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이러스성 질병

Pasted image 20231114131004.png

A. 해산어패류에서의 바이러스성 질병

File개요원인체증상진단
A01.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NN)종묘생산과정의 줄무늬 전갱이의 치어에서 유래, 신경 괴사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성 질병노다바이러스(NNV)
ssRNA, non-enveloped, 4가지 genotype
신경괴사 → 신경 증상(선회 등 비정상적 유영 행동), 입 주변부 마모, 부레 팽창 및 염증, 망막 괴사 등형광항체법, PCR로 검출
A02. 바이러스성 상피증생증(VEH)넙치 자어에서 감염 발생Herpes virus
크기가 큰 dsDNA 바이러스, 상피세포/피부의 증생 등은 보통 허피스
지느러미 끝부분이 말려들어감, 백탁, 지느러미 및 체표에 무수한 구형의 세포들형광항체법, PCR
A03. 버나바이러스 감염증 (Viral Ascites)-버나바이러스 (dsRNA)복부 팽만, 뇌 부근 출혈과 발작, 췌장/간장의 괴사중화 시험을 통해 IPNV와 구별
A04. 림포시스티스증(LCD, lympocystis disease)양식어종(참돔, 방어, 넙치, 농어 등0에서 발생, 사망률은 낮지만 상품 가치를 잃음이리도바이러스 (DNA)지느러미와 피부에 밥알 모양의 이물이 생김외관 검사, PCR
A05. 참돔의 이리도바이러스 감염증 (iridoviral disease)양식 참돔에서 처음 발생, 돌돔, 광어, 넙치, 조기볼락 등이리도바이러스 (피막이 없는 정이십면체 DNA)체표와 아가미, 안구 등의 출혈, 비장의 종대김자 염색으로 이형거대세포 확인, 초기에는 PCR과 형광 항체
A06. 넙치의 럽도바이러스 감염증 (hirame rhabdoviras)양식 넙치 및 조피볼락 등에서 수온이 2-14도인 봄, 가을에 발생럽도바이러스체색 흑화, 안구 돌출, 복수, 체측근 끝부분에 심한 출혈 발생RTG-2 세포에서 CPE(세포 구형화) 관찰
A07.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VHS, viral hemorrhagic septicemia)담수어, 해수어 모두 발생, 겨울/봄 남해안 넙치 양식장럽도바이러스 (탄환 모양, RNA)체색 흑화, 복수가 차서 탈장, 아가미 빈혈 / 간의 충혈, 신장과 비장 붓기, 심장 괴사Multiplex PCR
A08. 복어의 구백증 (snout ulcer disease)복어의 연수와 뇌 신경세포 핵 내에 바이러스양 물질 관찰됨불분명주둥이 부분이 문드러지고 지느러미 결손, 궤양 형성, 치판과 악골 노출, 간장 출혈을 보임-
A09. 새우의 급성 바이러스혈증 (PAV, panaeid acute viremia)양식 보리새우의 중간육성 및 양식과정 발생, 폐싸율 높음Nimaviridae ( WSSV, white spot syndrome virus - dsDNA)체표의 적변, 체표에서 백점 관찰, 식욕부진, 수일 내에 80% 사망암시야 현미경법, PCR
A10. 새우의 바큘로바이러스 중장선괴사증 (BMN)-MNV--
A11. 패류의 버나바이러스 감염증 (birnaviral disease of shellfish)-버나바이러스 & various소화선 장애, 발육부전, 폐사 등-
A12. 게의 랍도바이러스 감염증게에서 발생-응고 불량-

B. 담수어패류의 바이러스성 질병

Pasted image 20231215060516.png

2. 세균성 질병

  • 약품의 오남용, 항생제 내성 등으로 인해 손해가 큼
  • 야생동물보다 양식의 population에서 질병의 빈도도, 피해도 큼 Pasted image 20231121130630.png

