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 계통의 유래와 특징 - 근교계(inbred strain) - 변이계(mutant strain) - 비근교계(원교계) (outbred) - 교잡군 (hybrid)
- [[#계통의 유래와 특징#근교계 마우스 각론|근교계 마우스 각론]]
- [[#근교계 마우스 각론#DBA : DBA/1, DBA/2|DBA : DBA/1, DBA/2]]
- [[#근교계 마우스 각론#C3H: C3H/H3|C3H: C3H/H3]]
- [[#근교계 마우스 각론#C57BL/6, C57BR|C57BL/6, C57BR]]
- [[#근교계 마우스 각론#BALB/c|BALB/c]]
- [[#근교계 마우스 각론#AKR|AKR]]
- [[#근교계 마우스 각론#RF|RF]]
- [[#근교계 마우스 각론#NZB/N|NZB/N]]
- [[#근교계 마우스 각론#129|129]]
- [[#근교계 마우스 각론#DDK|DDK]]
- [[#근교계 마우스 각론#KK|KK]]
- [[#근교계 마우스 각론#CS (albino)|CS (albino)]]
- [[#근교계 마우스 각론#Sencar (albino)|Sencar (albino)]]
- [[#근교계 마우스 각론#CBA/J|CBA/J]]
- [[#계통의 유래와 특징#변이계 마우스|변이계 마우스]]
- [[#변이계 마우스#Nude|Nude]]
- [[#변이계 마우스#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 [[#변이계 마우스#SAM (senescence accelerated mouse)|SAM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 [[#계통의 유래와 특징#비근교계 마우스|비근교계 마우스]]
- [[#비근교계 마우스#ICR (albino)|ICR (albino)]]
- [[#비근교계 마우스#DDY|DDY]]
- [[#계통의 유래와 특징#교잡군(F1) 마우스|교잡군(F1) 마우스]]
- [[#교잡군(F1) 마우스#BDF1|BDF1]]
- [[#교잡군(F1) 마우스#CDF1|CDF1]]
- [[#교잡군(F1) 마우스#B6C3F1|B6C3F1]]
- [[#교잡군(F1) 마우스#NZBWF1|NZBWF1]]
1주차
계통의 유래와 특징
근교계(inbred strain)
- 형매교배를 20대 이상 계속하는 계통. * 이론적으로 친자교배도 가능하지만, 하지 않음.
- 근교계수 98.6%, 혈연계수 99.6%로, 1란성 쌍생아와 같은 수준이지만, 작은 차이도 누적되면 커진다.
- 중요성
- 개체간 유사성이 높아 각종 실험에서 균일한 반응을 나타내며,
- 계통 특유의 유전적 특징으로 계통 특유의 반응을 나타냄
변이계(mutant strain)
- 특정 유전형질을 유지하는 계통 (ex. yellow, 빈혈, 꼬리 구부러짐, ..)
- 근교계와의 혼동 방지를 위해 로마자의 대문자를 피해 표시함.
- 유전적 특성이 유전자로 표시되는 경우 유전자 기호 사용

- 유전적 특성이 유전자로 표시되는 경우 유전자 기호 사용
- 유전자 기호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 통칭명 사용 ex. Fused(추골 이상 형질), Japanese crooked(대대로 꼬리가 구부러짐)
- 중요성
- 형질의 특징이 유전적으로 확인됨. 유전적 근거 존재.
- 유전적 특징을 나타내는 기호나 표현형으로 나타낼 수 있음.
- 주요 변이 형질
비근교계(원교계) (outbred)
- 다른 곳의 반입이 없이, 일정한 집단 내에서 계속 번식되고 있는 군
- 근교계 유래의 경우, 형매교배를 중지한 번식집단
- 근교계와 같은 가치를 지님
- 근교계는 아니지만, 5년 이상 일정한 집단 내에서만 번식을 계속하고 있는 군
- 유전적 변이가 다양하게 유지되고 있는 특징, 다목적 동물실험에 이용 가능
- 무작위 교배(random breeding)이므로 근교퇴화(inbreeding depression)이 적고, 번식력이 높음
- 무작위 교배는 근교계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산 필요
교잡군 (hybrid)
-
마우스 계통에는 포함X. 생물검정 분야에서 평가됨.
