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악성 종양으로 melanoma (흑색종), 양성 종양으로 Epulis
  • 고양이에서 흔하진 않지만, 발생하면 악성 가능성 높음. (7-80%가 SCC(squamous cell carcinomas))

3-1. Oral Cavity Neoplasm in Dogs

Etiology

  • 대부분 악성 종양 (* Nomenclature : Malignant = -sarcoma / carcinoma)
    • Melanoma (malignant)
    • Squamous cell carcinoma
    • Fibrosarcoma
  • 나머지 양성 종양들
    • Epulis(치은종) : 잇몸 옆에 생긴 신생물을 다 ‘치은종(epulis)‘. 그러나 조직학적으로 3종류로 분류됨.
      • Acanthomatous ameloblastomas (AA) (a.k.a. Acanthomatous epulis)
      •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POF) (a.k.a. Fibromatous epulis) (Boxers)
      • POF-ossifying type (a.k.a. Ossifying epulis)
    • Papillomatosis (유두종증, 양성)
    • Eosinophilic granuloma (Siberian Huskie, Cavalier King Charles Spaniel) : 양성
Epulis의 조직학적 분류 (2014-)
Acanthomatous ameloblastomas (AA) = Acanthomatous epulis
치아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범람질(애나멜질)의 모세포에 생긴 + 가시세포(상피세포) 관련 종양.
이빨을 빼고 치주인대를 긁어내서 치료.
뼈에 침습할 수 있어서 발생한 위치의 뼈(하악 또는 상악) 절제 필요. (양성이지만 골융해를 포함)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POF) = Fibromatous epulis
섬유에서 기원, 완전 양성.
발치하고 치주인대만 제거하면 됨.
POF-ossifying type = Ossifying epulis
fibroma에 속하지만 주변 골화가 있음. 칩습하지는 않음.
역시 치주인대까지 제거하면 되지만, 골화로 인해 난이도 상승.

Canine Epulis

  • 고양이에서는 rare. 주로 개에서 발생.
  • culiflower-like, ulcerated, cystic : Acanthomatous

Clinical Features

  • Halitosis (구취)
  • Dysphagia (연하곤란)
  • Bleeding (출혈)
  • Growth protruding from the mouth (입 쪽에서 돌출됨)

Diagnosis

  • 구강 검사 (Oral cavity examination) : Gingiva, tonsillar, hard palate, tongue
    • 혀뿐만 아니라 입천장 - 경구개, 혀뿌리, 편도까지 다 꼼꼼히 확인.
  • FNA (Cytologic analysis)
    • Mass and regional LN : 구강 종양은 악성인 경우가 많으므로, 국소 림프절에 대한 FNA도 같이 시행.
  • Histopathology (definitive dx: 확진을 위한 조직 검사)
    • Incisional biopsy
  • 흉부 방사선 (Thoracic radiographs) : 폐 전이 여부 확인
    • 거의 없지만 만약 전이가 발생하면 아주 심각(very poor prognostic sign)
    • 폐에 전이되는건 구강흑색종밖에 없는데, 예후가 가장 안 좋은 종양.
  • Computed tomography (CT)
    • Maxillary and mandibular imaging - 뼈의 침습(bony involvement)이 있는지 보고, 필요 시 뼈를 절제해야 함.

김내2(A) - Canine Melanoma

Melanoma

  • Tumor of melanocytes - Melanin을 만드는 세포(melanocytes)에서 생긴 종양
  • 양성&악성 둘 다 가능, 조직 검사로 진단.
    • Melanotic한 경우 cytology에서 특이적으로 보이지만 (melanocyte 옆에 까만 pigmentation)
    • 검게 침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amelanotic) 반드시 조직 검사!

Behavior with Locations

  • Benign : 피부에 생김, 양성.
  • Malignant : 빨리 자라는 피부에 생김, 악성, 예후가 안 좋음.
    • 빨리 자라는 세포 : oral cavity, mucocutaneous 경계부, nailbed(손톱이 자라는 뿌리 부분).
    • Malignant melanoma라고 하면 무조건 이 셋 중 하나에 생긴 것.

Canine malignant ORAL melanoma

Melanoma의 병기

  • 1기 : 2cm 미만이고 림프절(LN) 전이, 원격 전이(metastasis)가 없음.
  • 2기 : 2-4cm, LN 전이와 원격 전이가 없음.
  • 3기 : 4cm 이상, LN 전이 있음, 원격 전이 없음.
  • 4기 : LN 전이와 상관없이 원격 전이가 있음. (ex-폐에서 전이 발견)
  • Grow rapidly (> 2cm) : 매우 빨리 자라므로 보통 2기(2cm 이상)일 때 내원
  • 빨리 자라면서 궤양이 생김(ulcerated)
  • Amelanotic한 경우처럼, 항상 흑색인 것은 아님 (variable pigmentation)

Canine MALIGNANT melanoma (oral 포함한 전체)

  • Very aggressive
    • 전이율 30-75% (oral 80-90%)
    • 국소 재발보다는 림프절이나 폐로의 전이가 많음 (Lungs or local lymph nodes > local recurrence)
      • 보호자는 구강 재발만 신경쓰므로, 폐 촬영이 주기적으로 필요하다는 걸 강조해야 함.
  • Guarded prognosis : 예후 매우 안 좋음.
    • 전이가 너무 빨라서 보통 수 개월밖에 생존하지 못함.

