Loss of proprioception causes abnormal placement reactions in the limbs, abnormal limb position at rest, and abnormal wearing. |
| 진단 | 환자가 걷거나 설 때 발바닥으로 짚는데(proprioception), 발등으로 서있게 만들었을 때(knuckling) 2초 이상 유지 → 고유감각결손으로 진단. 신경계 쪽 이상으로 인함. 예외적으로 뼈의 골절의 경우, 골절에 의해 발생 가능. |
| 용어 | 정의 |
|---|---|
| Staged disassembly (단계적인 해체) | 치유되는 골절의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술 후 약 6주 후에 고정판을 변경시키는 과정. 많은 핀을 사용하여 외부고정했다가 → 점차 핀을 일부분 제거하여 체중부하를 증가시켜 뼈유합에 도움. Process of modifying a fixation frame at approximately 6 weeks after surgery to increase the loading on the healing fracture. |
| Allograft (동종이식편) | 동일 종의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뼈 이식 bone transplanted from one animal to another in the same species. |
| Autograft (자가이식편) | 동일 동물에서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이식된 뼈. 주로 proximal humerus, iliac crest로부터 채취. bone transplanted from one site to another in the same animal. |
| Bridging plates (연결판) | 분쇄골절을 연결. span a comminuted fracture. |
| Retrograde placement (후방향장착술) | IMP를 할 때 fracture line으로부터 proximal 쪽으로 핀을 삽입하고, 뼈를 맞춘 후 핀을 proximal → distal 쪽으로 fracture line을 통과시키면서 고정하는 방법. The pin is inserted at the fracture area, driven proximally to exit the bone, the fracture is reduced, and the pin is drvien distally to seat at the end of the bone. |
| Avulsion fracture (찢김골절) | 힘줄이나 인대의 닿는점이 골절되어 뼈의 나머지로부터 어긋날 때 occres when the insertion point of a tendon or ligament is fractured and distracted from the rest of the bone. |
| Apophyseal osteotomies (뼈돌기뼈자름술) | 관절의 외과적인 노출을 개선시키는 시술법. procedures performed to enhance surgical exposure of a joint. |
기타 용어
| 용어 | 정의 |
|---|---|
| Ortolani 조작 (maneuver) | hip displasia가 있는지 확인. 형성이상된 고관절을 부분탈구(아탈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 |
| 간접되맞춤술(간접정복술) (Indirect reduction) | 주요 뼈조각을 당김으로써, 뼈조각과 팔다리의 정렬을 회복시키는 과정. |
| Open reduction (개방골절) | 뼈에 대한 외과적인 접근을 하기 위해 피부를 열고 시술된 골절복구술. |
| Intramedullary pins (골수내 핀박음술) | 뼈를 고정시키기 위한 이식편(implant) 중 하나. 골수강 안에 핀을 삽입하는 방법. |
| Corrective osteotomies (교정뼈자름술) | 뼈의 뼈몸통이나 뼈몸통끝을 절단하여 정렬하고 유합될 때까지 안정화시키는 예정시술. |
| Staged disassembly (단계적인 해체) | 치유되는 골절의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술 후 약 6주 후에 고정판을 변경시키는 과정. 많은 핀을 사용하여 외부고정했다가 → 점차 핀을 일부분 제거하여 체중부하를 증가시켜 뼈유합에 도움. |
| Allograft (동종이식편) | 동일 종의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뼈 이식 |
| Reduction (정복술, 되맞춤술) | 골절된 뼈를 재정렬 또는 재건시키는 과정. |
| 막내뼈형성 | 골절치유과정. |
| External fixation (외부고정술) | 뼈를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 뼈와 피부에 핀을 관통시켜 바깥에서 연결시키는 골절고정술. |
| Valgus deformity (바깥굽은변형, 외반변형) | 뼈가 휘어 있는 상태. 팔다리의 distal 부분이 가쪽으로 휘어있는 것. |
| External coaptation (바깥접합술, 외부접골술) | splint, 석고붕대를 사용한 고정법. |
| Subluxation (아탈구) | 관절의 부분탈구. |
| Crepitation (염발음) | 골절된 뼈가 닿을 때 느끼는 소리. |
| Apophyseal osteotomies (뼈돌기뼈자름술) | 관절의 외과적인 노출을 개선시키는 시술법. |
| Osteomyelitis (뼈속질염, 골수염) | 뼈와 속질관의 염증상태. |
| Osteotomy (뼈자름술) | 뼈를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시술. |
| Ostectomy (뼈절제술) | 뼈 부분의 제거. |
| Greenstick fracture (생나무골절, 불완전굴곡골절) | 겉질(cortex) 부분이 온전한 불완전골절. |
| Internal fixation (내부고정술) | 뼈를 고정하기 위해 내부이식물을 사용. |
| Nonunion (불유합) | 뼈가 붙지 않은 것. |
| Varus deformity (안쪽굽은변형, 내반변형) | 팔다리의 distal part가 안쪽으로 휜 것. |
| Compression plates (압박판) | plate가 골절을 압박하여 고정시킴. |
| Bridging plates (연결판) | 분쇄골절을 연결. |
| Endochondral bone formation (연골내뼈형성) | 뼈치유의 한 과정, 연골전구체 위에서 형성된 뼈. |
| Hemicerclage wire Cerclage wire (원반형묶음철사) | 철사로 골절된 뼈를 고정시키는 방법. |
| Autograft (자가이식편) | 동일 동물에서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이식된 뼈. 주로 proximal humerus, iliac crest로부터 채취. |
| Procurvatum (전반각형성) | 뼈의 골간이 앞쪽으로 휜 것. |
| Cranial drawer (전방전위) | 대퇴골에 비해 경골이 앞쪽으로 밀린 상황. 전방십자인대가 당겨주고 있는가 확인 가능. |
| Normograde placement (정방향장착술) | IMP(intramedullary pinning) : 골절선에서 먼 쪽에서 골절선 쪽으로 핀을 삽입하는 것. |
| Neutralization plate (중화판) | 재건된 골절을 지지하는 판. |
| Delayed unions (지연유합) | 기대한 것보다 더 느리게 치유, 유합. |
| Direct bone union (직접뼈유합) | 가골형성 없이 뼈가 유합되는 것. |
| Avulsion fracture (찢김골절) | 힘줄이나 인대의 닿는점이 골절되어 뼈의 나머지로부터 어긋날 때 |
| Luxation (탈구) | 관절의 완전한 어긋남 |
| Malunion (부정유합) | 뼈가 해부학적으로 정렬되지 않거나, 잘못 붙은 뼈 |
| Closed reduction (폐쇄정복술) | 외과적 노출 없이 뼈를 정렬시키는 시술 |
| Recurvatum (후반각형성) | 뼈의 골간이 뒤쪽으로 휜 것 |
| Retrograde placement (후방향장착술) | IMP를 할 때 fracture line으로부터 proximal 쪽으로 핀을 삽입하고, 뼈를 맞춘 후 핀을 proximal → distal 쪽으로 fracture line을 통과시키면서 고정하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