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0주차: Disorders of the Trachea and Bronchi (1)

1️⃣ CIRDC (Canine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 Complex) = Kennel cough

Etiology

  • ‘Kennel cough’로 많이 알려짐. 전염성이 강하고 급성으로 일어남.
  • 2주 정도 지나면 스스로 나음(self-limiting).
  • 여러 바이러스나 세균이 원인이 되어 일어날 수 있음.
  • 호흡기 상피에 손상이 생기며 2차 세균 감염도 일어날 수 있음.

Kennel cough 유발 원인체

Viruses
  • Canine adenovirus 2
  • Canine influenza virus (H3N8, H3N2)
  • Canine parainfluenza virus
  • Canine herpesvirus - type 1
  • Canine respiratory coronavirus
  • Canine pneumovirus
Bacteria
  • Bordetella bronchiseptica
  • Streptococcus equi, susp. zooepidemicus
  • Mycoplasma cynos
  • Other Mycoplasma spp.
  • 사람의 감기와 유사하다는 점을 보호자에게 잘 이해시켜야 함.

보호자에게 CIRDC(강아지 감기)를 설명할 때

  • 하나 이상의 원인체가 원인이 될 수 있다.
  • 질병에 걸렸다가 나아도 다시 걸릴 수 있다.
  • 개개인마다 편차가 있어 잘 걸리지 않는 개체도, 자주 걸리는 개체도 있다.
  • 많은 개체에 노출될 시 - 무리 생활 시 감염되기 쉽다.
  • 보통 특별한 치료 없이도 스스로 낫는다.
  • 일부의 경우 폐렴이나 사망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 강한 병원성 원인체에 감염되었을 때
    • 기저 호흡 질환(bronchitis, asthma 등)이 있을 때
    • 면역이 억제되었을 때
    • 너무 어리거나, 너무 고령일 때
  • 원인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백신으로 예방하기 어렵다.
  • 항생제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임상 증상

  • 급성으로 심한 wet(productive) 또는dry(nonproductive) cough
    • 운동, 흥분 시, 또는 기관이랑 목 부위를 누를 때 기침이 심화됨.
  • 콧물, gagging, retching도 같이 나타날 수 있음.
  • 최근 2주 내에 다른 강아지와 접촉했을 확률이 높다. (입원, 호텔링, 비슷한 증상의 강아지와 접촉)
  • 보통 전신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 따라서 체중 저하, 식욕 부진, 다른 장기의 증상(설사, 발작, 맥락망막염chorioenteritis등) 나타날 시 ⇒ canine distemper, 곰팡이 감염 등 다른 질환도 의심해 봐야 한다.

진단

  • 임상 증상을 기준으로 진단하는 편이나, 다른 심각한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 PCR from nasal swab ⇒ 주로 influenza virus 검출됨.
  • 최근 한 달 이내 intranasal B 백신을 맞은 경우 양성으로 나올 수 있다.
    • intranasal B : bronchiseptica, canine parainfluenza virus(PIV), canine adenovirus 2 (CAV2)
  • Serology :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가장 민감하나, 아직 항체가 없는 감염 직후에는 위음성 가능성 있음.

치료

  • 기본적으로 uncomplicated CIRDC는 자가 치유됨.
  • 최소 일주일은 쉬게 하고, 운동 제한, 흥분 제한 등 기침이 악화될 만한 요인을 줄여주면 좋음.
  • 심각한 dry cough에서는 기침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overtly productive cough에서는 기침억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2️⃣ Canine Chronic Bronchitis (CCB)

Etiology

  • 강아지 만성 기관지염. 주로 2개월 이상 지속되는 마른 기침 증세. (다른 active한 질환 X)
  • 조직학적 소견 : long-term inflammation
    • fibrosis(섬유화), epithelial hyperplasia(상피 두꺼워짐), glandular hypertrophy, inflammatory inflitrates
    • 보통 irreversible함.
    • 실제로는 배제하는 방식으로 주로 진단.
  • 감염, 알러지, 지속 자극원, toxin으로 시작 → 장기간 염증성 반응으로 이어짐
  • 소형견에서 특히 다른 기침 질환과 감별진단 필요. (TC, MVI, LAE - 90%)

