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어서’ 수업한 적도 많아서 주차 구분은 적당히 조절함)

  • 1주차 (3/6)
  • [[#[18] 소화기계 수술|[18] 소화기계 수술]]
    • [[#[18] 소화기계 수술#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1. 항생제 사용 (Antibiotics)|1. 항생제 사용 (Antibiotics)]]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2. Biopsy Techniques|2. Biopsy Techniques]]
  • 2주차 (3/13) :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3. Partial Maxillectomy (부분 상악절제술)|3. Partial Maxillectomy (부분 상악절제술)]]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4. Partial Mandibulectomy (부분 하악절제술)|4. Partial Mandibulectomy (부분 하악절제술)]]
  • 3주차 (3/20) :
    • [[#4. Partial Mandibulectomy (부분 하악절제술)#Rostral mandibulectomy|Rostral mandibulectomy]]
    • [[#4. Partial Mandibulectomy (부분 하악절제술)#Central hemimandibulectomy|Central hemimandibulectomy]]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5. Total mandibulectomy|5. Total mandibulectomy]]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6. Tonsillectomy (편도절제술)|6. Tonsillectomy (편도절제술)]]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7. Glossectomy (혀절제술)|7. Glossectomy (혀절제술)]]
  • 4주차 (3/27) :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8. Salivary Gland Excision (타액선 절제술)|8. Salivary Gland Excision (타액선 절제술)]]
    •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10. Postoperative care|10. Postoperative care]]
  • 5-6주차 (4/10) :
  • [[#5-6주차 (4/10) :#Ⅱ. 주요 질병|Ⅱ. 주요 질병]]
    • [[#Ⅱ. 주요 질병#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
      • [[#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Medical management|Medical management]]
      • [[#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Surgical treatment|Surgical treatment]]
      • [[#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Complications|Complications]]
    • [[#Ⅱ. 주요 질병#2. Acquired oronasal fistulae|2. Acquired oronasal fistulae]]
  • 7주차 (4/17) :
    • [[#Ⅱ. 주요 질병#3. Oral Tumor|3. Oral Tumor]]
      • [[#3. Oral Tumor#Epulides|Epulides]]
  • 9주차 (5/1) :
    • [[#Ⅱ. 주요 질병#4. Salivery Mucoceles|4. Salivery Mucoceles]]
      • [[#4. Salivery Mucoceles#조대술 (Marsupialization)|조대술 (Marsupialization)]]

1주차 (3/6)

[18] 소화기계 수술

우리는 소화기라 하면 위, 소장, 대장을 생각하지만 ‘먹는다’는 행위는 입, 혀, 인두부터 시작한다.

Ⅰ. 구강 및 입인두(Oropharynx) 수술 (1)

지난 학기에 배웠던 기관 튜브(endotracheal tube)의 한계

  • 기관 튜브의 삽입은 주로 경구로(orally) 삽입되어 후두개 → 기관으로 들어감.
  • 하악 관절이 고정되어 있거나, 안면부 화상 등 피부의 문제로 입을 벌리지 못하면 기관 튜브를 경구로 삽입할 수 없다.
  • 또한 기관 튜브를 삽입한 채로 구강 쪽을 수술하면 술야가 극히 제한된다.
    • 대신 피부 쪽에서 뚫고 후두로 들어가는 pharyngotomy, 기관을 일시적으로 절개하여 직접 삽입하는 tracheotomy를 이용하면 술야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1. 항생제 사용 (Antibiotics)

  • 바깥쪽 피부, 털 노출된 부분을 소독 : 포비돈과 알코올
  • 점막 부분 : 희석된 포비돈이나 클로르헥시딘 (알코올 금지)
  • 필요없는 부분은 모두 멸균 포로 덮음
  • 절개 전 예방적 항생제 투여 : amoxicillin
  • 수술 끝난 뒤 2시간 정도 항생제 투여 : cefazolin, metronidazole, amoxicillin, clindamycin

  • 경구는 혈류가 굉장히 풍부하다.
  • major pharyngeal artery가 어떻게 주행하는지 알아야 피할 수 있음. 특히 상악을 수술할 때(상악 절제술 등)는 출혈이 매우 많이 나오므로, 지혈이 중요하다.

