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ccine

  • 개별 동물의 건강
  • shelter 등 → 동물 복지
  • 공중보건학적 측면, 인수공통감염병 예방

Vaccination failures

  • 백신을 맞았으나 항체가 형성되지 않음 (충분한 면역 형성 실패)
  • full vaccination전에 (1차밖에 안 맞았는데) 병에 노출
  • 모체이행항체의 간섭
  • 백신을 제대로 다루지 않아서 (적절하게 보관하지 않았거나, 과하기 흔들었거나 등등)
  • 면역 노화 등 면역계의 문제로 항체 형성 X
  • 공정 과정의 문제

유효성

  • 유효성 (Vaccine efficacy)
  • DOI (Duration of immunity) : 백신이 지속/유지되는 기간, 승인과는 관련 없음
    • 재접종 기간과 관련

Categories

Type
Attenuated
(생독 백신)
- Live / Midified live / Live attenuated
- 처리/보관이 더 중요
- 몸 안에서 활성화, 다른 개체에게 감염 전파
Inactivated
(사독 백신)
- Killed
- Adjuvant를 넣어 효과를 증진 (부작용을 키울 수 있음)
Recombinant
(재조합 백신)
-
Toxoid

AAHA Recommendations

(동물병원협회)

  • core vaccine (핵심 백신) : 반드시 접종.
    • 사육 환경에 관계없이 무조건 맞아야 하는 백신!
    • 항암 치료, 면역 저하 상태 등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 Noncore vaccine : 선택적인 백신.
    •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른 부분도 있음.
    • Leptospira, Lyme diseases
  • 백신을 맞았는지 모르겠다면.. 무조건 그냥 하는 게 유익. (Rule of thumbs.. when in doubt, vaccinate)

개의 백신 종류

2022 AAHA Core vaccinines

  • DAPP(L) = 종합 백신
    • 16주 이하 : 2-4주 간격, 3번 맞아야.
    • 16주 이상 : 2번.
    • Distemper : 강아지 홍역. 발작, 기침
    • Adenovirus
    • Parvovirus : 장염
    • Parainfluenza : 기침, 호흡기
    • (Leptospira)
  • Rabies : 인수공통, 사람에게 감염되면 사람이 매우 위험. 법적으로 규정됨.
  • 종합 백신은 16주령 이하에서 2-4주 간격으로 3번은 맞아야 함. 16주령 이상에서 2번.
    • 모체이행항체는 태어날 때 가장 높았다가, 급격히 떨어짐. 모체이행항체의 간섭으로 인해 면역이 잘 형성되지 않아서 3번은 맞아야 함.
    • 1년 이내에 다시 맞아야 함. (* 2024 WSAVA : 26주령으로 당기도록 권고) 부스팅은 3년. 하지만 전통적으로 1년마다 접종하는 게 충돌이 없음…

Noncore vaccines

  • Leptospira : 빈도가 높진 않으나, 걸리긴 한다. 그래도 하는 게..
  • Borrelia burgdorferi (canine Lyme diseases)
  • Bordetella bronchiseptica (Kennel cough)

✅️ 캐니플루-맥스 (CaniFlu-max) | GCVP

  • 효능 및 효과 : 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3N2)에 의한 개의 호흡기 감염예방
  • 용법 및 용량 :
    • 초기 접종 : 3~4주령 이상의 개에 0.5mL씩 근육접종, 2-4주 후 추가 접종.
    • 근육주사가 원칙인데, 피하주사 많이 함.. 아직 문제 없음.
    • 보강 접종 : 약 1년 간격

고양이의 백신 종류

  • FLP
  • Feline Panl

Core vaccines for cats

  • core : (FVRCP)
    • Feline
  • FVR(Felipe viral rhinitis)-C(calici)-P(panleukopenia)

Feline injection site sarcoma

  • 고양이는 백신 맞은 부위에 종양 가능성이 높아짐. (자주 발생하진 않지만 생기면 심함 ㅠㅠ)
  • 목이나 엉덩이에 생기면 매우 깊어지는데, 다리는 그나마 절단으로 완치 가능.
  • 미국 주사 규칙 : Rabies = Rt. Hindlimb / FeLV or FIV = Lt. Hindlimb / FHV, FCV, FPV = Rt. Forelimb

✅️ 퓨어백스

  • 그나마 FISS 가 적은 편, 문제되는 adjuvant가 덜한 듯.

Bordetella Bronchiseptica

  • injectable vs. intranasal vs. oral vaccines
  • 비강이 제일 좋은 걸로
  • 비강이 점막 면역에 대한 구획화가 잘 되어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