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말의 소화기 구조
말의 소화기관 (Equine gastrointestinal track)

말에는 담낭이 존재하지 않음.
입
- 견치 : 수말에게만 존재함
- 제1전구치 = 낭치(wolf lteeth) : 저작 기능이 없음, 매우 작게 존재함
- 재갈을 어금니 끝부분에 물림. 낭치에 이상이 생기면 통증을 유발해서 재갈 물리기 어려울 수 있음. 불편을 주면 제거 필요
- 영구치는 4년에 걸쳐 생성됨.
소화기

- 단위 동물
- 위 용적이 체구에 비해 작음
- 중앙에서 약간 좌측
- J자 구조, 강력한 괄약근 ⇒ 구토가 어려움.
- 스스로 해소하기 어려워 위확장, 위파열 발생.
- 산통이 발생하기 쉬움.
- 대결장 : 소화물이 지나가면서 좁아짐, 흐름 방해하는 구조. → 산통을 발생시키기 쉬움.
- 갑자기 좁아지는 구간이 3부분 정도 있음
- 골반낭 부근에서 직경이 약 20→8 cm로
- 대결장에서 소결정으로 넘어갈 때 40→ 8cm
- 맹장에서 대결장으로 넘어갈 때

- 맹장의 ventral band : 이 band를 만져서 맹장이 제대로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 가능
입안에서 발생하는 질병
- 치아 검사 : mouth gag 장착해서 입 안을 열
- 말은 소와 달리 날카롭게 물어 끊어버림. 물리면 위험.
| 낭치검사 | 부정마모 |
|---|---|
![]() | ![]() |
| - 말의 가장 큰 기능적 목적은 기승. 그래서 재갈이 중요. - 낭치가 아프면 재갈을 안 끼려고 함. | - 어금니 부분이 마모되면서 하악은 안쪽으로 뾰족, 상악은 바깥쪽으로 뾰족 - 거의 면도칼 수준으로 날카로움 → 뺨에 상처를 입힘 → 재갈을 물지 않으려고 함. |
- 정치 주기 : 성마는 연 1회, 유년기 및 고령마는 연 2회
| 구강/치아/식도 질병 | |
|---|---|
| 구개열 (cleft palate) | |
| 치은염 (gingivitis) / 구내염 (stomatitis) | |
| 구강 궤양 (oral ulceration) | |
| 타액선 질환 (salivary gland dz) | - 타액 결석, 철조망 등에 의한 외상, 후낭 수술 후 등 발생. - 위관을 통한 사료 급여 필요. - 결석을 제거하여 치료 |
| 입술/혀 외상 (Trauma) | - 봉합을 통한 치유 효과가 매우 좋음 - 혈관 분포가 많아서 치유 효과 좋음 - 항생제, 전신소염제 처치하여 치료 |
| 식도 폐색 (choke) | - 어릴 때 사료 공급 부족해서 이것저것 막 먹음 - 전신 마취 후 회복이 덜 되었는데 음식 먹었을 때 - 점점 사료를 먹지 않음 후낭이 식도를 막고, 연하가 불가능해서 역류 일으킴. - 위관을 집어넣으며 아래로 밀어버리는 : 물리적으로 해소 & - 소염제, 진통제 : 감염 예방 |
| 식도 협착 (strictures) | - 보통 식도 폐색에 2차적으로 발생 - 드물게 식도 평편상피암에 의해서도 발생 - 연하곤란 (사료 삼키기 어려워함) - 치료 : 잘게 썬 알파파 등 조사료가 첨가된 부드러운 사료 급여 |
| 위/장 질환 | |
|---|---|
| 위확장 (gastric dilatation) | - 위에 사료가 가득 축적 → 내려가는 통로가 막혀 위가 확장됨. - 과량의 물 흡수, 공기 흡수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 - 심한 급성 통증을 유발, 위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견좌 자세 - 복통 → 심박수 80 이상 - 위폐색 : 수술 필요 |
| 위염 (gastritis) | - 말에서 위염은 위궤양에 비해 잘 발생하지 않음. (pass) |
| 위궤양 (gastric ulcer) | - 위 내부는 비었는데 위산은 계속 분비 → 위궤양 발생 - 운동 능력 감소, 식욕 부진 등의 증상 - 치료 : 스트레스 요인 제거, 휴양, NSAIDs 중지 및 ㅣ조절 - Omeprazole 제제 효과적 - 경주마에서 말의 복지 및 능력 향상을 위해 예방적 치료 권장 |
| 위 종양 (gastric neoplasia) | pass |
| 소장 장염 | - Salmonella, Clostridium spp 등에 의해 발생 - 3세 이상에서 다발 - 소장 폐색, 염전 등과 감별 - 80% 치유됨, 치료 기간 통상 3-4일 - 위관을 상시 장착하여 수시로 감압(gastric decompression) - 합병증 예방 제엽염 : 혈관 독소들이 제엽에 염증을 유발해서 심한 파행과 통증, 제벽의 탈락을 가져오는 질환. 위장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 가능. |
| 소장운동 항진 (SI hypermotility) | - 전형적인 심한 복통 - 복부 청진 시 장 운동음을 격렬하게 청취 |
| 급성 설사 (acute diarrhea) | - 심한 설사 미치 복통, 빠르게 증상 악화, 쇼크까지 이어질 수 있음 - 특정 항생제나 NSAIDs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발생하기도 함 |
| 만성 설사 (chronic diarrhea) | - 원선충(strongylus spp)이 가장 문제 많이 일으킴. - 장내 모래 축적되어 장 점막을 자극하기도 함. - 가장 특징적인 증상 : 체중 감소, 피부 거칠어짐 - 치료 : 구충제, 수액 및 전해질 공급 |
| 변비 (constipation) | - 망아지에서 대변 배출 능력이 없어 태변 정체 → 산통 발생 - 치아 질환, 기생충 감염, 잘게 분쇄된 곡물 사료 다량 급여 시 발생 - 물이 얼어버리거나 해서 음수 불량 시에도 발새애 - 진단 : 복부 만져보면 단단한 분변들이 만져짐. 병력 청취도 중요한 힌트 - 치료 : 사하제 투여, 대량 수액 정맥내 투입 |
| 복막염 (peritonitis) | - 다른 대동물과 비슷, pass |
| 간 질환 | |
|---|---|
| 간의 이상 | - 간의 75% 이상 기능 상실 후 증상 발현 |
| - 황달 | |
| - 간성뇌염 | - 암몬아 독소가 뇌에 축적되어 뇌염 유발. - 암모니아 (간에서 대사) → 간 기능 저하 → 독성 수준으로 축적 → 뇌염 |
| - 광과민증 | - 간에서 분해되지 않는 phylloerythrin(감광성 물질)이 독성 수준으로 말초혈관에 유입 - 간 질환마의 25%에서 광과민증 발생 |
| 직장/항문 질환 | |
|---|---|
| 직장탈 | - 난산 시 자주 발생 - 분만을 위해 노력하다 직장이 뒤집혀 나오는 |
| 회음부 열창 | - 분변이 복강 누출 시 예후 매우 불량; 안락사가 권유되기도 하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