임상 증상

  • Loud, harsh cough (크고 거친 기침)
  • 기침으로 인한 영구적인 호흡기계 손상 → 2차 감염
  • Tracheal collapse (tracheobronchomalacia; 기관연화증) 심화
  • pulmonary hypertension (폐 혈관벽 두꺼워짐)
  • bronchiectasis (기관지확장증)
  • 문진을 잘 해서 가능한 원인을 잘 배제하는 것이 중요.
  • 신체 검사 : 비정상 호흡음, crackles, wheezes

진단

Diagnosis
X-rayBronchial patterns & interstitial patterns
Tracheal wash, BAL fluid- Neutrophilic or mixed 염증, 점액 증가.
- 이차적 세균 감염에 따른 퇴행성 호중구(degenerative neutrophils).
- Airway eosinophilia : 과민반응(알러지성) 원인이 강하면 나타남.
Bronchoscopy (기관경)- 점액이 많이 차 있고 점막층이 두꺼워지고 충혈됨(hyperemia)
- 벽이 약해져 호기 시 Major airways 잘 무너짐.
ECG이차적 PH(pulmonary hypertension), RHE(right heart enlargement)
: cor pulmonale 라고 함. (폐질환으로 인한 우심부전)

치료

  •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은 피한다. (excitement, stress)
  • 일시적인 진정제(tranquilzation) - acepromazine
  • 항발작제(sedation) - phenobarbital
  • 항불안제(anxiolytic) - trazadone
  • 탈수 개선 (⛔따라서 기관지탈수의 위험이 있는 이뇨제는 금지⛔)
  • Nebulization (기관지를 습윤하게)
Drug therapies
1) BronchodilatorsTheophylline (methylxanthine 계열)
효과
- mucociliary clearance 개선
- respiratory muscle의 피로도 감소
- 염증의 mast cell mediators 방지
부작용 (용량 의존적 - 용량 조절 중요)
- fluoroquinolones와 같은 다른 약물과 병용 시 clearance가 감소해 독성 증가.
- 불안(nervousness), 발작(seizures), GI signs, 부정맥(cardiac arrhythmias), 헐떡거림
Terbutaline, albuterol
β2-adrenergic receptor에 선택적으로 작용 → 심장에 영향 X
주로 MDI로 투여
부작용 : 흥분 증세, tremors, 저혈압, 빈맥
2) GlucocorticoidsPrednisone (0.5-1mg/kg PO q12h)
- 염증을 억제하여 가장 효과적인 치료.
- 특히 eosinophilic airway inflammation에서 가장 효과 좋음.
- 부작용 : 면역력 감소 - 감염 취약, 쿠싱, 비만 경향, hepatomegaly, 근육 위축, .. 폐색전증
- 최소 용량 처방, 장기 처방은 X (short-acting 권장, 천천히 tapering)
3) Cough suppressants코데인 (흔하게 사용), Maropitant (항구토제이나, 기침 억제도 가능)
- Productive 기침에서는 사용이 지시되지 않는다.
- 기침으로 인한 증세가 심각할 때 사용.
+) AntibioticsMarbocyl, azithromycin, chloramphenicol, amoxicillin+clavulanate
- 합병증 관리,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사용
- 반응은 1주일 내로 나타나나, 3~4주는 쓰는 게 좋음.
  • 완치될 질병이 아니라 계속 관리해야 하는 병.

3️⃣ Feline Bronchitis (idiopathic)

Etiology

  • chronic + idiopathic는 동일하지만, 개와는 또 다른 양상을 보임.
  • bronchitis의 증상 그대로 나타남 (기침, wheezing, respiratory distress)
    • lung parasites, heartworm disease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 개는 심장병 때문에 기침하는 경우가 많지만, 고양이에서는 기저 원인 없이 idiopathic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훨씬 많음.
  • ‘idiopathic’인 만큼, 다른 질병을 최대한 배제한 뒤에 진단해야 함.

DDx for cats

  • Allergic bronchitis
  • Pulmonary parasites : 기생충제를 먹였을 때 낫는지
  • Heartworm disease : 키트 검사
  • Bacterial bronchitis : BAL fluid 검사
  • Mycoplasmal bronchitis : CT, 생검
  •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CT
  • Carcinoma : 혈액 검사
  • Toxoplasmosis : X-ray, BAL fluid
  • 다 검사 못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가능성을 따져 진단 내리기도 함.
  • 같은 특발성 기관지염이어도 다양한 중증도와 예후를 보임.
    • Bronchial Asthma, Acute bronchitis, Chronic bronchitis, Emphysema