상악과 하악의 혈관 구조

  • 상악골의 바깥쪽에 혈관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점막에 쌓여 있다.

  • 콧등과 콧구멍 쪽으로 가는 동맥의 분지. Mandibular → Intraorbital..

  • 기본적으로 동맥은 common cartotid → maxillar (상악) → Inferior alveolar (하악) 으로 따라간다.

  • Minor palantine, Major palatine artery 위치 확인.

  • 상악 수술 시 정중앙을 중심으로 major palatine artery의 위치를 잘 파악하고 있는 것이 중요.

  • 위턱의 주된 혈액공급은 major & minor palatine a. (큰/작은입천장동맥; 입천장에서 정중앙을 기준으로 기준 양측 위치)
    • Common carotid → maxillary → major & minor palantine a.
    • Maxilary a. 에서 infraorbital fossa를 통과하여 콧등과 콧구멍에 동맥 분지
  • 아래턱의 주된 혈액공급은 mandibular alveolar a. (아래턱이틀동맥)
    • Common carotid → mandibular alveolar → caudal/middle/rostral mental a.

구강 수술의 원칙⭐

  • Atraumatic technique을 이용한다.
    • 하악골과 상악골에 붙은 점막은 매우 얇아서, 보비(bovie)를 잘못 갖다대면 조직이 죽을 수 있음.
    • 첫번째로는 압박 지혈 → 이후 ligation. 보비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pin point만 짚어서 조직 손상을 최소화.
    • 유구 핀셋(tooth 있는)으로 집는 것만으로도 조직 손상이 생길 수 있다.
  • Flap으로 커버할 때 tension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 tension suture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점막은 당겨서 억지로 붙이면 금방 괴사, 자멸된다.
    • 오히려 suture 없이도 defect를 덮을 수 있도록 두면 알아서 회복됨.
  • Flap은 defect 위에서 봉합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flap을 크게 가져와 defect를 덮으며 넘어가서 반대쪽에서 봉합. 충분한 크기로 flap을 만들지 않고 작은 flap을 억지로 당겨서 붙으면 불필요하게 tension이 걸린다.
  • Appositional suture 이용 - 그냥 조직을 잡아주는 suture. (simple interrupted, simple continuous, cruciate, vertical mattress patterns.)

2. Biopsy Techniques

  • 구강에 종양성 질병 많아서 생검 필요.
  • Tru-Cut이나 Vim-Silverman needle 이용
    • Tru-Cut : 초음파 가이드 하에서 biopsy를 하는데, 피부 바깥쪽에 기구를 대고 누르면 안쪽 needle이 조직 안쪽으로 들어가서 긁어온다.
    • Silverman : 내통이 벌어져 있다. 안쪽에서 잡아서 빼내는 느낌.
  • 출혈이 생길 테니 보비(bovie) 또는 질산은 봉(silver nitrate cautery)으로 지혈시키고 suture.
  • 반드시 Suture 한 뒤에 절제해야 함.
  • 생검(biopsy) : 조직검사에 이용됨. vs FNA(aspiration) : 세포진단, cytology에 이용됨.
  • Needle biopsy를 할 때는 여러 군데에서 small cores 채취. 바깥에 노출된 부분은 조직이 괴사되어 있거나 염증 정도만 뜰 수 있음. 조직을 잘못 채취하면 진단도 잘못 나옴!
  • 출혈 control : 압박지혈(pressure), 질산은봉(silver nitrate), 보비 (cautery)
    • Silver nitrate : 화학적 지혈 작용

Temporary carotid artery ligation

  • 출혈이 많은 maxillectomy 시, 혈액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 결찰
  • Brain damage가 있을 것인지 고민해봐야 함 (그래서 rat에서는 불가)
  • 개에서는 양쪽 artery ligation 가능
  • 일시적으로 ligation하고 풀어주는데, 그렇다 해도 고양이 또는 빈혈이 있는(anemic) 개에서는 하지 않는다. 혈류를 방해해서 위험할 수 있음.

