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Prevention and Control

  • 감염된 모체 : 모든 질병에서 ‘격리 후 안락사’
  • 실험 중인 동물 :
    • 1~6(Hanta, Mouspox, LCMV, MHV, Rat Corona, Sendai)만 ‘격리 후 안락사’
    • 이후 질병은 모두 ‘격리 후 실험 진행’
  • 5번 Rat coronavirus
    • 일반 랫드는 2-4주 격리 후 sentinel rat
    • 중요 실험은 격리 후 진행
  • 6번 Sendai virus : 일반 마우스는 4-6주 격리 후 sentinel mouse
  • 2번 Mousepox도 sentinal animal 이용

설사 유발 바이러스

Inclusion body

기억할 만하거나, 치명적인 증상

Hantavirus

한탄강 유래의 zoonosis.

Etiology

  • family Bunyaviridae
    • genus Hantavirus
  • ssRNA, enveloped, spherical~oval, 직경 120-160nm.

Strains

strain나라증상비고
Hantaan virus한/일/중HFRS severe
(고열+신장)
한국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에서 분리
Dobrava-Belgrade virus유럽HFRS severe
Seoul virus한/일/중HFRS mild
(감기 유사)
Norway rat(Rattus norvegicus)가 보균자
Puumala virus유럽HFRS mild스칸디나비아 대륙밭쥐에서 분리
nephropathia epidemica 유발
Sin Nombre virus미국, 캐나다고병원성 HPS
(폐)
미국의 deer mouse에서 분리
Black Creek Canal virus미국고병원성 HPS미국의 목화쥐에서 분리

* HFRS :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HPS :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Clinical signs

  • 설치류는 임상증상 X
  •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계속 바이러스를 배출

Epizootiology

  • 설치류 → 사람, 직접 접촉, 분비물 접촉
  • 불현성 감염 → morbidity, mortality = 0
Link to original

Ectromelia virus (Mousepox)

Etiology

  • family Poxviridae
    • genus Orthopoxvirus
      • Ectromelia virus
  • 크다. oval or brick-shaped DNA virus, 200-300nm 길이.
  • 실온에서 안정, 특히 건조 상태에서 안정.

Strain

  • Hampstead(저병원성) : 최초 분리주

  •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된 바 없음.

  • 국경 방역이 중요.

Clinical signs

  • Acute fatal infection : 전신장기 괴사로 폐사.
  • Chronic infection : 급성 감염에서 살아남은 개체, low martality
    • skin rash(focal, general) - 수 주 내에 없어지지면 hairless scar 존재

Epizootiology

  • 자주 발생하지 않음. 산발적 발생
  • cage 간 전파 가능성 낮음
  • 자궁내 감염, fetal death는 드물지만 보고됨.
  • 자연 감염은 주로 피부상처 (즉 접촉 감염)
  • 피부병변이 생길 정도로 생존이 가능한 저항성 있는 마우스가 전파에는 더 주요함 (3주 정도 바이러스 배출하고, 16주까지 딱지 존재)

Pathology

  • 봉입체(inclusion body) 를 만든다.
    • A-type 봉입체(Marchal body) : 세포질내, eosinophilic(붉은색), 세포질내, 일반 염색, dermarcated(경계가 명확)
    • B-type 봉입체 : 세포질내, basophilic, 강한 hematoxylin이나 IHC로 관찰 가능. (일반 염색으로는 불가!)

  • primary viremia : 피부를 통해 감염 → 국소 Lymph node에서 증식
  • 3,4일 내에 비장과 간으로 이동하여 괴사를 일으켜 폐사.
  • 초기 발진(papule)이 궤양이 되고, 딱지가 형성되고, 떨어져 나가 scar 형태로 나타남.
    • hepatocellular necrosis : 급성 감염 시 나타남. white spot 관찰.
    • 비장의 mosaic pattern : white pulp, red pulp의 괴사 소견 → 육안적으로 모자이크 패턴
    • thymus, lympho node, peyer’s patches, 등에서도 괴사
  • 폐사되지 않으면;
    •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혈관을 통해 감염된 피부로 이동
    • primary skin lesion (감염 6-10일 후 피부 병변이 염증성 edema로 국소적 swelling)
    • 2, 3일 후에 secondary skin lesion (rash : papule → ulceration, scab → scar) ⇒ 피부를 통해 감염되고, 국소 림프절에서 증식했다가, 전신 장기로 이동했다가, 다시 2차 viremia를 통해 원래 피부로 와서 skin lesion

