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당일날의 수술 준비

윤외 실습 2. 시험용

2-2. 환자 준비

  • Initial preparation (non-sterile)
    • 환자 최초 자세 잡기 (initial position)
    • 환자 소독
    • 여기까지는 오염된 공간에서 진행됨. 비멸균장갑으로 클리핑 허용
  • Final preparation (sterile)
    • 환자 자세 잡기, 소독
    • 수술 직전에 실시하므로 멸균 장갑을 끼고 소독함.
  • Just-in case
    • 12시간 전부터 물과 금식 fasting, 너무 작은 동물은 저혈당이 올 수 있으므로 6시간 전
    • 마취하면 안검반사 사라짐. 눈이 뜨인 채로 수술을 내내 진행하면 각막이 말라 궤양 발생. → 안연고나 윤활제를 각막/결막 쪽에 넣어줘야 함.(ophthalmic antibiotic ointment or lubricants)

1️⃣ Initial prepation

  • 마취 진행 후 시행

  • Hair clipping

    • pencil grip : 소형견일 때. 연필 잡듯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으로 잡음.
    • palm grip : 대형견일 때는 손바닥으로 감싸안으면서
    • tense skin : 왼손으로는 skin이 찢기지 않도록 tense 주기
    • depend on size of animal : 얼마나 clipping할지는 환자의 크기에 따라 조절, “충분히 많이”
  • Removing a remnant of hair using wet gauze

    • clipping된 가장자리는 어디는 깎이고 어디는 안 깎여 있는데, 수술포를 덮는 행위 등에 의해 털이 날려 술야에 떨어질 수 있음.
    • 젖은 거즈로 훑어내 남은 털도 제거해줌.
  • Urinary bladder expression

    • lateral로 눕힌 모습
      방광을 짜내야 함.
    • 개복술에서, 피부와 복벽과 하복부에는 방광이 있음. 수술 시에 신장의 허혈을 막기 위해 수액을 계속 맞는데, 따라서 방광이 계속 팽창함. 개복하다가 방광을 터뜨릴 수도.
    • 환자를 dorsal이나 lateral로 눕히고, 방광을 부드럽게 촉진한 뒤 caudal 쪽으로 부드럽게 짜냄. 갑자기 누르면 sphincter가 열릴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해 오히려 방광이 터질 수 있음.
    • gradually, 천천히 뒤쪽으로
  • Prepuce flushing

    • 포피 세척. 포피를 술자 바깥으로 고정, 요도 카테터 등 다양한 방법.
    • 방광이 수액으로 꽉 찬 상태에서 수술 조작을 하다 보면 오줌이 나올 수 있는데, 소변이 포피를 통해 복강으로 들어가면서 포피의 지저분한 세균까지 다 끌고 들어갈 수 있음.
    • 식염수를 넣어 충분히 flushing해줌. 또는 0.05 chlorohexidin (심한 경우)
  • Initial positioning : 최초 자세를 잡고 - clipping - 소독. 수술 부위에 따라 자세 달라짐.

  • Rough scrubbing with non-sterile glove

    • 비멸균장갑을 끼고 소독
    • Target pattern : 원을 그리면서 소독함. 개복수술.
      • i) incision line에서 up&down으로 10번 정도 왔다갔다한 뒤, 작은 원부터 시작해서 점점 바깥쪽으로 커지면서 소독, 털에 묻으면 소독솜을 버림.
      • ii) 다른 소독제(알코올) 또는 식염수로 소독제를 rinse(없앰).
      • i)~ii)를 1세트라고 할 때, 3세트 반복.
    • Orthopedic pattern : 정형외과 수술. 다리 소독.
      • incision line up&down으로 10번.
      • 양손에 소독솜을 잡고 distal(발끝)에서 proximal 방향으로 소독한 뒤, 양손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서 180도만큼 채움. ( ⇒ 총 360도 다 채워짐)
      • 같은 방식으로 rinse, 이렇게 3세트 반복
      • 이렇게 소독하기 위해 Limb gloving and taping (for limb procedures) 이 필요.
        • 지간(발가락 사이, 발 쪽)은 clipping이나 소독을 완벽하게 하기 어려움. 따라서 발을 멸균 glove로 씌움. 평평한 surface로 만들고 그 위에 소독 진행.
    • Perineal pattern : 회음부.
      • target pattern과 유사. 충분히 clipping 후 incision line 위아래로 10번, 원을 그리면서 키워나감.
      • 차이점) 변이 나올 수 있으므로, 항문에 gauze를 장착하고 주머니 봉합(purse-string) 시행.
Target patternOrthopedic patternPerineal pattern

2️⃣ Final preparation

  • 오염된 공간에서는 하얀 가운으로 스크럽을 가림. 스크럽은 수술 시에만 입는 것.
  • 수술방에서는 스크럽만 착용. (change your attire)
  • 가장 아래부터 positioner - heating pad - ground plate(접지판) 를 몸에 부착한 환자.
    • Positioner : Thoracoabdominal positioner(M판 또는 V-trough), sandbags(old), vaccum-activated positioning device(모양을 잡고 suction하면 그 모양으로 고정)
  • 수술에 맞는 positioning으로 변경
    • 다리를 반드시 고정해야 함. 잘못 고정하면 혈행을 방해해 다리가 괴사될 수 있음. (Tourniquet effect)
    • 다리 고정 시 string이 주는 압력을 고정하는 방향으로. half-hitch 매듭법을 이용해 다리에 가해지는 압력 분산
Positioning
중성화 수술개복 수술다리 수술회음부 수술 (꼬리 앞쪽으로 고정)
개흉술 (lateral thoracotomy)개흉술 (sternotomy)척추 수술
(ventral recumbency, dorsal clipping)
경추, 식도, 기도 수술
(dorsal recumbency, 경부 clipping)
귀 수술
  • final 소독 : 멸균 장갑을 반드시 착용.
  • target pattern 등의 방법으로 마찬가지로 3세트 실시.
  • 소독제&린스 (minimal contact time; 소독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의 최소 시간)
    • Chlorhexidine & dry gauze (0)
    • Povidone-iodine & dry gauze (5분)
    • Povidone & alcohol
  • 수술 부위에 10% povidone-iodine solution 또는 4% chlorhexidine solution을 뿌려서, clipping 부위 외에도 전반적으로 소독. (앞서 소독했던 것과 같은 종류로 사용)

2-2. 수술팀 준비

모든 건 시간과 동선 순 / 위치에 따라 복장은 달라진다는 것!