여기서 앞:암컷, 뒤:수컷 -
근교계간 교잡(F1)의 중요성
- 유전적 분산이 근교계처럼 작음
- F1에서 양친 계통의 우성형질이 표현됨
- 잡종강세(heterosis) 발현
- 환경변동에 대한 자기조절능이 강함
근교계 마우스 각론
DBA : DBA/1, DBA/2
- 가장 오래된 근교계 (1900년대 초)
- 번식율 낮음
- 유암 발생율 60%, 백혈병 발생율 6-8%
C3H: C3H/H3
- 유전적 망막이상이 있음
- 유방암인자(MTF) 양성 → 유암 자연 발생율이 높음(94%) : 유방암 연구의 좋은 모델
C57BL/6, C57BR
- 유암 저발생계통, 암 발생에 저항성이 큼
- 신생자의 소안증(눈이 작음), 무안증(눈이 없음), 백내장 발생율
- 수내증 가능성 (2-4%)
- 탈모증(alopecia) 일어나기 쉬움 → 탈모 연구의 좋은 모델
BALB/c
- 유암, 폐암 저발생
- 만성 폐염 호발
- 혈압이 비교적 높음 (마우스 계통 중 계통)
- 깔짚 ??
- 발암물질에 의한 유암 고발증
- 방사선 감수성 높음
- 노령에 심장병 많음, 동맥경화가 다발함
AKR
- 림프성 백혈병 고발증 계통 (60-90%)
- 아계에 따라 비만으로 번식이 어렵다.
- 골수성 백혈병 인자 감수성 높음
RF
- 백혈정 저발증 계통
-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백혈병 발증이 높아짐
NZB/N
- NZB X NZW의 교잡 F1 : 자기면역성 질환모델동물로 유명
129
DDK
KK
CS (albino)
- 성주기 4일에 안정
Sencar (albino)
- Sensitive to Carcinogen
- 발암물질에 의한 피부암 호발
CBA/J
- 수컷은 간암 발생율이 높음
- 림프종, 유방암 고발증
- 망막의 변성 유발 유전자로 사물분간 힘듦
변이계 마우스
Nude
- 간질환 다발
- 선천적으로 thymus 결손
- T-cell이 결손되어 있으나, macrophage와 NK cell의 기능은 오히려 항진됨
- homo(nu/nu)일 때 누드마우스, hetero(nu/+)일 때 정상마우스와 동일
- nude homo 암컷은 유선(젖샘)이 퇴화되어 수유능력이 없음, 번식 불가 (교미하고, 새끼도 낳지만, 젖이 안 나옴,,)
- (nu/+) 암컷 X (nu/+) 수컷 또는 (nu/+) 암컷 X (nu/nu) 수컷으로 번식 가능
- 깔짚 보온 필수, 다른 계통보다 2배 이상 깔아줘야 함, 많은 숫자를 한 번에 키워야 체온 유지에 좋음
- MHV(mouse hepatitis virus)에 감염 시 폐사 증가
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 T cell, B cell이 없어 면역원성이 전혀 없음
SAM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비근교계 마우스
ICR (albino)
- 번식율이 좋고 성체는 비교적 대형
- 온순, 취급이 용이, 건강하고 번식이 잘 됨
DDY
교잡군(F1) 마우스
BDF1
CDF1
B6C3F1
NZBWF1
| 계통 | 특징/용도 | |
|---|---|---|
| Inbred | SPF/VAF BALB/cAnNCrjBgi | |
| SPF/VAF C57BL/6NCrjBgi | ||
| SPF/VAF DBA/2NCrjBgi | ||
| SPF/VAF C3H/HeNCrjBgi | - MTV(유방암인자)가 차단되어 있음. | |
| Closed Colony | SPF/VAF CrjBgi:CD-1(ICR) | - 온순, 취급이 용이 - 번식 성적이 양호 |
| Hybrid Colony | SPF/VAF CrjBgi:BDF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