Diagnosis

  • 증상이 특징적 (rash)
  • intracytoplasmic acidophilic inclusion 관찰
  • 혈청 검사는 ELISA, IFA, MFIA

감별 진단

Link to original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LCMV)

Etiology

  • family Arenaviridae
    • genus Arenavirus
  • Zoonoses

Clinical signs

Type증상
cerebral form대뇌 접종 → 운동실조, 경련, 강직 등
visceral formviscetropic strain, 성숙마우스 → 무증상 또는 결막염, 비몽사몽, 복수
Runting and deathneonatally infected → 체중정체, 비특이적 증상
Late-onset diseaseneonatal-12개월까지, 무증상 마우스 → Ag-Ab 사구체신염, 등 구부림, 등
실험감염 시 4가지 형태의 임상 증상이 나타남.

Epizootiology

  • 전 세계 야생 마우스가 자연 보균자
  • 자연 감염은 마우스, 햄스터, 기니피그, NHP, 사람
    • 랫드에서 자연감염 안 됨 / 실험 감염은 되는 듯, 검사 항목 추가됨
    • 마우스, 햄스터만이 타 동물종의 감염원이 될 수 있음. (햄스터 키울 때 주의 필요,,)
  • 출생 전후 자연감염된 asymptomatic carrier mouse[Late-onset form]에서 체액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
  • mouse ↔ hamster → human
    • 햄스터에서 사람으로 감염 주의 (어린아이에서 문제)
    • 사람 : 열, 근육통, 두통, photophobia, nause, meningitis (감별 어려움)

Pathology

  • 자연감염은 드물다
  • cerebral form : nonsuppurative leptomeningitis, perivascular lymphocytic infiltrate
    • 화농성 : 침윤된 게 주로 호중구. 감염원이 세균
    • 비화농성 : 침윤된 게 주로 호산구. 감염원이 바이러스
  • visceral form : 여러 조직에 비화농성 염증 관찰
    • 간의 괴사 : 림프구, Kupffer’s cell, sinusoidal endothelium, 등 많이 침윤
    • lymphoid organ : cytolysis, proliferation, fibrinoid necrosis
    • thymus : cortical thymocyte의 괴사
  • Late-onset disease : 사구체, 맥락얼기, 윤활막, 혈관벽 등에 immune complex 형성 및 관련 염증

Diagnosis

  • ELISA, IFA
  • LCMV-positive tissue를 대뇌에 접종하면 성숙 마우스는 접종 후 10일 이내에 신경 증상
  • (조직병리) 대뇌에서 비화농성 뇌염 관찰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Mouse hepatitis virus (MHV)

Etiology

  • family Coronaviridae
    • genus Betacoronavirus
  • enveloped RNA virus

Epizootiology

  • 마우스에만 감염
  • 전염성이 매우 높음 : 분변, 비강 삼출물이 원인,
  • 자연 수직감염 없음
  • biological material이 중요 감염원
  • 면역 정상 : 1주에 항체, 3-4주에 회복
  • 감염에 의한 면역 = 모성면역 → 예방 가능, 그러나 항원적으로 다른 strain은 예방 불가
  • 감수성 차이는 virus strain-dependent

Strain & Clinical signs & Pathology

Strain증상병리
Enterotropic strain
(=장친화성)
최초 장관상피 증식, 분변으로 배출(신생) 식욕부진, 설사, 폐사
(2-3주) runting, ruffled fur
- intestine → 주변 림프조직 (일부는 간, 뇌까지)
- terminal ileum, cecum, proximal colon에서 흔함
- syncytium (장점막, 장간막림프절 등)
Polytropic strain
(=여러 장기)
최초 호흡기계 증식, 여러 장기로 전파(mild form에 감염된 누드 마우스)
progressive wasting syndrome
- 비강 점막 → 주변 혈관
→ viremia, 2차로 실질장기(간,뇌, 림프)
- 부검 시 yellow-white spot (특히 간)
- syncytium (장기의 괴사조직과 정상조직 경계부)
ㄴneurotropic variant(JHM)후지 마비, 경련, circling새끼에서 괴사성 뇌염, 말이집 탈락 등
  • 그 외 strain
    • both biotype strain : 둘 다 친화성
    • 5 prototype polytropic strains : MHV-1, MHV-3, MHV-4(JHM), MHV-S, MHV-A59
  • 배양 시 syncytium 형성 (MHV 상징적)
  • Clinical sign은 strain에 따라 다름

