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구 투약

  • 준비
    • 동물을 쓰다듬어 친밀감을 형성한다.
    • 전후로 주둥이를 충분히 만져 약물 투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인다.
  • 절차
    1. 어금니 뒤쪽을 잡고 입을 벌린다.
    2. 약물을 식도 깊숙히 넣는다.
    3. 주둥이를 모아주어 약물이 뱉어지지 않도록 한다.
    4. 목을 부드럽게 쓰다듬어 삼키도록 유도한다.
    5. 식도를 만져 약물이 잘 넘어갔는지 확인한다.
  • 주의사항
    • 약물이 목에 걸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삼켰는지 확인한다.
    • 실패 시 동물이 더 거부감을 가지므로 한 번에 성공하도록 노력한다.
    • 액상 제제는 뒤쪽 이빨이 없는 부분(검은 부분)으로 밀어넣고 깊숙히 넣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2. 피하 주사 (SC)

  • 준비
    • 동물이 안정적으로 있으면서 주사자를 공격하지 않을 수 있는 자세로 보정한다.
    • 침습적 행위이므로 조금이라도 위험할 것 같으면 반드시 넥카라를 착용시킨다.
    • 주사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한다.
  • 주사 부위
    • 목 뒤쪽과 어깨 옆 부위가 일반적이다.
    • 갈비뼈가 만져지는 부위는 피하고 등 쪽을 선택한다. (잘 모르는 사람이 하면 폐나 흉곽으로 들어갈 수 있다.)
  • 절차
    1. 주사 부위를 알콜솜으로 충분히 소독한다.
    2. 중지와 엄지로 피부를 들어올리고 검지로 눌러 삼각형 모양의 텐트를 만든다.
    3. 45도 각도로 바늘을 삽입한다. 주사기를 잡을 때는 엄지를 위로 향하고 세 손가락으로 아래를 받쳐준다.
    4. 바늘의 경사면이 위를 향하도록 한다.
  • 주의사항
    • 올바르게 주입 시 음압이 걸린다.
    • 혈관을 찔렀을 경우 음압이 걸리지 않고 혈액이 나온다.
    • 피부 모세혈관을 찔러 핏방울이 맺힐 수 있는데, 당황하지 말고 알코올 솜으로 1-2분간 눌러 지혈한다.

3. 근육 주사 (IM)

  • 준비

    • 카테터가 장착되어 있는 입원 환자에서는 IV가 일반적이지만, 외래에서는 카테터 장착이 번거롭다 보니 SC나 IM을 주로 시행한다.
    • 둘 다 가능할 경우 IM보다 SC가 덜 아프다.
    • 약물 종류에 따라 특정 경로만 가능한 경우가 있다.
  • 주사 부위

    • 일반적으로 triceps, quadriceps, dorsal lumbar 부위에 주사한다. 근육이 두꺼운 허벅다리 쪽을 많이 사용하며, dorsal lumbar는 심장사상충 주사 등 특정 주사에 필요하다.
    •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찌르지 않도록 정중앙보다는 옆쪽에 주사한다. 주로 뒤쪽.
  • 절차

    1. 보정할 때 뒷다리는 허벅지에서 무릎관절 쪽을 단단히 잡아 고정하고, 앞다리는 관절 부위를 잡아 근육을 노출한다.
    2. 근육 위치를 만져서 확인하고, 앞쪽을 눌러 뒤쪽 근육에 긴장을 준다.
    3. 수직으로 바늘을 삽입하되 신경을 누르지 않도록 방향은 약간 뒤쪽으로 한다.
  • 주의사항

    • 근육 주사는 SC보다 통증이 심하므로 동물을 꽉 보정해야 한다.
    • 백신의 경우 근육 주사가 많으며, 주사 후 일시적으로 절뚝거릴 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미리 설명한다.
    • 신경을 찌르지 않도록 특히 주의한다.

