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많네요..^^ 벼락치기로 정리하다가 Ch.24 중간에서 끝난 것 같습니다..

Family모양genomegenome_sizevirion_size복제효소장소
Retroviridae (Ch.14)spherical (구형)OssRNA-RT(+)1 dimer (2 linear)7-13kb80-100virion reverse transcriptase핵/세포질
Reoviridae (Ch.15)isometricXdsRNA(both)10-12 segments19-32kb60-80nmvirion RNA polymerase세포질
Paramyxoviridae (Ch.17)다형성ONssRNA(-)1 linear13-18kb~150nmvirion RNA polymerase세포질
Rhabdoviridae (Ch.18)bullet-shapedONssRNA(-)1 linear11-15kb100-430 × 45-100virion RNA polymerase세포질
Filoviridae (Ch.19)filamentousONssRNA(-)1 linear19kb600-800 ×80virion RNA polymerase세포질
Coronaviridae (Ch.24)spherical (구형)OssRNA(+)1 linear38-31kb120-160nmViral RNA polymerase세포질
Arteriviridae (Ch.25)spherical (구형)OssRNA(+)1 linear13-16kb45-60nmViral RNA polymerase세포질
Picornaviridae (Ch.26)isometricXssRNA(+)1 linear7-9kb30nmViral RNA polymerase세포질
Caliciviridae (Ch.27)isometricXssRNA(+)1 linear7-8kb27-40nmViral RNA polymerase세포질
Flaviviridae (Ch.30)구형OssRNA(+)1 linear10-12kb40-60nmViral RNA polymerase세포질
  • Reoviridae는 특이함(따로 외울 것) : dsRNA + 10-12 segment + envelope 없음 + polar 양쪽
  • (+) ssRNA들은 대체로 작음. Corona만 예외적으로 좀 큰 편.
    • Picorna와 Calici는 특히 더 작고, envelope 없음.
  • 기본적으로 세포질에서 복제.
    • Retroviridae는 Reverse transcription에서 복제
    • Bornaviridae, Deltaviridae, Orthomyxoviridae도 핵에서 복제하지만, 이번 범위에서는 안 배움

형광펜 모음

보라색 : 주관식 또는 정답 선지 / 분홍색 : 단순 선지로 언급 주황색 : 족보에 없으나 마지막 시간에 언급한 개념

  • 14. Retroviridae:

    • 바이러스가 provirus로 integeration했을 때, 주변의 숙주 유전자 서열이 바이러스에 존재함(proto-oncogene)
    • 숙주세포의 유전자 서열이 복제 과정에서 변이되면서 oncogene 생성
    • oncogene을 가진 바이러스가 다른 세포에 감염하거나, proto-oncogene에 돌연변이가 유발되어 세포가 변형됨.
  • 14.2 Equine Infectious Anemia virus:

    • 만성형 감염 시 감염성 질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유
    • 일생 동안 잠복 감염하며, 복제 과정 중 돌연변이 발생
    • gp90 (envelope 단백질)에 새로운 neutralizaiton-sensitive epitope을 가지는 변이 바이러스 출현
    • 초기 감염 때의 면역을 회피하고 반복적으로 질병 재발
  • 14.3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Acute stage : lymphadenopathy, 발열
    • Long subclinical stage : 무증상
    • Terminal stage : 면역 기능 상실, 기회 감염
    • 바이러스 특이항체 형성, CD8+ T cell 증가, CD4+:CD8+ T cell ratio 역전 등이 나타남.
  • 15. Reoviridae:

    • 10-12 segmented dsRNA, 길이는 20kbp 내외 (Reo, Biranviridae만 유일하게 dsRNA임 (둘 다 noneveloped))
    • non-enveloped, 구형, 직경은 55-80nm.
    • Genetic reassortment (=antigenic shift)가 같은 genus나 serotype끼리도 발생함.
    • antigenic shift : 다른 바이러스가 segment를 서로 교환하여 나타나는 결과 (같은 segment를 여러 개 갖지 않음)
    • antigenic drift : 염기서열에서 mutation이 오랜 시간 누적 발생
    • Orthoerovirus의 σ1 단백질 : 표적 세포에 대한 부착을 매개함.