Diagnosis

  • ELISA, IFA, MFIA
  • syncytium 확인
  • neutralization test : strain 감별

Differential diagnosis

Prevention, Control

  • 모성면역에 의해 이유 전 마우스는 감염을 막을 수 있음 → 이유한 바우스는 오염되지 않는 시설에서 사육
  • 조직 사진 : 간 괴사 심함
Link to original

Rat coronavirus

Etiology

  • family Coronaviridae
    • genus Betacoronavirus
  • ssRNA, enveloped, large, pleomorphic, 60-200nm.

Strains

  • 2 prototype
    • RCV-P (Parker’s rat coronavirus)
    • RCV-SDA (sialodacryoadenitis virus)
    • 항원적으로 서로 다름.

Clinical signs

  • 이유 전 랫드 : 결막염이 동반된 안구 질환, 1주 이내 회복.
  • 이유 후 성숙 랫드 : submaxillary 침샘의 염증과 부종, 비강과 눈의 삼출물, 각막 혼탁과 궤양, photophobia(빛을 똑바로 보지X), 2주 이내 회복.
  • 감염 1주 → target tissue(침샘, 눈물샘, Harderian gland, 호흡기 상피)에 바이러스 출현. 항체가 상승.
  • 항체가 떨어졌다가 재감염, 이때 병변은 감소.
  • morbidity는 높고, mortality는 낮음.

Pathology

  • 침샘, 눈물샘의 응고괴사
  • 비염, 기관/기관지염 : 단핵구와 백혈구(PMN) 침윤, hyperplasia, cilia 소실 나타남
  • 회복기(7-10일)에 하부 호흡기 병변이 사라지고, squamous metaplasia^[ductal epithelium은 일반적으로 입방 상피나 원주 상피인데, 편평 상피로 바뀜]
  • 감염 4주 : 상피세포는 정상으로 되지만, Harderian gland에서는 병변이 몇 주 더 지속
Link to original

Sendai virus

Etiology

  • family Paramyxoviridae
    • genus Respirovirus
  • (-) ssRNA, enveloped. 150-200nm. 구형, 다형성.
  • human parainfluenza virus 1과 비슷한 임상 증상

Clinical signs

  • 감수성 있는 성숙 마우스 : 구부린(hunched) 자세, ruffled fur, 체중 감소, 호흡 곤란, chattering sound(재잘거리는), 심하면 폐사
  • 저항성 있는 성숙 마우스 : 무증상
  • 면역 결핍 또는 억제 마우스 : wasting syndrome
  • 랫드 : 마우스에 비해 병변 적음. 체중 정체, 산자 수 감소. 호흡기 병변은 거의 없음.
  • 다른 호흡기 질병 나타내는 병원체와 혼합 감염 → 임상 증상이 심해짐.
    • Mycoplasma pulmonis, Rodentibacter pneumotropicus, PVM, CAR bacillus

Epizootiology

  • 마우스, 랫드, 햄스터, 기니피그, (토끼) 감염
  • 전염성 매우 높음 (aerosol로 전파)
  • morbidity : 100% 증상은 거의 다 나타남
  • mortality : 0~100%
  • 면역결핍 마우스에서는 지속감염, immunocompetent : 지속감염X
  • 막 젖을 뗀 마우스가 가장 민감.
  • 5-7주령 동물에서 바이러스 전파 → 7-14일 내에 항체가 형성, 바이러스 없어짐.