C. 어류의 세균성 질병

File개요원인체증상
C01. 에드와드병넙치에서 주로 발생한다. 넙치 양식은 거의 제주도.Edwadsiella tarda (비운동성 그람 음성간균), Edwadsiella piscicida간장/신장/비장의 농양, 복부 팽창, 탈장, 안구 돌출^[농양이 있으면 우선 세균성 의심]
C02. 비브리오증해수 및 기수어종에서 고수온기에 발생, 폐사율이 높다. 양식 넙치에 다발.비브리오균: Listonella anguillarum (Vibrio anguillarum) (운동성 그람음성간균)지느러미와 체표의 발적(red spots), 혈액성 삼출물; 장관의 장염 소견
C02a. 새우의 비브리오증 (AHPND)Mass mortality, 걸리면 거의 싹 다 죽음Vibrio parahaemolyticus위축되고 창백한 hepatopancreas, 상피세포 무너짐
C03. 세균성 장관백탁증넙치에서 빈발, 자어기에서만 발생, 국내 발생 보고 있음Vibrio ichthyoenteri (운동성 그람음성 간균)장관의 괴사와 백탁, 박리성 장관염, 균이 표피에서만 증식
C04. 유결절증방어 양식에서 피해가 큼. 주로 6-7월 유행, 치어기 발생.Pasteurella piscicida(비운동성 그람음성균)[급성형] 패혈증형, 체색 흑화, 아가미 국소 괴사 등
[만성형] 신장/비장의 종대, 작고 하얀 반점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특징^[‘에드와드 병’과 같은 증상. 감별 진단 필요]
C05. 활주세균증넙치와 우럭, 치어기 주로 발생Tenacibaculum maritimum (호기성 그람음성 장간균, 활주운동)지느러미의 상처를 통해 감염됨.
[치어] 입 주위에 미란, 지느러미 손상, 피부 근육 괴사
[성어] 표피/지느러미의 출혈과 농양
C06. 연쇄구균증방어, 넙치, 우럭 양식 등 경제적 피해 큼Lactococcus garviae(방어), Streptococcus iniae(넙치, 우럭-우리나라) 등[일반형] 안구백탁과 돌출(비특이적), 아가미 덮개의 출혈과 농양
[뇌염형] 광분 유영(미친 것처럼 유영)
C07. 마이코박테리아속 세균감염증일본의 방어 양식장 발생, fish tuberculosisMycobacteriu marinum간장과 비장의 종대, 과립 모양의 gray-white 결절 형성
C08. 노카르디아증주로 방어에서 큰 피해, 넙치에서도 발생,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발생XNocardia seriolae[구간결절형] 구간 피하 및 근육에 농양과 결절로 볼록함, 신장/비장 등에 결절 다수
[아가미결절형] 저수온기 발생, 아가미 표면에 덩어리 모양의 결절

양서·파충류

(1) 개구리 레드레그병

(2) 개구리 마이코박테리움증

  • African clawed frog에서 최초 발견
  • 원인체는 Clamydia psittaci
  • 증상
    • 급성 폐사
    • 무기력, 균형 상실, 체색 탈색, 점상 출혈, 부종 등
  • 부검 시 간장과 비장에서 intracytoplasmic basophilic inclusion body

(3) 살모넬라증

(4) 파충류 상부호흡기 감염증 및 폐렴

  • 적절하지 않은 온도 및 높은 습도에 의한 스트레스로 발생
  • 원인균 : Aeromonas, Pseudomonas, Salmonella
  • 증상
    • 눈물과 콧물 분비, 호흡장애, 식욕부진 및 결핍, 입을 벌리고 앞다리를 구부리고 뒷다리를 편 자세로 가만히 있는 행동, 쌕쌕

(5) 파충류 농양

  • 여러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
  • 원인균 : 이차적으로 Nocardia, Clostridium, Mycobacteria 등의 세균이나 진균, 기생충에 감염
  • 증상
    • 단단하고 치즈 같은,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인 농양이 종창됨
    • 농양에 발열 동반X

(6) 파충류 마이코플라즈마증

  • 원인균 : Mycoplasma
  • 증상 : mycoplasma → 관절염, 폐렴

(7)