임상 증상

  • 강아지에서는 산전수전 다 겪고 고령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 고양이에서는 어리거나 중년령인데도 뜬금없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음.
  • 주된 증상은 기침, episodic(뜬금없이) 호흡 부전(respiratory distress),
    • hairball 토하려는 행동이 기침과 헷갈릴 수 있음.
  • 체중 감소, 기력 저하, 식욕 부진 같은 전신 증상은 동반하지 않음.
    • 전신 증상 나타날 시 다른 질병도 충분히 검사 필요.
  • potential allergens, irritants 잘 제거해주는 것도 중요.
  • 빈호흡, 기침, 노력성 호흡(개구호흡 등), 주로 호기일 때 문제가 됨. (=하부호흡기 문제)
    • 청진 시 expiratory wheezes, crackles

진단

  • 방사선상 Bronchial pattern (doughnut sign, tram lines)
    • 1/5 정도는 방사선상으로도 정상일 수 있음. (진단 어렵)
  • 심하면 폐엽 collapse → 무기폐(atelectasis) : 우측 중엽에서 많이 발생.
  • Tracheal wash나 BAL fluid에서 명확한 염증세포 (eosinophilic/neutrophilic or mixed)
    • Eosinophilic inflammation은 알러지나 기생충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음 주의.
  • Mycoplasma spp. 에 대한 PCR이나 배양도 도움이 됨.

임상에서는

멀쩡한 고양이를 무작정 마취해서 검사하기가 어려워, 진단을 못 하는 경우도 많음.. but 엄청 많이 발생합니다. 일단 가능한 질병에 대한 치료를 해보다가, 안 되면 CT나 BAL fluid로 넘어가는 식.

치료

  • 환경 관리가 도움이 된다: irritant, allergens 제거
Emergency stabilization
기관지 확장제Terbutaline (SC)
+ albuterol (Nebulization or MDI)
Rapid-acting glucocorticoidsDexamethasone (0.1-0.5mg/kg IV, SC, IM)
급할 때 가장 빨리 투여.. 부종 확 감소.
Oxygen supplementation
Drug therapies
Glucocorticoids(개보다 고양이에서 더 많은 용량으로 사용)
0.5-1mg/kg PO q12h
증상 완화되지 않을 시 용량 2배
증상 완화되면 tapering → 0.5mg/kg EOD까지
Fluticasone propionate : MDI 투여 (220μg TID)
- 전신 부작용 감소 효과가 있음.
- spacer를 MDI에 붙여서 사용하면 더 효과 좋음. (얌전해야 가능,,)
- 7-10일까지 쓰면 최대 효과.
- +) albuterol MDI 필요한 만큼.
좀 더 증상 심하면 Prednisolone - Dexamethasone 사용
Bronchodilators(고양이에서 더 적은 용량으로 사용)
Theophylline
- 혈중 농도 측정해서 약물 용량 조절 !! (용량이 중요한 약)
Sympathomimetics - Terbutaline (선택적 β2 작용제)
- 부작용 : 흥분, 진전(tremors), 저혈압, 빈맥
- SC 0.01mg/kg (낮은 용량으로) / PO 투여도 가능
albuterol MDI - 부작용 덜함.
Antibiotics(필수 치료는 아닌데 종종 주기도 함. 아직 연구 자료 부족.)
Doxycycline (5mg/kg q12h or 10m/kg q24h PO)
- Mycoplasma 감염 예방, 혹은 증상 완화.
- Mycoplasma 치료를 위해 장기간 사용하기도 함.

치료 반응이 떨어졌을 때 & prognosis

  • 치료 농도가 적절한지?
  • 진단이 잘못되진 않았는지? 기저 질환을 놓치진 않았는지?
  • 계속 약 먹어야 하고, 치료가 잘 안 된다는 점 충분히 고지 필요
  • 천식이 발작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 → 미리 고지 필요
  • 급사의 가능성도 있음

11주차: Disorders of the Trachea and Bronchus (2)

4️⃣ Tracheobronchomalacia (TBM) = Tracheal Collapse

Etiology

  • 연골이 약해지거나, membrane이 늘어져서 tracheal lumen이 좁아진 것.
  • Upper airway obstruction, CIRDC, 심비대 혹은 심부전, 등을 포함
  • 선천적으로 연골이 약해서 나타날 수 있음.
  • TC, BC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음.
  • 호흡 시 내강의 압력이 커져 연골이 무너지거나, 등의 인대가 늘어나기도 함.
  • 염증 반응 시 분비되는 collagnases → airway의 구조를 약화시켜 TC에 기여.
  • 기관 상피 손상 → airway clearance를 저해 → 기침이 쉽게 발생하며 악화됨.