4. 경정맥 보정과 채혈

  • 보정 방법
    • 넥카라를 씌우고 목 부위를 위로 당겨준다. 턱뼈를 눌러주되 목을 과도하게 조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 소형견은 한 팔로 안고, 같은 손으로 앞발을 잡아주며, 다른 손으로 목 부위를 보정한다.
    • 경정맥(jugular vein)의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한다.
  • 절차
    1. 네 손가락으로 피부를 뒤로 넓게 밀어 긴장을 주고, 엄지로 혈관을 압박하여 노장시킨다.
    2. 뾰족한 부분이 피부에 먼저 닿도록 사면이 위로 향하게 삽입한다. 들어갈 때는 거의 평행하게 들어간다.
    3. 바늘을 빼면서 즉시 엄지로 압박하여 지혈한다.
    4. 보조자가 알코올 솜으로 지혈을 이어간다.
  • 주의사항
    • 주사기 사용 전 피스톤을 당겨볼 때 압이 걸리지 않으면(뻑뻑하지 않으면) 이미 다른 사람이 사용한 것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주사기에서 바늘을 뺄 때 찔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 고양이의 경우 담요로 싸서 보정하거나 필요한 다리만 노출시켜 작업한다. 고양이는 날렵하고 잘 빠져나가므로 특히 주의해서 보정한다.

5. 카테터 장착

  • 준비
    • 보조자는 동물의 앞발에서 관절 부위까지 단단히 잡아 고정한다.
    • 노장할 때는 보조자가 손으로 보정하거나 토니켓으로 압박할 수 있다.
    • 동물은 distal 쪽을 만질수록 싫어하므로 가능한 proximal, 관절 쪽에서 잡아줘야 안정감을 느낀다.
  • 절차
    1. 카테터(바늘+연성 튜브)로 정맥을 관통한다.
    2. 혈액이 맺히는 것을 확인한 후 카테터를 약간 더 진입시킨다.
    3. 연성 튜브를 충분히 밀어넣은 뒤, 바늘을 빼면서 동시에 캡을 닫는다. 이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혈액이 새지 않는다.
    4. 주사기를 연결하여 피를 뽑아보면서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5. 캡 위쪽을 테이프로 감고, 바늘이 들어간 부위를 감고, 테이핑을 이어간다. 이때 테이프가 1/3씩 겹치도록 한다.
  • 주의사항
    • 예민한 동물이나 고양이, 혈관이 얇은 개체는 순식간에 다리를 확 뺄 수 있으므로 마지막까지 방심하지 않도록 한다.
    • 캡을 끼우고 테이핑 하는 중에도 위치가 틀어지거나 혈관 끝에 막혀 있을 수 있으므로 끝까지 계속 확인해준다.

6. Cephalic Vein IV

  • 준비
    • 큰 개를 눕힐 때는 안쪽 다리를 들고 눕혀야 한다.
    • 차가운 바닥에 바로 눕히지 않고, 바닥에 패드나 담요+패드를 깔아 환자를 편안하게 한다
    • 팔을 동물의 안쪽으로 넣어 몸통이나 목 부위를 고정하면서 주사할 쪽 다리를 잡아준다.
  • 주의사항
    • 경정맥에 비해 관절이 많아 움직임이 크므로 유지가 더 어려운 편이다.

7. 지혈

  • 절차
    1. 카테터 제거 전 주입 부위에 솜+테이프를 올리고 단단히 감는다.
    2. 카테터를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3. 테이프를 겹쳐 가며 충분히 감은 뒤 테이프 끝을 접어 고정한다.
    4. 1-2시간 동안 압박 상태를 유지한다.

과제

경구투약, 경정맥 채혈, 정맥카테터 장착에서 필요한 물품 리스트를 각각 작성하여 제출

  • A4용지에 자필로 작성할 것
  • 태블릿 사용 금지
  • 분량 제한 없음

Transclude of 내과실습2-1주차-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