Treatment options

  • Surgery or radiation : 수술은 국소적 접근이니, 폐로의 전이는 막을 수 없음.
  • Chemotherapy : Carboplatin (반응 < 30%)
    • 독성은 높으나 치료 효과는 별로 없음. 치료를 권하지 않는 종양 중 하나.
  • 전신 치료를 하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백신이 최근 개발됨 ❗

백신 - Immunization with Xenogeneic Human DNA (이종 Human DNA 이용)

  • Gene for human TYROSINASE inserted into DNA plasmid
  • 이름은 백신이지만 예방이 아니라 치료하는 백신 (=면역 유발)
  • Encoding tyrosinase family proteins
    • Melanin을 많이 분비하는 주범인, melanoma 세포 표면의 당단백질(tyrosinase)을 공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genogenic(이종)의 human DNA를 개에게 접종함.
    • 사람과 개의 tyrosinase는 매우 비슷함. 개의 DNA를 넣으면 동종이어서 면역 형성이 안 되지만, 사람의 tyrosinase를 vector에 끼워서 주사하면 이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내는데, 매우 비슷해서 개의 tyrosinase도 같이 공격됨.
  • 높은 수준으로 과발현된 tyrosinase만 공격하지만, 낮은 확률로 백반증 생김.

항암제의 구분

  • 1세대 - 일반 항암제. 빨리 자라는 세포를 공격. 머리카락도 공격해서 머리가 빠지고, GI 쪽 세포들도 공격해서 위염과 장염. 골수도 공격해서 면역 저하, 빈혈.
  • 2세대 - 표적 항암 치료제. tyrosine-kinase inhibitor이라는 signal을 타겟으로 함. 정상세포에 영향 거의 없음.
  • 3세대 - 면역 항암 치료. 나이가 들면서 암세포를 없앨 만큼 면역이 일하지 못함. 종양을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signal을 없애주면, 다시 자기 면역력으로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음.

지금 배운 백신이 개에서 유일하게 승인된 면역 항암 치료제.


Melanoma vaccine in dogs

  • Oncept® (MERIAL 회사)

  • Immunotherapy (면역치료) : 예방이 아니라 치료 목적 (treat, not prevent)

  • 구강흑색종 중 stage Ⅱ 또는 Ⅲ 에 적용

  •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원한다면 써도 무리 없음..

  • Indications (*No contraindications)

    • 수술적 절제, 방사선 치료 이후
    • 전이가 없고, 눈에 보이는 국소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효과가 좋음
  • Side effects : 거의 없음 (드물게 약한 부작용 - redness, swelling, mild pain)


  • Dosing : 2주 단위로 4번 Induction → 6개월에 1번 Boosting


비용 : Induction은 300만원 정도 (+ boosting : 회당 70)

  • 치료 효과 : 생존률이 유의미하게 증가 (치료한 개의 75%에서 15개월 이상 생존)
    • 백신을 맞지 않은 상태에서는 maximum 3-6개월
  • 구강이 아닌 다른 악성 종양에서도 효과가 있음.
    • 특히 Nail bed, skin에서 발생한 종양
    • 수술 ⇒ 1년 생존, 2년 이상 생존률 10%
    • 수술+백신 ⇒ 500일 생존, 50% 2년 이상 생존률 50%.
Link to original

3-2. Oral Cavity Neoplasm in Cats

Etiology

  • Less common in cats : 고양이에서 종양 발생은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 Almost all malignant : 발생하면 대부분 악성 (SCC 7-80%)
  • 구강의 크기가 작아 발견이 어려울 수 있음 - 치아와 혀 사이, 경구개, 혀뿌리 아래, 편도 안쪽 등에서 발견됨.

Clinical Features

  • Dysphagia, halitosis(구취), anorexia, bleeding

Diagnosis

  • Large, deep biopsy : 최대한 깊은 부위에서, 최대한 넓게 절제하여 검사하는 것이 좋음

Treatment

  • Surgical excision & Radiation therapy +/- chemotherapy [항암제는 carboplatin]
    • 수술 후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치료를 병행할 수 있으나.. 효과는 크게 없음.
    • 종양 위치가 좋지 않아 완벽한 절제가 어려운 경우(incompletely excised) 병용하기도 함. (예후는 불량)

Prognosis

  • SCC → 거의 생존 불가능 (guarded to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