Pathology

  • 부검 : 자두(plum)-colored. partial(일부에만)~complete(전체적), consolidation
  • 흉강, 심막에 액이 참
  • 바이러스 복제는 airway epithelium, type Ⅱ pneumocyte, alveolar macrophage에서. (type Ⅰ은 적게 감염됨)
  • 감수성 있는 마우스에서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감수성 낮으면 기관지폐렴만)
  • multinucleated syncytium이 때때로 SCID mouse에서 관찰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Pneumonia virus of mice (PVM)

Etiology

  • family Paramyxoviridae

Clinical signs

  • 자연감염된 mouse, rat : 무증상
  • 면역결핍 마우스 : 호흡곤란, 무관심, 체중감소

Epizootiology

  • 마우스, 랫드, 햄스터가 직접 접촉으로 자연 감염
  • 다른 설치류, 토끼에 감염될 수 있음
  • Mycoplasmosis 등 다른 호흡기 질병과 중복 감염

Pathology

  • 호흡기계에서만 제한적으로 증식 (기관지 상피, 폐포 상피, alveolar macrophage)
  • 감염 8일 후 폐에서 최고
  • 육안 소견은 없지만, 감염 2주에 괴사성 비염/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3주쯤 사라짐)
  • 면역 결핍 마우스는 심각한 진행성, 간질성 폐렴 (육안적으로도 경화 관찰)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Theiler's murine encephalomyelitis virus (TMEV)

  • 뇌척수염과 뇌심근염은 다름.
  • TMEV(encephalomyelitis)는 뇌염, 뇌척수염 / EMCV(Encephalomyocarditis)는 뇌심근염

Etiology

  • family Picornaviridae
    • genus Cardiovirus
      • species Theilovirus
  • small, ssRNA, nonenveloped
  • Max Theiler가 처음 발견.

Strain

  • TO (original)
  • FA, DA, GD VII

Clinical signs

  • 감염된 마우스의 0.1~0.01%만 증상을 나타냄.
  • 이완성 후지마비, 전지 또는 후지의 weakness
  • 사료 및 음수 섭취를 못해 일부 폐사
  • 일부는 회복되지만, 만성 demyelinating phage를 거쳐 자세가 이상해짐

Epizootiology

  • 자연감염은 마우스만, 랫드는 실험감염
  • 구강을 통해 감염 → 장점막에서 증식 → 장내 감염 지속, 분변을 통해 간헐적 배출
  • 뇌와 척수에 최소 1년 감염 지속
  • 한 종류의 strain에 감염되면 다른 strain의 감염을 예방 MHV는 다른 strain 불가

Pathology

  • 장관 내 감염사 : 병변X
  • poliomyelitis-like disease : acute necrosis of ganglion, 신경세포 탐식(neurophagia), perivascular 염증 등
    • 자연 감염 시 나타남.
    • 주로 척수 회색질 ventral horn에서 관찰
  • 만성적으로 말이집 탈락. 척수의 leptomeninges와 white matter에서 자주 발생
    • patchy demyelination이 동반 (여기저기 지저분하게 보인다는 의미)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Rat theilovirus (RTV)

  • Theilovirus - 마우스 : TMEV, 랫드 : RTV

Etiology

  • family Picornaviridae
    • genus Cardiovirus
      • species Theilovirus

Clinical signs

  • minor, 임상증상 없음

Pathology

  • 소장 장상피 증상, 4-8주 후 분변 배출
  • 면역 부전 랫드에서는 지속적으로 분변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
Link to original

Minute virus of mice (MVM)

Etiology

  • genus Parvovirus
  • ssDNA, nonenveloped, small, 15-28nm.
  • 비구조 단백질 NS-1, NS-2가 잘 보존되어 있어, 혈청학적 진단 시 교차 반응
  • capsid 단백질 VP-1, VP-2는 혈청학적 구분의 근간

Clinical signs

  • 자연 감염 시 무증상 (중간 정도의 감염력)
  • 감수성 있는 신생 마우스 : 치사성의 신장 출혈, 장출혈
  • SCID 마우스 실험 감염, B cell KO 마우스 자연 감염 : 폐사
  • 장관 감염, 분변과 요로 바이러스 배출.
  • 지속감염 X (정상 성숙 마우스에서 3주 정도 지속)

Pathology

  • adult : nonpathogenic
  • neonatal에 MVMi로 실험감염 시
    • BALB/c, SJL, CBA 등 : 신장 출혈, 경색 (renal hemorrhage & infarction)
    • DBA/2 : 장출혈 (intestinal hemorrhage)
    • C57BL/6 : asymptomatic

Prevention, Control

  • transplantable mouse tumor를 통해 전염 common
Link to original

Mouse Parvovirus (MPV)

