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oquinolones

  • 다양한 투여 경로, 제제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다 사용으로 인해 수많은 부작용이 동정되면서 현재는 2선 선택약물로 사용된다.
  • 작용 기전 : 세포벽의 porin 통로를 통해 세균 내부로 들어가 필수 효소에 결합하여 DNA 연결을 방해한다. 그람 음성균의 DNA gyrase, 그람양성균의 topoisomerase Ⅳ를 표적으로 한다.
  • 항균범위 : 그람 음성 간균이 main target이며, 결핵 치료에도 2선 약물로 사용된다.
  • 퀴놀론핵의 구조적 변화를 기반으로 세대를 구분한다.
    1. 1세대 : Nalidixic-acid, 호기성 그람음성간균과 대부분의 장내세균에 활성을 갖는 협범위 항생제이다.
    2. 2세대 : ciprofloxacin, 세포 내 침투가 개선되었으며 광범위한 작용 범위를 가진다.
    3. 3세대 : Levofloxacin, 2세대 약물의 항균범위를 유지하며, 일부 내성 균주들에 대한 활성이 높아졌다.
    4. 4세대 : Moxifloxacin, gemifloxacin, delafloxacin, 그람 양성균까지 target 범위를 넓혔다.
  • 내성 : 표적 결합 변화, 막 투과성 감소, 유출펌프
    • DNA gyrase나 topoisomerase Ⅳ를 부호화하는 세균 유전자의 변이가 표적 부위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 막투과성 감소로 약물이 topoisomerase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한다.
    • 유출펌프를 통해 세포에서 fluoroquinolone을 능동적으로 제거한다.
  • 약동학 : 경구 투여 후 잘 흡수된다. CSF로의 침투가 좋다. 대부분 콩팥에서 배설되므로, 콩팥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 부작용 : 구역, 구토, 두통, 어지럼증 등의 흔한 부작용을 나타낸다. 힘줄파열, 힘줄염이 있을 수 있다. 광독성에 대한 위험성이 있으므로 UV 노출을 최소화한다. 연골독성이 있어 성장판에 독성을 나타낸다.
  • 1세대는 ofloxacin, 그람 음성균
  • 2세대인 ciprofloxacin 은 그람음성간균에 대한 활성이 높아 설사, 장티푸스, 탄저병 치료에 사용된다.
  • 3세대인 Levofloxacin 은 유사한 활성을 지니며, 녹농균을 비롯한 그람음성간균 치료에 사용한다.
  • 4세대인 Moxifloxacin 은 그람 양성균, 그람음성 혐기성균에 대해 향상된 활성을 지닌다.
  • 마찬가지로 4세대인 delafloxacin 은 MRSA, Enterococcus spp.를 비롯한 그람양성알균에 대한 활성이 개선되었다.

엽산길항제

  • 엽산은 RNA, DNA 등의 합성에 필요한 coenzyme으로, 엽산 부재 시 세포는 성장과 분열을 할 수 없다.
  • sulfonamide 는 엽산 합성 억제, trimethoprim 은 엽산 환원 억제 작용을 한다. 두 약물을 섞은 것이 cotrimoxazole 이다.
  1. sulfonamide (설파제)
    • 임상에서 사용된 첫 번째 항생물질이다.
    • PABA의 합성 유사체로, PABA와 경쟁하여 dihydropterote synthetase와 dihydrofolic acid의 합성을 억제한다.
    • 그람 양성균, 그람음성균에 대한 활성을 가진다.
    • 자기 환경에서 엽산을 얻을 수 있는 세균은 자연적으로 내성을 보유한다. 획득 내성은 plasmid 전이나 무작위성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 CSF를 포함한 전신조직에 널리 분포하며, 태반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주로 간에서 아세틸화되며, 사구체 여과와 분비에 의해 배설된다.
    • 부작용으로는 결정요, 과민반응, 조혈장애, 핵황달 등이 있다.
  2. trimethoprim
    • 초기에 sulfamethoxazole 과 병용하여 사용하다가 단일 제제 사용이 승인되었다.
    • 세균의 dihydrofolate reductase를 억제하여 세균 세포가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 sulfonamide와 유사한 범위를 가지지만, 20-50배 더 강력한 효력을 지닌다. 급성 요로감염증 및 세균성 전립샘염 치료에 단독으로 사용한다.
    • altered target, 유출펌프 존재, 투과성 감소 등의 방법으로 내성을 갖는다.
    • 약염기이므로 비교적 산성인 전립선과 질액에는 고농도로 도달해야 한다. O-methylation을 이행하지만, 60-80%는 변화되지 않는 상태로 콩팥으로 배설된다.
    • 엽산 결핍효과를 유발하여 빈혈, 백혈구감소증, 과립구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고용량에서 고칼륨혈증을 초래할 수 있다.
  3. cotrimoxazole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을 합한 것.
    • sulfonamide 단독 사용 시보다 광범위하게 작용하며, MRSA에 대한 연조직감염증에 유용하다.
    • 두 단독 약물에 비해 내성이 적다. 두 약물 각각의 부작용 및 상호작용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