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

  • Lesion distribution
  • Distribution of lesions
    • Localized / Multifocal / Generalized
    • Symmetric / Assymmetric
  • Region
    • Top DDx를 설정하는 데 중요함.

Morphology of Skin lesions

1차 병변

  • 질환 특이적으로 발생하는 병변.
  • 환자에서 1차 병변을 찾아서 검사해야 유의적인 검사를 얻기 쉬움.
  • 빠르게 나타났다가 빠르게 사라지는 병변으로, 이미 사라졌을 수 있음.
  • pustule, vesicles, papule, etc.

2차 병변

  • 빠르게 사라지면서 2차 병변을 유발하거나, 외부 요인에 의해 나타남.
  • Ddx에는 유의적이지 않지만, 1차 병변이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차 병변을 예측하는 데 유용함.
  • epidermal collarette, scar, excoriation, etc.

Macule, Patch
hyperpigmentation -
* 멜라닌이 많으면 hyperpigmentation.
hypopigmentation - 백반증, DLE 등
Papule
Plaque뭐가 뭘 밀어서. 염증, 알러지,
Postule (농포)여드름 같은 병변.
표피나 표피하에서 나타나거나, 모낭 유래.
Vesicle, Bullavery fragile
1cm보다 작으면 vesicle, 크면 bulla
ulcer 형성하는 경향
바이러스성 피부염?, 천포창, 접촉으로 인한 피부염
VCL(vesicula cutaneous .._)
Wheal (두드러기)피하부종으로 발생, 경계가 명확하고 울퉁불퉁.

Secondary lesion

Epidermal collarette회복기에 나타남.
이것도 있고 papule이나 pastule도 보이면, 진행 중일 가능성.
Scar비정상적인 섬유조직으로 회복됨.
원래 있던 모낭들이 다 날아가고, 탈모(alopecia)가 유발되며 회복되는 경향이 있음.
화상, 심부 농//
Erosion, Ulcer- Erosion : 기저막까진 파고들지 않음, 표피층. 회복 잘하면 scar 안 남음.
- Ulcer : 더 깊게 파인 상처로, 털이 다시 자라지 않고, 반드시 상처를 남김. 2차 감염, 심한 염증을 동반할 수 있음.
감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심부 농피증, 면역질환,
Excoriation (찰과상)궤양이나 미란처럼 피부가 파인 형태를 보임. Self-traumatic한 병변.
발톱 날카로운 병변이나, 대형견에서 잘 보임.
소양감을 유발하는 모든 질환이 Ddx.
Fissure보통 각질이나 영양 문제로 생김.
Lichenification태선화)피부가 단단하고 두꺼워짐.
수 주에서 수 년에 걸쳐 발생.
가려워서 문지르면서 발생.
hyperpigmentation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정상 피부로 돌아오기 어렵지만, 가능
Callus..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두꺼워진 병변.
피부가 땅에 직접 닿는 부위나, 뼈가 피부 바로 아래 있는 곳 (팔꿈치 등)에 자주 발생.

Primary or Secondary

Alopecia
Scale
Crust
Follicular casts특이도가 높진 않음.
Comedo사람의 블랙헤드 같은.
Pigmentary abnormalities

Erythema 같은 경우는 붉은색으로 빗금 침. 핑크빛이면 간격을 넓게, severe하고 매우 빨갛다면 간격을 좁게, 그러나 indication도 해줘야 함. 주관적이기 때문에 한 환자에 한 수의사가 원칙. 사진만으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병변이 있기에 시진표를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