2주차 (3/13) :

3. Partial Maxillectomy (부분 상악절제술)

뇌로 가는 혈류 → common carotid a. & ?

  • Hemimaxillectomy (한쪽위턱뼈절제술) : 절치부터 전구치까지 반쪽을 다 절제.
    • Rostral - : 상악 앞쪽, 절치(Incisor), 견치(Canine), 제1전구치(Premolar)까지 절제
    • Central - : 중앙 PM2~PM4 만큼 절제
    • Caudal - : 상악의 가운데뒤쪽 부분만 절제. M1M2
  • Premaxillectomy (앞위턱뼈절제술) : 앞쪽을 양측성으로 절제. 양쪽 견치를 포함

상악 수술절제 부위
HemimaxillectomyI부터 M2까지 전부 절제
Rostral hemimaxillectomyI, C, PM1까지 절제 (105/205 정도까지)
Central hemimaxillectomy중앙 PM2부터 PM4 까지
Caudal hemimaxillectomy상악의 가운데부터 뒤쪽 부분만 절제. PM3부터 M2까지.
Premaxillectomy앞쪽을 양측성으로 절제. 양쪽 견치를 포함할 수 있음.

Case

  • Signalment | 5y, CM, Shitzue (다롱이)
  • 내원 1달 전 발견하여 로컬에서 biopsy 검사
  • X-ray → 종양의 calcification, 광대뼈까지 침윤
  • CT → 이미 안와에 종양이 침범.
  • 치료 계획 | Operation - Caudal maxillectomy
    • VD, intraoral approach, endotracheal tube = 5.0 spiral tube, intraorbital nerve block
    • 혈관 ligation 후 톱으로 mass 절제 → buccal fold를 가져와서 suture (* 침의 윤활 작용과 혀의 움직임 때문에 실이 잘 풀어질 수 있으므로 여러 번 묶어줌)
  • Findings | submucosa의 gingival stroma의 증식이 관찰됨. 소수의 neutrophils, lymphocytes 및 plasma cells 등의 침윤이 관찰됨. 일부 mucosa에서는 ulcer가 관찰됨.
  • Dx | Fibrous Epulis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성상은 다를 수 있음)
    • infiltrative lipoma 같은 경우 뼈를 녹이고 들어가 위험할 수도. 전이가 없어도 주위 조직에 대한 염증성 반응은 가능함.

4. Partial Mandibulectomy (부분 하악절제술)

  • 하악의 부분 절제술.
    • Resect oral tumor (구강에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 Mandibular fracture (골절이 있을 경우)
  • 기능적인 것과 미용적인 것이 모두 포함됨. 하악 절제 시 입술과 혀가 계속 내려오므로, 입술 성형도 포함됨.

하악 수술 기법
Rostral Mandibulectomy
Hemimandibulectomy
Three-quarter Mandibuectomy3/4만큼 절제
Rostral hemimandibulectomyPM 1,2,3까지 포함
Central hemimandibulectomyPM 3,4
Caudal hemimandibulectomyM1, M2, 턱관절까지 절제
  • 상악도 2개의 뼈, 하악도 2개의 뼈.
    • 상악은 두개골에 연결되어 있어 절제해도 흔들리지 않지만,
    • 하악은 앞쪽의 부동관절로 연결되어 있어 절제해내면 따로 움직임. (둘을 연결시키지 않는다)

  • Canine(견치)은 1/5 정도만 돌출되어 있음. 뿌리가 caudal 쪽으로 매우 깊게 들어가 있음.
    • 상악 견치가 빠지면 비강과의 연결성을 고려해야 하고,
    • 하악 견치가 빠지면 혀가 옆으로 빠지는 것을 주의해야.
  • 견치 쪽에서 보이는 종양을 견치와 함께 절제할 때는, PM2 정도까지 절제가 필요함.
  • 뒤쪽에 종양이 생겼을 때도, 송곳니의 뿌리를 고려해 하나 앞까지 절제.