Etiology

  • family Parvoviridae
    • genus Parvovirus

Clinical signs & Epizootiology

  • 증상 : silent
  • 마우스 자연 감염 (MVM보다 흔함)
  • infant, adult mice에서 지속감염. (MVM은 지속감염 X)
  • 소장에 감염, 분변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

Pathology

  • 조직병리학적 소견 없음
  • 장점막에서 복제된 후, lung, kidney, liver, 림프 장기로 이동
  • lymphocytotropism : lymphocyte 감염. 급성 감염 동안 바이러스가 lymph node에 퍼져 있다가, 지속감염되면 germinal center로 이동
    (소장의 villi. 검정 particle이 virus particle)
Link to original

Rat Parvovirus (RPV, H-1, KRV, RMV)

Etiology

  • family Parvoviridae
    • genus Parvovirus
  • 랫드에 감염하는 parvovirus 4가지
    • Kilham rat virus(KRV) : 여기서만 증상
    • Toolan’s H-1 virus
    • rat parvovirus (RPV)
    • Rat minute virus (RMV)

Clinical signs & Epizootiology

  • KRV (Kilham’s rat virus)
    • 이유 전 랫드 : 산자 수 감소, 성장 정체, fetal & neonatal death
    • 이유 후 랫드 : 무증상 감염 / 뇌, 고환, 부고환의 출혈 및 괴사
    • 태반을 통해 태아 감염 → 불임이나 사산의 원인
  • H-1, RPV, RMV : 무증상
  • 요와 젖으로 바이러스 배출, 직접접촉 및 fomite, aerosol 전파

Pathology

  • KRV (지속감염 가능)
    • 지속감염 : 바이러스 항원이 림프구, 내피세포, vascular muscle, renal tubular epithelium에서 관찰
    • 나이 및 면역력 증가에 따라 감염성 감소
    • athymic rat : 병변 심하고, 감염 오래 지속
Link to original

Mouse cytomegalovirus (MCMV)

Etiology

  • subfamily Betaherpesvirinae
    • genus Muromegalovirus
      • Murid herpesvirus 1
  • dsDNA, enveloped, large, 230nm.

Clinical signs

  • adult immunocompetent : 무증상
  • neonate 실험감염 : 전신 장기의 괴사와 염증, 폐사
  • age 증가하면 병원성 감소
  • 면역결핍마우스 : 감수성 강함
  • 지속감염, 침, 눈물, 소변으로 수 개월간 바이러스 배출

Pathology

  • 여러 조직에서 증식, viremia가 특징적
  • 세포가 커짐. 특히 cervical salivary gland
    • eosinophilic 핵내/세포질내 inclusion, enlarged cell
  • 지속 감염 : salivary gland, pancreas의 병변
Link to original

Mouse Adenovirus (MAV)

Etiology

  • family Adenoviridae
    • genus Mastadenovirus
  • dsDNA, nonenveloped, 67-74nm.
  • strains
    • MAV-1 (mouse adenovirus-1, FL, Murine mastadenovirus A)
    • MAV-2 (mouse adenovirus-2, K87, Murine mastadenovirus B)

Clinical signs & Epizootiology & Pathology

  • 마우스 감염률 낮으며 구강 전염
  • 모든 자연 감염은 K87(MAV-2)에 의함
  • MAV-2는 장(특히 회장) 상피에서 amphophilic(양쪽 염색성)
MAV-1 (FL)MAV-2 (K87)
multisystemic diseaseenterotropic
infant- 무기력, 성장 정체, 10일 내 폐사
- 갈색 지방, 심근/부신 피질/침샘/신장 등에서
괴사 및 핵내 봉입체 관찰
- 일시적 성장 정체
- intranuclear inclusion
adult- 무증상
- 지속 감염, 장기간 소변으로 virus 배출
- 무증상
- 적어도 3주간 분변으로 virus 배출
nude- wasting disease / 장출혈, 일부 폐사- 6주-6개월간 바이러스 배출
Link to original

Mouse Thymic Virus (MTV)

Etiology

  • subfamily Betaherpesvirinae
    • genus Muromegalovirus
      • Murid herpesvirus 3

Clinical signs

  • 자연 감염 : asymptomatic
  • 마우스에만 자연 감염되며, 구강으로 감염. 모든 age 감염
  • 분만 전후에 감염될 때만 병변 나타냄.
  • salivary gland에 수 개월 지속 감염, saliva로 바이러스 배출.

