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말의 호흡기 구조 및 생리
- 운동 시 다량의 산소 필요 / 호흡기 질병은 산소 공급을 제한하여 운동 능력을 떨어뜨림.
- 격렬한 운동 시 산소 소모량이 최대 35배
- 분당 호흡량 :
- 휴식 시 8-16회, 100L, 1회 약 4-6L
- 운동 시 (=gallop) 약 150회/분, 1500L/분, 10L/회 → (10-15배가량 증가)
말이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호흡 가능한 기전
머리와 목의 상하 진자 운동 + 횡격막과 내장의 전후 피스톤 운동
- 착지 시 :
- 머리가 낮아지면서 늑골 간격을 좁힘 → 흉강이 좁아져 호기 지원
- 내장이 앞으로 쏠리면서 횡격막이 앞으로 이동함 → 폐의 공기를 밖으로 밀어냄.
- 도약 시 :
- 머리가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늑골 간격이 벌어짐 → 흉강이 넓어져 흡기 지원
- 복강 내장이 횡격막을 끌고 뒤로 쏠리면서 순간적으로 흉강 내 음압 발생 → 자동적으로 공기 흡입 (피스톤 운동)
- 흡기 시 : 횡격막이 뒤쪽으로 밀리면서 흉강을 넓힘
- 호기 시 : 횡격막이 앞쪽으로 밀리면서 흉강을 좁힘
2. 말의 호흡기 질병
발생 원인
- 기후 급변
- 감염
- 스트레스 → 운동기인성 폐출혈 (과한 운동으로 폐포가 터져 기도-비강으로 나옴)
- 선천적 요인 → 기도협착
- 화학적 자극
- 영양상태 및 나이
검사 방법
| 호흡기계 검사 | |
|---|---|
| 상부 호흡기 | - 바깥콧구멍의 공기흐름, 대칭성, 냄새, 기형 - 점막의 청색증, 림프절 종대 - 후두의 cricoarytenoid muscle 대칭성 검사 (눌렀을 때 기침 유발?) : 정상적으로 강하게 누르면 기침 / 인후두염이 있는 말은 가볍게 눌러도 기침 |
| 하부 호흡기 | - 청진 : 산소 공급을 제한(비닐봉지 장착) → 과량의 호흡을 유도한 뒤, 흉부 좌우 양쪽과 경부 기관 부위에서 청진 - 타진 : 흉부 액체 저류 여부 검사. 앞→뒤로, 등→배로. |
| 내시경 검사법 | 상부호흡기 내시경 가장 많이 함 (보정틀 내에서 진정 없이 진행) - 중비도(가운데콧길), 후낭(Guttural pouch; 비인두-중이 연결된 주머니), 후두 확인 ⇒ 부비동염, 후낭염, 연구개 변위, 후두편마비, 기관지염, 운동기인성 폐출혈 등 |
| 후낭카테터 장착 | 장착법 : Blind technique < Endoscope technique (반대쪽 비공에 내시경 삽입) - 후낭 내 가검물 채취 및 배액, 세척 목적 |
| 기관세척법 | 거의 내시경 사용 |
| 흉강천자술 | 흉벽의 하부 1/3 지점 |
| 상악동천자술 | 트레파인법 더 많이 사용 |
호흡기 질환
별 내용 없는 질병 그냥 뺌
| 비강/비인두 | * 말의 부비동 : 전두동 / 상악동(superial & inferior) / 접형골 |
|---|---|
| 비출혈 | - 대부분 외상에 의해 발생 - 시간 지나면 멎음 → 지속적으로 발생 시 내시경 |
| 부비동염 | - 부비동에 농성 염증, 주로 상악동에 많이 발생 - 원인 : 먼지의 유입 / 얼굴뼈 골절 / 어금니 뿌리의 염증 / 비강 종양 등 - 증상 : 만성 편측성 화농성 비루, 호흡곤란 등 - 진단 : 부비동 두드리면 탁한 소리 + 방사선, 내시경, 치아 검사 - 치료 : 원거술(trephine) - 배액 및 세척 / maxillary bone flap technique |
| 후낭 | |
|---|---|
| 후낭염 | * 후낭이란? 말, 너구리에 존재하는 특이적인 구조. 좌우 300-600ml 크기의 비인두-중이로 연결된 한 쌍의 주머니. 동맥혈을 냉각시켜 뇌온도 상승 방지. |
| [화농성] | - 세균성,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에 2차적으로 발생 (주로 Streptococcus) |
| [진균성] | 신경, 맥관조직을 타고 침투한 진균이 carotid a. 주변에 감염 (주로 Aspergillus spp) - 초기에 간헐적 비출혈 → 2-3주 후 대량 출혈. 내경동맥파열에 의한 출혈은 뇌신경 7,9,10,11을 손상시켜 폐사를 유발한다. |
| [고창성] | - 비정상적으로 후낭에 공기가 차서 확장, 생후 18개월 이하 망아지에서 다발. - 초기에는 약간 부으나 심해지면 귀아래 턱까지 풍선 모양(“bullfrog”) - 호흡/연하곤란, 오연성 폐렴, 2차 감염에 의한 화농성 진행 |
| 연구개/후두개 | |
|---|---|
| 연구개 배측변위 | 연구개와 후두개의 위치 바뀌는 선천적 기형 - 빠른 운동 시 심한 호흡성 잡음, 호흡곤란 - 운동 시에만 변위 발생 → 강한 운동 직후 내시경 검사 (휴식 시에 불가!) |
| 인후두 | |
|---|---|
| 후두염 | - 호흡기 감염병 직후 발생, 초기 건성 기침 → 축축한 습성 기침 - 따뜻하고 건조한 마방 휴양, 습도 유지가 중요!! |
| 후두 편마비 / 천명증 | - 후두 한쪽이 마비되어 열고 닫지 못함 → 호흡 시 “쌕썍” 금속성 잡음으로 ‘천명증’ - 왼쪽 마비가 90% 이상, 수말 > 암말, 3-6세 - 운동 중, 운동 직후 내시경 검사로 확인 (두드려도 확장 안되면 진단) - 경주마는 호흡이 중요하므로 수술 선택 : 후두성형술(tie-back) |
| 하부호흡기 | |
|---|---|
| 기관지염 | - 반복적, 지속적 기침. 종종 차가운 공기나 격렬한 운동이 원인. [급성]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선역 감염, 연기 흡입, 기관튜브 사용 등이 원인 [만성] 만성적인 기침으로 인한 재발성 기도폐쇄에서 발생 |
| 폐렴 | - 감염성 폐렴 :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spp.) 감염이 대표적. - 이물성 폐렴 : 액체, 가루, 음식물이 폐에 들어감 - 면역력 저하 : 스트레스 → 세균에 2차 감염 - 증상 : 어리니 말에서는 급성, 뇌령마에서는 만성 진행성 / 기침과 40도 이상의 고열 - 폐음으로 감별 (습식의 탁탁이는 호흡음, 부글거리는 폐잡음, 두드리면 둔탁) - 이물성 폐렴은 항생제/스테로이드/수액요법 등을 실시하나 예후가 불량함. |
| 흉막염 | - 대부분 폐렴 병발, 장거리 이동하는 밀폐된 환경 → shipping fever - 폐렴과 병발 시 예후 불량 |
| 운동기인성 폐출혈 (EIPH) | Exercise-Induced Pulmonary Hemorrhage - 경주마의 폐출혈의 50-70% - 급격한 운동으로 폐혈압 상승, 폐포압의 차이로 폐포 파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