Cheiloplasty (입술성형술)

  • 혀가 빠져서 침이 흐르는 환자에서 입술 성형술 실시.
  • PM2 정도까지 안쪽 점막을 절제해서 suture → 근육, 피하조직, 피하 suture
  • 수술 후 입을 벌릴 때 제일 마지막 부분은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tension suture 필요.
    • 입이 좀 벌어진 상태에서 tape muzzle 장착해주면 혀만 빼서 먹을 수 있음.

  • 입술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V자 shape으로 single flap을 절제해서 메꿔주거나 (suture line 가운데 형성)
  • 양쪽을 절제 후 붙인다 (suture line 양쪽에 존재)

3주차 (3/20) :

Rostral mandibulectomy

  • 점막과 피부를 소독해주고
  • 아랫입술과 하악 사이 점막을 절제
  • 하악뼈 바로 위쪽 점막을 elevator로 들어올리고, saw로 PM2까지 절단.
  • 안쪽 점막과 입술 쪽 점막을 continuous suture
  • 절단 뼈의 출혈은 bone wax로 지혈

Central hemimandibulectomy

  • 작은 종양은 central hemimandibulectomy로 충분.
  • VD or lateral positioning : ventral position에서 시작하면 상악을 위로 많이 당겨줘야 함.
  • 위쪽에 근육(masseter m. 등)이 많이 붙어 있어서 절제 필요 (보비)
  • 하악 근육도 절단하고 안쪽 점막을 절개한다.

  • PM3-4, M1-2쯤 가면 Infraorbital alveolar a. & v., alveolar n. 등이 한 다발로 붙어 있음 → 출혈 전 상하 ligation을 시켜야 한다.
  • 절단이 다 끝나면 점막만 suture하고
  • 그 다음 cheiloplasty

5. Total mandibulectomy

  • lateral recumbency → 오른쪽 하악을 절제
  • 옆으로 누우면 입술이 덮어버리므로 senn으로 잡아당김
    • 양 입술에 senn을 걸고 고무줄로 당기면 훨씬 효율적 ~
  • 근육 절단, symphysis 절단, 안쪽 절제.
  • 안쪽 동정맥, 신경은 ligation 후 cutting
  • 절제 후 cheiloplasty를 위해 PM2까지 점막과 피부를 절제
  • 끝부분은 tension suture

* 아래턱뼈절제술 후 남은 아래턱뼈를 안정시킬 필요는 없음. 오히려 고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6. Tonsillectomy (편도절제술)

  • 편도에서 SCC 주로 발생, lymphosarcoma도 많이 발생. (SCC > lymphosarcoma)
  • 편도에 종양이 커져서 호흡 곤란을 일으키거나 tonsilitis를 유발해서 크게 부어있을 때 절제

  • 1️⃣ 편도염일 경우 점막을 뒤로 젖혀서 절단 (종양은 점막이 종괴처럼 딱딱해짐)
  • 2️⃣ tonsil artery가 같이 있는데 출혈이 많이 발생해 기도로 들어갈 우려가 있음. 출혈이 기도로 들어가면 익사 가능성 있음. 작은 혈관은 굳이 ligation하지 말고, 보비로 지혈.
  • 뿌리 밑부분 점막 절제 후 interrupted suture

* 편도 종양은 크고 울퉁불퉁하고 딱딱한 종괴가 존재 (주로 SCC)
* 편도염(Tonsilitis)은 부풀어있는 soft tissue의 형태

7. Glossectomy (혀절제술)

  • 혀 종양이 있을 경우 실시됨. (SCC, melanoma, myoplastoma, MCT)
    • margin에 생길 수도 있고 base에 생길 수도 있는데, base에 생긴 경우 곤란.
    • rostral tongue의 40-60% 정도 절제함.