임상 증상

  • 중년령, 소형종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남.
  • 대부분 초기 증상은 건성 기침(nonproductive cough, dry cough) → “goose honk” 소리를 냄.
Extrathoracic TCIntrathoracic TC
cervical trachea, thoracic inletintrathoracic trachea, bronchial
Upper airway obstruction 증상
흡기성 호흡 부전, stertor 들림
호기 시 증상,
wheeze/cough 크게 들림.

Diagnosis

  • Radiographs : 최대 흡기, 최대 호기 둘 다 촬영 !!
    • 최대 흡기 시 extrathoracic trachea의 lumen size
    • 최대 호기 시 intrathoracic trachea의 lumen size
    • 식도가 기관을 누르거나, 식도가 겹쳐 가려질 수 있으니 판독 시 주의.
  • Fluoroscopic evaluation : 움직이는 영상으로 관찰 가능.
  • Bronchoscopy : gold standard지만.. 위험도가 높아 사실 사용하지 않음. (마취해야 하고, 멸균, 상처..)

Treatment

  • 체중 감소 !! 살 뺴자.
  • 하네스 사용 x, 흥분하지 않도록.
  • Sedatives - Phenobarbital : 필요하면 단기적인 진정제를 추가로 씀. (스트레스성 이벤트 전 미리)
  • Antixiolytics - Trazadone : 좀 더 장기적으로 쓸 수 있는 안전한 약물.
  • Gabapentin : Refractory chronic cough일 때 효과 좋음, 신경통(neuropathic pain) 억제.
  • Bronchodilators - Theophylline : 가장 main하게 사용. 항염증, 기관지 확장 효과.
  • Cough suppressants - [Codaewon] or optional하게 Maropitant (TC에는 잘 안 쓰긴 함,,). 두 번째로 mainly.
  • 콧물, 기침 빈도 증가 등 감염이 의심될 때는 항생제를 쓰기도 함.
    • 호흡기에 분포할 수 있도록 수 주간 높은 용량으로 사용해야 함.
  • Tracheal stenting : 약물 치료로만 잘 안 될 때.
    • implant를 넣는 것이다 보니, 감염의 위험이 있음.
    • 세균이 plague 형성, stent가 조직을 파고들거나 부러져서, 자극을 주어 기침을 더 하게 됨.
    • 적용할 때 주의가 필요 (TC 때문에 이미 청색증이 심한 경우 등에는 dramatic한 효과가 있지만, 애매한 기침에는 큰 효과X)

5️⃣ Allergic Bronchitis

  • allergen을 찾아내거나, allergen 제거 시 증상이 해결된 것을 통해 감별 진단 가능.
  • Radiographs - Bronchial pattern.
  • Tracheal wash, BAL fluid - Eosinophilic inflammation.
  • 기생충이 알러지성 반응 유발하기도 함. (O. osleri)

Oslerus Osleri (기생충)

  • 2살 이하의 어린 개에서 발견되는, 흔하지 않은 기생충.
  • Carina나 bronchi에 서식.
  • acute, large dry cough / wheezing
  • 초기에는 CIRDC와 구분 어려움. but carina에 결절이 형성되며 결국 airway obstruction을 나타내는 차이점.
  • 진단
    • 방사선 촬영 - carina의 nodules
    • bronchoscopy로 결절 가장 잘 보임.
    • tracheal wash에서 ova or larvae 관찰.
  • 구충을 잘 해주고 있고, fenbendazole 먹으면 금세 치료되기 때문에 큰 병은 아님.

6️⃣ Bacterial Pneumonia (세균성 폐렴)

  • 구강 인두에서 음식물 떨어져서 생길 때도 흔함.
  • 세균이 airway를 타고 들어가 폐에 감염 → 전엽, 중엽에서 많이 발생.
  • 고양이에서는 혈액성 origin의 폐렴이 많다. → 후엽, 전체적(diffuse) 패턴
  • air bronchogram(=alveolar pattern), bronchial pattern, lobar sign 보임
  •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손상되었을 때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폐렴 (흔한 폐렴)

임상 증상

  • 기침, bilateral mucopurulent 콧물, 운동 실조, 호흡 부전..
  • 전신 증상 (기력저하, 식욕부진, 열, 체중감소)
  • 고양이에서 기침 덜 나타남.

