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주차: 22. Disorders of the Pulmonary Parenchyma and Vasculature
1️⃣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폐색전증)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폐색전증
- Surgery
- Severe trauma 심각한 외상
- Hyperadrenocorticism
- IMHA
- Cardiomyopathy 도 혈전을 만듦.
- Pancreatitis : 전신 염증을 유발하므로 혈전
- DIC : 어느 곳에서는 혈전이 많이 생성, 어느 곳에서는 응고가 안 됨.
- Hyperviscosity syndromes : 적혈구가 과하게 만들어지는 등의 원인에 의해 혈액이 찐득해지는 병.
- Neoplasia :
- 이런 질병들에서 갑자기 호흡 부전이 생기면 폐색전증을 의심해봐야 함.
Etiology
- 폐로 가는 혈관을 막음. (⇒ PH 유발 ⇒ 우심부전, Cor pulmonale)
- 급사를 유발할 수 있음.
- 매우 심각한 질병임에도, Xray상 이상 소견이 안 보일 수 있음. 영상 진단은 어려움.
- 그래서 감별 진단 목록에 폐혈전증을 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함.
- CT, angiography 밖에는 확진이 안 됨.
Diagnosis
- 하부 호흡기 반응이 안 좋음, but X-ray상 소견 없음.
- interstitial pattern, blunted pulmonary arteries (후엽)
- 산소 공급의 반응성이 떨어짐.
- CT로 확진해야 하는데 환자 상태가 안 좋아, 원인 불명의 호흡 부전으로 끝날 때가 많음.
- TEG상 과응고 상태, D-dimer가 높고, 호흡 부전 → 폐혈전증 의심.
Treatment
- 산소 처치, 수액 처치
- Theophylline (기관지확장)
- Sildenafil (폐 고혈압 약)
- Clopidogrel, rivaroxaban (항혈전제)
2️⃣ Pulmonary Edema
부종 유발 원인 : 좌심부전 90%
Decreased plasma oncotic pressure
Oncotic pressure : 저알부민 혈증일 때.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해서?
- Hypoalbuminemia (저알부민혈증)
- Gastrointestinal loss (IBD, PLE)
- Glomerulopathy
- Liver disease
- Iatrogenic overhydration (수액 과다)
- Starvation
Vascular overload
혈액 내에 흐를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이 흐르고 있음.
- Overhydration : 과수하? 수액 과다. 물 과다.
- Cardiogenic : 순환 문제로 물이 참.
- Left-sided heart failure (이 경우가 90%)
- Left-to-Right shunt
기타
- 혈전증
- 심한 발작
- upper airway obstruction
- 정수압 증가, 수액 과다, 좌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 가능.
- Permeability 증가 : Acute lung injury - 단백질이 빠져나옴, 이뇨제 반응 감소.
-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염증성 반응에 의해 혈관 손상, 폐에 물이 참.
- 간질→폐포에 물이 차서 ⇒ 진행에 따라 기관지, 세기관지까지 물이 참.
- 임상 증상 : 호흡 부전, 빈호흡, 기침, crackles 청진
Diagnosis
- 개에서 심장병에 의해 나타난 경우 : 심각한 hilar region
- 고양이에서는 패치 형태로 이곳저곳에.
- 혈관 침투성이 증가해 발생한 부종은 ⇒ dorsocaudal에서 많이 관찰됨.
- 심장 초음파 : 심원성인지 판별.
- 혈액 검사를 통해 알부민 감소했는지 검사 필요
Treatment (좌심부전 위주)
- 처음에 공격적인 치료 필요.
- Furosemide : 물 빼 주기 위해 사용. hypovolemia 환자에서는 쓰면 안 됨.
- 혈관침투성 증가하여 발생한 부종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음.
- Dobutamine : 강심제, 혈압 유지 목적.
- 저알부민혈증에 의한 부종은 plasma/colloid infusion.
- 기관지확장제도 어떤 환자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음 (기관지경련 감소).
- 심한 경우에는 Gluticorticoids - 염증성 반응을 줄여주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