Pathology

  • 분만 후 1주 이내 감염 시 : 육안적 thymus 위축 (severe, diffuse necrosis)
    • 핵내 봉입체, 육아종성(granulomatous) 염증, syncytium
    • 림프절 괴사와 염증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Polyomavirus

Etiology

  • family Polyomaviridae
    • genus Polyomavirus
  • dsDNA, nonenveloped, small, 45nm.

Clinical signs

  • 정상 마우스 : asymptomatic
  • 면역 결핍 마우스 : tumor, neurological disease, wasting

Epizootiology

  • 마우스에만 비강을 통해 자연 감염되며, 전염성이 강함
  • neonatal mice에서 지속감염. 소변, 분변, 침으로 배출됨.
  • 자궁내 감염되면, 지속적인 신장 감염에 의해 신생 태자 감염
    • 감염된 태자는 전신 viremia, high mortality
    • 생존한 신생 태자에 지속 감염으로 장기간 lung, kidney에서 바이러스 배출
  • tumor cell line을 통해서도 전염됨
  • mouse strain에 따라 감수성이 다름
    • 감수성 : AKR, C3H, C58, CBA, SWR, ..
    • 저항성 : C57BL/6 (외울 거면 얘를 외우자)

Pathology

  • neonatal : intranasla 감염 - viremia, acute, lethal
  • 생존 마우스는 2-12개월에 다양한 origin의 종양이 여러 장기에 형성
    • 유선과 침샘의 악성종양, 피부의 basal cell tumor, thymoma, sarcoma 등
  • athymic mice : 염증성 병변(intranuclear inculsion 동반), 여러 장기에 종양 형성, demyelination
Link to original

K (Murine Pneumotropic) virus

Etiology

  • family Polyomaviridae
    • genus Polyomavirus
  • dsDNA, nonenveloped, small, 45nm.
  • 최근에는 발생 사례 없음.

Clinical signs

  • 정상 : asymptomatic
  • neonatal, athymic : 호흡곤란(dyspnea), 폐렴, 폐사 가능

Epizootiology & Pathology

  • 마우스만 자연 감염, 분변을 통해 섭취
  • 신장에 지속 감염 → 세뇨관 상피로 shedding
  • neonatal mice에 구강 접종 → 장의 capillary endothelium에 최초 감염 → viremia → 폐, 간, 비장, 부신의 vascular endothelium에 감염 + intranuclear inclusion
  • mild hepatitis, 육안적인 폐부종 및 출혈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Lactate dehydrogenase-elevating virus (LDV)

Etiology

  • family Arteriviridae
    • Lactate Dehydrogenase-elevating Virus
  • ssRNA, 50-55nm.

Clinical signs & Pathology

  • 정상 : 무증상, serum LDH(=Lactate Dehydrogenase) 증가
  • 면역억제 C58, AKR mouse : 소아마비(poliomyelitis)
  • 자연감염 시 병변 없음
  • 바이러스 접종 후 일주일 내 viremia peak, 그 후 감소

Epizootiology

  • 야생 마우스 감염 (실험마우스는 거의 X)
  • 물어서 mouse-to-mouse 전파
  • cage 내 전파 어려움
  • 소변, 분변, 침, 젖으로 바이러스 배출
  • cell line, transplatable tumor, serum으로 감염 가능성 높음

Diagnosis

  • serum LDH 상승 : SJL/J mouse는 정상보다 15~20배 증가
  • ELISA, IFA, MIFA 등 항원-항체 복합체에 의한 반응은 추천되지 않음.
Link to original

Reovirus 3

Etiology

  • family Reoviridae
    • genus Orthoreovirus
  • dsRNA, nonenveloped.
  • strains : reovirus 1,2,3 (자연감염은 3에 의함)

Epizootiology

  • infant mice에는 전염성 높음. adult에는 낮음.
  • 랫드, 햄스터에서 항체 확인되지만, 감염 사례 거의 없음.
  • Oral-fecal route 또는 aerosol 전파. 이식된 종양을 통해 전파. 모기에 의해 전파.