진단

  • CBC : neutrophilic leukocytosis with left shift, neutropenia with degenerative left shift. stress leukogram
  • Alveolar pattern : 가장 흔한 패턴 + consolidation
  • Bronchial & interstitial markings : 종종 나타남.
  • interstitial pattern alone : early or mild dz / 혈행성 감염.
  • bronchial pattern alone : bronchial infection.
  • PCR, 항생제 배양 검사

Treatment

1) 항생제 치료
  • Gram (-) infection 흔함.
  • 폐 실질에는 혈관이 많아 항생제 잘 분포. (Nebulization에는 x)
  • 항생제 치료는 임상 증상 개선 후로도 1주일 더 쓸 것!
Antibiotics
DoxycyclineB. bronchiseptica, Mycoplasma spp.
광범위 항생제전신 폐렴, 패혈증
fluoroquinolone + ampicillin with sulbactam
meropenem, aminoglycoside 도 가능 (내성균 우려 시)
ClindamycinToxoplasma 감염 의심 시 (cats)
2) Physiotherapy
  • 2시간마다 자세 변경해줘야 함. (안 그럼 무기폐, consolidation, clearance저하)
  • 가벼운 운동으로 배출
  • 폐 주위를 coupage(두드려 주는 것)도 좋음. 통통통~ 기침, 가래 배출(clearance)에 도움.
3) Bronchodilators
  • 고양이는 기관지가 예민. 폐렴일 때 기관지 경련, 협착이 잘 발생함.
4) Acetylcysteine
  • 점액 융해 역할.. 사실 항산화제로 더 많이 씀.

예후

  • 항생제 오래 사용
  • 흉방 촬영, CBC로 재진
  • 적절한 치료에 반응하지만, 사망하는 경우도 꽤 있음.

12주차: Disorders of the Trachea and Bronchus (3)

7️⃣ Aspiration pneumonia (오연성 폐렴)

Etiology

  • 오연성 폐렴 = 흡인성 폐렴
  • 폐로 solid, liquid material이 잘못 흡인되어 발생하는 염증성 폐 질환
  • 거대식도(megaesophagus), 식도움직임불능증(esophageal dysmotility) : 역류성 구토의 흔한 원인.
  • 후두, 인두 쪽 신경 문제로 후두 덮개가 잘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음.
  • 마취 중(anesthetized), 혹은 의식이 없을 때 연하 반사가 떨어져 발생 가능.
  • 강급(force-feeding) 중 고개를 뒤로 젖혀 먹일 때도 자주 발생 / 위 튜브의 잘못된 장착 (iatrogenic cause)

임상 증상

  • 폐렴이니.. 심한 호흡기 증상, 식욕 부진, 우울, 구토, 역류

진단

  • X-ray가 완벽하게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니, 폐 초음파, 청진, 동맥혈 채혈, CRP 등 종합적인 파악이 필요하다.
  • toxic change가 나타나 neutrophils 잘 보임.
  • Blood gas analysis : hypoventilation과 ventilation/perfusion abnormalities 감별하는 데 중요.

치료

  • Suctioning : 바로 발견해서 원한 경우에는 기도 안에 있는 걸 제거하기 위해 시도.
    • Sterile soft robber tube를 endotracheal tube로 장착 가능.
    • 과도한 suction은 폐엽을 손상시킬 수 있음(collapse).
    • 이후 fluid therapy, 산소 공급, 기관제 확장제, 스테로이드 등 처치.
1) Bronchodilators
2) Glucocorticoids
  • Steroid → 루틴하게 쓰지는 않는데(감염위험, 위장관부작용) 너무 폐렴이 위험하면 쓰는 것도 가능하다.
Drug therapies
Bronchodilators- bronchospasm(기관지경련)을 진정시킬 때 고양이에서 효과가 좋다.
- V/Q mismatching을 악화시키고, hypoxemia를 유발할 수 있으니 이상함이 감지되면 빨리 끊는다.
Glucocorticoids- 항염증 효과가 있어 도움은 되지만, 면역 체계 손상을 주의.
- 루틴하게 쓰지는 않는데(감염 위험, 위장관 부작용) 너무 폐렴이 위험하면 쓰는 것도 가능하다.
Antibiotics- 세균은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혐기균.
- 항생제 종류에 따라 target하는 종류가 다르다.
Metronidazole그람 음성, 양성균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지만 혐기균에 대응함. (설사병, 장병)
Cefazolin양성 구균이 잘 감염되는 피부병, 농 등 (내성 주의)
Amoxicillin
Ampicillin
광범위한 항생제. (아모크라, 암피박탐) (Positive coverage ↑)
- 아모크라 → 너무 많이 써서, 중증 환자에서는 내성이 생겼을 수 있음. 이미 치료를 어느 정도 받은 환자에서는 안 들을 수 있는데, 그러면 검사를 보내보면 좋음.
Enrofloxacin
Mavofloxacin
그람 음성에 잘 들음. (Negative coverage ↑)
- 아모크라 계열과 합제해서 많이 씀.
Merepenem역시 광범위. 잘 안 들을 때 쓸 비장의 무기로 아껴 써야 함.