Orthoreovirus의 특징 보충설명

  • Outer cpasid : σ3 + μ1C complex
  • subviral particle 2개
    • Infectious subviral particle (ISVP) : outer capsid 없음. μ1 단백질만 남음.
    • Core particle : outer&middle capsid 없음. σ1 단백질이 돌출된 spike를 형성.
    • outer capsid가 제거되어도 남아있는 σ1 단백질 분자가 cell attachment에 필요한 부분을 형성해 감염성 부여. - Orbivirus, Coltivirus, Seadornavirus 등 일부 바이러스는 절지동물 벡터에 의해 동물에게 전염됨. - Rotavirus의 Group A는 실온 보관해도 수 개월 안정, 냉동 보관 시 수 년간 안정.
  • 15.1 Bluetongue virus:

    • Culicoides(등에모기속)에 의해 전파
    • 특정 양 품종, 야생 반추동물.
    • 며칠간 발열, 구강 점막의 충혈, 과도한 구강 분비물, 입의 거품.
    • 심한 경우 혈관 손상으로 인한 혀의 청색증 (“Blue tongue”).
    • 약독화가 덜 된 백신은 병원성 회복 및 임상증상 유발 가능 (위험)
    • 불활화 백신은 안전하지만 다양한 혈청형에 대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반복접종 필요
  • 15.2 African horse sickness virus:

    • 말에서 매우 치명적 (폐사율 ~90%) (노새, 당나귀에서는 그 정도 X)
    • Culicoides에 의해 전파, 늦여름-초가을 발생
    • 중증의 진행성 호흡곤란, 폐사
    • 발열(3~6일) → 특징적인 안와 눈꺼풀 부종, 결막에서 충혈&출혈 → 입술, 혀, 하악과 상악 사이, 후두부의 부종, 목과 흉부의 피하부종
    • 흡혈 곤충에 물리면 → 국소 림프절에서 먼저 복제되고 → 다른 조직과 장기로 전파 (1차적으로 macrophage, dendritic cells, 내피세포에서 복제)
    • 폐의 팽창, 무거움. (정상 폐는 쪼그라들어야 함)
    • 심낭수, 흉수, 심낭 출혈, 부종성 흉부 림프절, gantric fundus의 울혈 등으로 인함
  • 15.3 Rotavirus infection:

    • 우유를 많이 섭취 : 장상피에서 lactase의 분비 감소 → 많은 양의 우유가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장관 내에 존재 → 삼투압 장애, 많은 양의 설사
    • 주로 어린 양에서 전염성 설사를 보임. + 송아지, 새끼 돼지, 망아지
    • 마우스의 신생 개체 : EDIM(epizootic diarrhea of infant mice) 발생 (흡수 장애, 계속 먹지만 왜소해짐, 폐사율은 낮음.)
    • 어린 토끼 : epizootic의 경우 아주 높은 폐사율. / enzootic의 경우 m-Ab가 transplacentally하게 전달되어 이환율은 높지만 폐사율은 낮음.
    • 조류 : 어린 칠면조에서 가장 흔함. 설사, wet litter, litter eating, 탈수, 증체량 감소, 안절부절 못함, huddling, 발육 부진, 폐사 등.
    • 바이러스 감염 결과 소장 villi 끝의 (최종 분화된) enterocyte가 파괴됨. → 장에서 흡수장애, 소화장애 발생
    • 손상된 villi로 인해 lactase 같은 이당류 분해효소가 줄어듦 → glucose-coupled sodium transport 감소됨 → 소화되지 않은 모유가 남아 세균 증식과 삼투압 불균형을 유발
    • 바이러스의 NSP4 단백질의 enterotoxin의 작용과 바이러스로 유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인해 → 장 상피의 분비 pathway가 활성화 → 전해질을 장관 내로 분비, 설사 증상 심하게 유발 (“secretory diarrhea”)
  • 17. Paramyxoviridae:

    • enveloped, pleomorphic
    • 바이러스는 150-300nm로 큰 편, 큰 spike 단백질이 표면을 덮음.
    • single linear (-) ssRNA, 13-19kb.
    • F (fusion) : 낮은 pH에 의존 X 안배움,족보
    • HN(=H=G) (hemagglutinin-neuraminidase) : Hemadsorption(적혈구흡착) 안배움,족보
    • syncytium을 형성함.
    • 바이러스의 F protein(fusion protein)이 proteolytic cleavage를 거쳐 F1 형태로 활성화되면 주변 세포의 세포막과 fusion된다. (F1 단백질의 말단에는 hydrophobic domain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세포막과 바이러스의 membrane이 fusion) 주변 세포와 합쳐서 핵이 여러 개인 큰 세포가 관찰된다.
    • Sequential interrupted synthesis mechanism : 5’에서 3’으로 전사, 하나의 유전자가 전사된 후 멈췄다가 다음 유전자의 전사가 일어남.
  • 17.1 Rinderpest virus:

