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iology
- 강아지에서 잘 생김. (고양이에서는 만성 위염이 더)
- 오염된 음식
- 이물, 독성 식물
- Chemicals - 보호자 약물을 주워먹거나
- Irritating drugs - NSAIDs 약물에 의해 prostaglandin E1 감소, 토하고 하면서 급성 위염
Clinical Features
- Vomiting (acute), anorexia : 경과가 빠르고, 전신적인 증상까지는 X
- 발열, 복부 통증 같은 증상은 잘 없음
Diagnosis
- History taking, P/E : 문진과 신체검사가 가장 중요
- 굶기거나 죽을 먹이고 하루이틀 정도 경과를 지켜봄. 보통 좋아짐.
- 더 안 좋아지면 검사를 함 (Abdominal imaging, Blood work)
Treatment
- Withholding food and water for 24h : 하루이틀 정도 굶김
- Parental fluid : 강아지가 너무 작거나 혈압이 낮으면 비경구적 수액 처치
- Central-acting antiemetics : 중추성 항구토제(maropitant, ondansetron)를 비경구적으로 투약.
- Small amounts of water : 물은 소량씩
- Bland diet : 고단백 식이 (코티지 치즈, 감사, 삶은 닭고기)
- 항생제나 스테로이드는 보통 처방하지 않는다.
Prognosis
Excellent - 하루 이틀 굶기면 좋아짐.
김내2(A) - Antiemetics (항구토제)
Antiemetics (항구토제)
Peripherally acting (말초성 항구토제)
- Less effective, parasympatholytics
- atropine, aminopentamide
- 위의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구토가 유발되기 때문에, vagolytic(미주신경 억제) 약을 씀.
- 구토를 억제하려고 쓰기보단, 마취할 때 타액 줄임 + 구토 억제 위해 전마취제로 쓸 수 있음.
Centrally acting (중추성 항구토제)
- More reliable, preferred parenteral route
- 효과가 좋고, 비경구적 투여가 선호됨
- Suppositories (좌약; 직장 투여) - 흡수가 일정하지 않음(erratic absorption), 동물에서는 비추천.
Maropitant [Cerenia]
Neurokinin-1 (NK-1) receptor antagonist
- 연수의 구토중추(NK-1)에 substance P가 결합하면 구토, 염증, 통증이 유발됨.
- Maropitant는 substance P와 유사한 구조 → NK-1에 경쟁적으로 결합 → 구토 유발을 억제함.
경구제 → 생체이용률 낮음. SC, 주사제가 추천됨. (1mg/kg SC/PO, SID)
효과가 매우 좋고, 부작용도 크게 없음.
그러나 축적되면 문제될 수 있으므로 5일 이상 쓰지 않음. 계속 써야 할 경우, 최소 이틀은 휴약해야 함.
Contraindication | puppies < 11 weeks (골수 억압을 일으키기 때문에 3개월 이하 강아지는 사용 금지. 파보 치료에 사용 불가.)
Ondansetron [Zofran] & Dolasetron [Anzemet]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receptor antagonists
- 5-HT receptor는 연수의 CRTZ(chemoreceptor trigger zone), 구토중추에 위치함.
- Serotonin은 다양한 receptor에 작용하는데, subtype 3 receptor에 작용하면 구토를 유발함.
- Ondansetron은 이 경로를 차단하여 구토 억제 효과.
Canine Pavoviral enteritis에도 항구토 목적으로 사용 가능.
대부분 주사제로 사용. 경구 제제도 있음. (Ondansetron @ 0.1-0.2 mg/kg IV, SID to TID)
비용이 매우 비싸다.
Mirtazapine
- 5-HT receptor antagonist
- Serotonin이 subtype 2 receptor에 작용하면 포만감 유발, 기분이 좋아짐.
- Mirtazapin → 포만 중추가 억제되면서 식욕 촉진, 진정 효과 (appetite stimulant - primary 효과)
- Subtype 3도 약간 억제하여 항구토 효과도 있음.
- Dogs @ 0.5mg/kg PO q24h, Cats @ 3.75mg PO q72h
- 환자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유의미.
- 부작용은 거의 없다,
Metoclopramide [Reglan]
- CRTZ의 CNS dopamine receptors antagonist
- 위장관 운동성 증가 (gastric tone, peristalsis ↑)
- NK-1/serotonin R antagonists에는 덜 작용 → 항구토 효과가 훨씬 적음. (고양이에서는 더더욱)
- Contraindication | Gastric/duodenal obstruction (Prokinetics → 위장관에 이물 있을 시 절대 사용 금지!)
- 구토가 너무 심할 때 (severe vomiting) 추가적으로 사용함
Phenothiazine derivatives
- Prochlorperazine [Compazine], Chlorpromazine [Thorazine], Acepromazine
- CRTZ(chemoreceptor trigger zone)을 억제, 고용량에서 연수의 구토 중추 억제
- 부작용 : vasodilation (말초 혈류 감소 → 저혈압), seizure threshold 저하 (발작이 더 쉽게 발생)
Mu-agonists
- fentanyl, morphine, methadone
- 펜타닐이 50-100배 정도 강한 진통 효과
- 처음에 구토 유발될 수 있으나(CRTZ activation),
- 시간이 지나 연수를 통과하면 구토 중추가 완전히 억압되면서 구토 억제.
Mu-antagonist
Link to original
- butorphanol
- Mu-antagonist이자 Kappa-agonist → 부분적으로 작용하여 약간의 항구토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