8️⃣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s

  • 흔하지 않음.
  • 특별한 원인 없이 염증이 오랫동안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폐 변성
  • 종양, fibrosis가 유발하기도 한다.
  • 비정상적인 폐포 상피의 lining으로 airspaces가 확장되어 Honeycomb change가 나타나기도 함.
  • 임상증상 : 수 개월에 걸친 호흡기 증상

진단

  • interstitial pattern, bronchial pattern, 폐 고혈압, diffuse or patchy infiltrate
  • chronic hypoxemia에 의해 polycythemia (적혈구증가증)
  • Screening test(기생충 분변 검사, 감염원 검사 등)으로 배제
  • DDx : pulmonary fibrosis (lung biopsy로 감별)

치료

  • Corticosteroids : 염증 완화
  • Bronchodilators : 특히 고양이에서, theophylline
  • Omeprazole : 스테로이드 부작용 중 위장관 궤양 등이 있음
  • 예후는 좋지 않은 편.

9️⃣ Pulmonary Neoplasia

Etiology

  • 원발성으로 발생하면 대부분 악성.
  • 폐에는 모세혈관이 있는데, 종양이 달라붙기 좋아서 전이가 매우 잘 됨.
    • 원발성 폐종양 : 하나로 크게 나타남. (1/5,000 확률..)
    • 속발성 폐종양 : diffuse하게 나타남.

Clinical features

  • 종양이 기관지를 압박하면서 기침, 호흡 부전, 객혈(폐출혈) 등
  • 이차적으로 부종, 염증, 세균 감염 발생
  • 종양이 터지며 구멍 → 외부, 내부 압력 같아지면서 기흉(pneumothorax), 흉수(pleural effusion)
  • 드물지만 전대정맥/후대정맥이 막히면서 복수(ascite), 머리나 목의 부종
  • 흉수가 쌓임, scallop sign

✅ Overview of Primary Lung Tumors

  • 95%가 악성, 10-11살 노령에서 발병.
  • 기침, 호흡 부전, 기력 저하, 식욕 부진, 체중 감소, 객혈(hemoptysis)
  • 폐종양은 커지고 나서야 증상이 나타남.
  • 수술적 제거가 우선.
    • 아예 수술 못할 경우 화학항암치료 - vinorelbine 등.
  • 예후 인자는 다양, 평균 생존 기간(MST)는 60-952일까지. staging이 중요함.
    • T : Tumor (종양 자체 특징)
    • N : Lymph node (가까운 쪽/ 먼 쪽)
    • M : Metastasis (전이 여부)

🔟Pulmonary Hypertension (폐고혈압)

  • 30mmHg 이상의 폐 수축기 혈압.
    • 심장초음파 도플러에서 측정 가능.
  • VSD, PDA 같은 선천적 질환이 필연적으로 유발함.
    • 좌심부전 → 폐혈관이 두꺼워지고, pulmonary overcirculation, 혈관에 계속 무리 → 고혈압.
  • 폐색전증, HW(심장사상충), 만성 폐렴(CCB,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등에 의해서도 나타남.

Treatment

  • 치료는 대표적으로 sildenafil (NO pathway를 자극해서 vasodiation 유발)
    • Tadarafil : 작용 시간이 더 길다.
  • Pimobendan : PDE Ⅲ inhibitor, 폐동맥압 감소, 좌심부전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약물.
  • Wafarin, heparin, clopidogrel : 항혈전제도 당연히 써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