    • 1920년 이후 OIE 발족의 원인. 집중적인 전 세계적 노력으로 지금은 근절된 것으로 여겨짐.
    • 소, 야생 동물을 포함하는 우제류(artiodactyles)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높은 질병.
    • 3-5일의 잠복기 후, 체온 급상승, 모유 생산 감소, 호흡곤란, 수유 중단결막, 구강, 비강 점막의 울혈 → 장액성 또는 점액성의 안구비강(oculonasal) 분비물 → 전체 구강 상피에서 광범위한 erosion, ulceration (병변 서로 유착) → GI tract 증상; 출혈성 설사, 탈진 → 체온 급격 하강, 탈수, 쇼크로 폐사 가능
    • 임상 증상 나타나기 전, 잠복기 동안 다량의 바이러스 배출.
  • 17.2 Canine distemper:

    • 심각한 중추 신경증상 (간질 발작, 감각운동 실조, 하반신 마비 등)
    • 이봉열(biphasic fever), 경척증(발바닥 경화)는 특징적인 증상 족보에만 나옴
    • 강아지에게 약독화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서는 모체 이행항체가 없어야 한다.
    • 이를 위해서 monograph 진단 방법을 사용하거나 modified live virus vaccine을 생후 6주령부터 2-4주 간격으로 16주령까지 접종한다.
    • 백신 break가 야기될 수 있음.
  • 17.3 Hendra & Nipha virus:

    • 사람에게 전파되는 주요 벡터는 peropus 박쥐로 알려져 있음.
    • 사람에게 전파되는 이유는 박쥐의 섭식환경이 변화하는 시점에 사람과 접촉하기 때문으로, 박쥐의 침이나 분변, 소변, 태반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주요 원인
    • 짧은 임상증상, 빠른 폐사
    • 사람에서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냄.
    • 고양이, 기니피그 감염 가능. 토끼, 마우스 감염되지 않음.
  • 18. Rhabdoviridae:

    • intracytoplasmic iniclusion (Negri bodies)
    • Attenuated transcription (=stop–start transcription=stuttering transcription)
    • 전사된 결과 3’ 말단에 있는 유전자일수록 더 많이 전사되고 5’에 갈수록 적게 전사되는 것을 말한다.
  • 18.1 Rabies:

    • Rabies 의심동물에 물린 경우 상처 부위를 비누를 이용해 아주 강하게 씻어내야 한다. 노출 정도를 확인하고 노출된 것이 의심된다면 지역 공중보건 공무원에게 즉시 알려야 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물린 이후에 접종받는 백신도 효과가 있으니 백신을 접종한다.
    • Rabies의 야생 동물 reservoir control을 위하여 사용되는 bait vaccine
    • 야생동물 분야에서는 약독화 생백신이나 재조합 백신이 들어있는 미끼백신을 사용한다.
  • 19.1 Marburg & Ebola Hemorrhagic fever virus:

    • control : 질병이 발생한 국가로부터 영장류 수입 금지, 대부분의 수입국은 수입 검역 시설 운영, 국제 영장류 운송 및 수입 표준 준수
  • 24.1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

    • Porcine Respiratory Coronavirus는 처음에 TGE의 gene deletion으로 발생했으나, 지금은 더 흔한 질병이 됨.
    • 어미 돼지에게 사체로부터 획득한 혈장을 구강투여함. / 1-2주령 사이 새끼돼지들이 폐사하면, 폐사체의 장 샘플에서 바이러스를 추출, 정제, 모돈에게 급이.
    • 1-2주 내에 면역이 부스팅되고 초유에서 높은 농도의 IgA를 분비한다.
  • 24.2 Porcine Respiratory Coronavirus (PRCV):

    • TGE 바이러스의 5’쪽 deletion muation → tropism이 장관계가 아니라 호흡기로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