수생 포유류

(1) 단독

  • 돈단독균에 오염된 물고기를 섭취
  • 폐사율이 높음
  • 원인균 : Erysipelothrix rhusiopathiae (그람양성 간균)
  • 증상 : 급성/심급성 패혈증, 다이아몬드 피부병

(2) 슈도모나스증

(3) 마이코박테리움증

  • 인수공통전염병이므로 주의해야 함
  • 원인균 : 여러 종의 Mycobacterium속 균 (M. marinum, M. cheloni, M. fortuitum 등)
  • 진단 : 세균 분리, ELISA, PCR
  • 예방과 치료 : Tuberclin test

(4) 브루셀라

  • 인수공통 여부 : ?
  • 선충(Parafilaroide sp.)의 기생이 전염에 중요한 역할
  • 원인균 : Brucella spp.
  • 증상 : 태반의 염증을 동반한 유산, 림프절/폐/간에서 다발성 육아종성 염증

(5) 클로스트리디움 근염

  • 인수공통 여부 : ?
  • 원인균 : Clostridium spp.
  • 증상
    • 식욕 부진, 연하 곤란
    • 백혈구증가증을 동반한 급성 부종, 근육 괴사, 가스 축적
    •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

(6) 폐렴

  • 수생포유류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부적절한 사육에 의해 발생
  • 특히 스트레스 상태의 동물이 실내 사육장에서 갑자기 낮은 온도로 적응 시 걸리기 쉽다.
  • 원인균 : Morganella morganii ^[원래 존재하는 세균인데, ~]
  • 증상 : 우리가 아는 증상과 유사. 쇠약, 신경부진, 심한 구취, 호흡장애, 발열, 현저한 백혈구 증가증 등
  • 예방과 치료
    • 부적절한 환경 요인 개선
    •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의 집중 투여와 대증요법 병행, 항생제는 주로 cephalexin

3. 리케차, 클라미디아, 곰팡이에 의한 질병

리케차(Rickettsia)에 의한 질병

(1) 연어와 어류의 피쉬리케차증

  • 원인균 : Piscirikettsia slamonis
  • 증상
    • 급성형 : 광범위한 내장 출혈
    • 만성형 : 식욕 없으나 복부팽만, 아가미 빈혈 등
    • 중감염된 개체ㅡ이 간은 창백해지고, 크림색 원형 불투명 결절

클라미디아(Chlamydia)에 의한 질병

(1) 에피셀리오시스티스병(epitheliocystis)

  • 담수어의 아가미 상피세포에 영향
  • 양식어류의 어린 물고기에서 높은 폐사율
  • 원인균 : Epitheliocystis agent
    • 새변과 피부의 상피세포 내에 감염, 증식하여 cyst 형성
    • cyst 내에 다수의 원형 elementary body가 관찰됨
  • culture 불가 → TEM 관찰과 아가미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진단

(2) 개구리의 클라미디아증

  • 오염된 소의 생간을 먹인 African clawed frog에서 집단 폐사를 일으키며 최초 발생
  • 양서류에서 치명적인 질병
  • 원인균 : Chlamydophilia psittaci
  • 증상 : 급성 폐사,
  • 진단 : 간장/비장 세포에서 intracytoplasmic basohilic organism 관찰
  • 치료 : 항생제 투여가 유효(doxycycline, oxytetracycline]]

(3) 파충류의 클라미디아증

곰팡이(Fungi=진균류)에 의한 질병

(1) 물곰팡이병

  • 원인 진균
    • Saprolegnia parasitica (편모균류) : 연어과 어류와 뱀장어 - 물곰팡이병
    • Achlya spp. : 담수성 열대어 - 솜곰팡이병
    • Aphanomyces spp. : 담수성 열대어 - 아파노마이세스병
  • 예방과 치료
    • 균사에서 운동성 있는 spore 방출되어 다른 개체로 빠르게 수평 감염됨
    • 전신 감염
  • (2) 더모시스티디움

(3) 진균성 육아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