  • 수술방 바깥에서는 스크럽 위에 흰 가운 (contaminated area) / 안쪽에서는 scrub만!

Surgical Attire (복장)

  • 모자 : 바깥쪽으로 하나도 나오지 않도록
  • 마스크 : 위쪽 끈은 귀 위쪽으로, 아래쪽 끈은 목으로
    • 모자, 마스크는 수술방 바깥에서 미리 입기도 함.
  • 스크럽 : 상의는 반드시 스크럽 하의 안으로 넣어 입기.
  • 신발 : 수술방에서 신는 신발 or shoe cover

* clean area : 수술방, scrub station, 멸균 기구 보관 공간

Surgical Scrub

  • 불가피한 상황을 대비하여 가능한 많은 microorganism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소독 (손톱, 손, 팔 등에서)

  • 가능한 빨리 소독해야 할 때 Brushless rubs

    • povidone 계열은 사용 불가 (끈적끈적, 5분 필요)
    • chlorhexidine gluconate, ethyl alcohol(휘발성 있는 알코올 계열, minimal contact time 없음), chloroxylenol
  • 반지, 시계, 귀금속 빼야 함

  • Brush (한쪽 면은 솔, 한쪽 면은 스펀지) : fingernail 소독

  • Soft sponge : 손가락, 손, 팔 소독

  • Ten up & down strokes

    • 1면 : 손톱
    • 20면 : 1손가락당 left/right/dorsal/ventral
    • 4면 : 손바닥의 양옆/위/아래
    • 4면 : 팔의 양옆/위/아래
    • 각 면당 최소 10번씩 문지름
    • povidone의 경우 minimal contact time (5분) 채우기
  • Brush 과정

    • 무릎으로 물을 켠다 - 손가락, 손, 팔을 충분히 적신다 - 스펀지를 적셔 거품을 많이 낸다 - 왼쪽 손톱 10번, 손가락 각 면당 10번씩 up&down, 손, 팔까지 - 다시 무릎으로 물을 켠다 - 흐르는 물이 손가락부터 팔꿈치 끝까지 떨어지도록 헹굼 (손에는 microorganism이 가능한 오지 않도록)
    • (왼: 올바른 예시 / 오: 잘못된 예시)
  • Brushless solution이 있는 경우

    • 발로 눌러서 소독하지 않는 손에 짬.
    • 소독하는 손을 손가락 끝부터 담그고,
    • 일부 남은 소독제는 손가락부터 손, 팔로 향하며 소독
    • 다른 쪽 손으로 반복
    • 한번 더 받아서 손 소독 한번 더 하고, 공기중에서 dry.

Gowning

  • 멸균된 가운을 입어야 함.
  • 손소독 후 남은 물기가 가운에 떨어지면 오염.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후 시작.
  • (1) 떨어지는 물방울이 없을 때까지 기다린 후
  • (2) 남은 물기는 멸균 타올로 말림.
    • dry할 손의 반대쪽 손으로 잡음.
    • 8등분된 수건에서 1/4은 손가락, 1/4은 손바닥, 1/4은 전방
    • dry한 손으로 맨 밑 1/4을 잡고 뒤집어서 반대쪽 면으로 나머지 팔을 동일하게 dry.
    • dry한 손은 이제 오염되면 안 되므로 이미 닦았던 부분은 절대 만지면 안 됨.
    • 멸균 수건이 옷에 닿지 않도록 허리를 살짝 숙인 상태에서 진행.
  • (3) 멸균 타올 밑의 수술 가운을 집음.
    • 양쪽 팔을 넣을 구멍은 나와 있는 상태. 팔을 넣어 들면, 아코디언 패턴으로 접었으므로 알아서 펼쳐짐.
    • 손은 계속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 비멸균자가 수술 가운 뒤쪽 목과 허리 끈을 묶어줌. 이때 수술자는 멸균 장갑 착용. (아래 gloving 참고)
    • 나머지 끈(종이 있는)도 앞으로 가져와서 마무리.

Gloving

  • 멸균 glove를 반드시 착용해야 함.
  • Closed gloving : 손이 커프 안에 closed된 상태에서, 계속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은 채로 착용하는 방법.
    • 가장 일반적인, 기본적인 방법.
    • 장갑의 옆면을 잡고, palm-to-palm으로 장갑 손바닥면에 손바닥이, thumb-to-thumb, 엄지과 엄지가.
    • 반대쪽 손 엄지로 장갑을 뒤집음
  • Open gloving : 손이 노출된 상태. 제한적으로 사용 (수술 가운을 입지 않은 채 진행할 때 - 피부 종괴, 생검, 구강 / 장시간 종양 수술 뒤 폐복할 때 오염된 장갑을 벗고 다시 장갑을 착용)
    • 오염된 손이 장갑 바깥쪽을 건드리면 안 됨. 장갑 낀 손으로 반대쪽 커프를 잡고 반대쪽 손에 착용.
  • Assisted gloving

2-3. 수술포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