Clinical signs

  • 정상 : asymptomatic
  • 2주령 suckling mouse : 수척, 복부팽창, 지방변(steatorrhea) - oily hair, 황달(icterus)
    • 폐사율 높음. 폐사 직전 마비, 진전(tremor) 보임.
    • 회복기 : 바이러스 배출 없으나, 부분적인 탈모, 성장지연(runting), 황달이 수 주간 지속.

Pathology

  • infant : 심각한 pantropic infection - intestinal epithelial cell (M cell)을 통해 감염
  • Acute phage
    • 간 : multifocal한 괴사
    • 장 : 붉어지고 늘어남(reddening, distension)
    • 심근 괴사, 부종
    • 폐의 출혈
    • 뇌줄기와 대뇌 반구에서 신경 퇴화와 괴사, meningoencephalitis
    • 이자와 침샘에서 acinar cell(샘꽈리세포)의 퇴화와 괴사
  • Chronic phage : wasting, alopecia, icterus, 간비종대(hepatosplenomegaly)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Mouse rotavirus or EDIM

Etiology

  • family Reoviridae
    • genus Rotavirus
      • Mouse Rotavirus 또는 EDIM(Epizootic Diarrhea of Infant Mice)

Clinical signs

  • 2주 이하의 infant mice : 복부 팽만, 회음부에 분변과 설사(심하면 전신), 일시적 체중 감소
    • high morbidity, low mortality
    • 감염 2주 후 회복, 체중도 회복
  • 정상 마우스에서 무증상
  • 마우스에만 자연 감염, infant에서 전염성 높음
  • 구강(oral-fecal route)으로 전염. 성체 마우스는 17일 동안 분변으로 바이러스 배출.

Pathology

  • 육안 소견은 주로 GI tract
    • intestine 확장과 무기력. 녹회색의 gaseous liquid, 점액성 분변 가득
    • stomach에 응혈(blood clot)된 milk
    • 때때로 thymic atrophy
  • 2주령 이하 마우스의 소장에서 특징적인 조직학적 소견
    • 세포질 팽창과 함께 융모 상피세포에서 vaculation
    • lamina propria의 부종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Murine norovirus (MNV)

Etiology

  • family Calciviridae
    • genus norovirus
  • nonenveloped RNA, small.
  • macrophage, dendritic cell에서 복제됨

Clinical signs

  • 정상 : 무증상
  • 129, C3H mouse : mild diarrhea
  • interferon αβγ receptor and STAT1 부족한 mouse : 전신성 질환으로 높은 폐사율, 체중 감소, ruffled flur, 구부린 자세

Epizootiology

  • fecal-oral route 감염
  • 환경 저항성 있어, 썼던 베딩을 다시 쓰는 sentinel mice에 쉽게 전염
  • 지속 감염, 1-2개월간 분변을 통해 배출
  • 장, 장림프, 간, 비장에서 바이러스 관찰.

Pathology

  • 자연 또는 실험 감염된 STAT1, IFNγR KO mouse : 비장 종대, 간에 다발성 창백한 spots, 간염, focal intestinal pneumonia, 혈관염, 복막염, 흉막염
  • 뇌내 접종한 STAT-1 KO mouse : 뇌염, 대뇌 혈관염, 폐렴, 간염
  • 면역 정상 마우스 : 장에서 약한 염증, 비장 비대, 비장과 림프절의 lymphoid hyperplasia^[비장의 white pulp, lymphoid cell이 증식하여 비대해짐]

Differential diagnosis

Link to original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us (RHDV)

Etiology

  • family Caliciviridae
    • genus Lagovirus

Clinical signs

  • 잠복기 1-2일로 매우 짧음
  • 임상 증상 없이 갑자기 폐사 (이환율 30-100%, 폐사율 40-100%)
  • 식욕 저하(anorexia), depression
  • 신경 및 호흡기 증상, 눈물, 코피(epistaxis)
  • fecal-oral route, fomite, arthropod에 의해 전염됨

Pathology

  • Periportal hepatic necrosis
  • 정맥성 혈전, DIC, thrombosis로 폐사

European brown hare syndrome virus (EBHSV)

  • family Caliciviridae
  • 유럽 여러 나라의 산토끼에서 발생
  • 감염 2일 후 35-80% 폐사
  • 괴사성 간염, 기관과 폐의 출혈, 폐 부종
  • 집토끼에서는 잘 X
Link to orig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