  • Wedge incision : 대형견처럼 volume이 있는 혀의 경우, 옆쪽면에서 봤을 때 이런 모양이 되게 절제해야 함.

  • 혀를 절제할 때는 설동맥이 있어 출혈 있을 수 있음. 한번에 절단하면 대출혈.

    • suture를 미리 한 줄 해 놓은 다음, 절단하고 봉합하고 절단하고 봉합하고.. 해야 함.
  • 혀를 일직선으로 절제하면 남는 부분이 너무 적으므로,

    • 최근에는 ㄱ자로 길게 잘라서, 한 바퀴 돌려 이어붙임으로써 남는 부분을 최대한 길게 만드는 방법을 씀. (종양이 너무 크면 불가능)

4주차 (3/27) :

8. Salivary Gland Excision (타액선 절제술)

침샘에 생길 수 있는 -

  • Mucoceles : mandibular, sublingual S.gland에 가장 흔함.
  • Neoplasia - adenocarcinoma, carcinoma : parotid & mandibular S.gland 등에 생길 수 있음.

참고로 구강에서의 질병은 healing이 매우 빠르다. epithelialization이나 phagocytic activity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음.

10. Postoperative care

  • 기관 튜브의 cuff 위쪽을 suction한 뒤 기관 튜브를 extubation
  • Cuff가 너무 과도하게 부풀어 있으면 → 기관 점막을 압박하여 airway obstruction
  • 기관 튜브나 laryngoscopy 등으로 기관 점막이 부을 수 있다. 튜브를 삽관하고 있을 때는 괜찮은데, 막상 튜브를 빼면 부은 점막 때문에 숨을 못 쉬고 질식 상태를 나타낼 수 있음.
  • 또는 설검부가 안으로 말려들어감 (설검침하) → 혀가 기도를 막아서 질식.
  • 지속적인 진통과 수액 처치
  • 구강내 수술 이후 후유증,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하루 정도는 바로 퇴원시키지 않고 지켜봐야 한다.
  • Water, feeding
  • 바로 딱딱한 것을 주지 않고 soft food를 줘야 한다 - 하지만 gruel(미음)으로는 주지 않는다. 입자가 너무 고우면 suture한 부위에 끼어들어가 오히려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
  • Maxillectomy의 경우 출혈이 많을 수 있음. Common carotid artery의 temporary ligation → 수술 이후 풀어줌.
  • 수술 이후 discharge를 대비해 수혈 준비
  • Premaxillectomy의 경우, rostral 쪽을 잘라내고 나면 코가 내려앉을 수 있음. → 코성형술도 가능

Cantilever suture technique

  • 코의 가운데 부분을 양쪽에서 잡아당겨줘서 코가 처지지 않게 함.
  • 하악이 앞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음.

  • 하악이 PM2 이상 많이 절제되었을 때, 혀가 아래턱보다 더 길게 나옴. → 혀를 따라서 침을 흘리게 됨.

  • 가끔 상악의 견치까지 잘라야 하는 경우도 있음.

합병증

  • 점막이 많이 부음.
  • 구강에서는 침 등으로 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 (rare)
  • 열개는 잘 발생
  • 기도 폐쇄
  • 출혈이 기도로 넘어가 질식
  • 침을 삼키지 못해 줄줄
  • 종양 재발

5-6주차 (4/10) :

Ⅱ. 주요 질병

1. Cleft palate (구개열, 입천장갈림증)

  • Primary cleft : primary palate(입술+상악)에 생긴 cleft.

  • Secondary cleft : secondary palate(hard & soft palate)에 생긴 cleft.

    • 넓은 의미에서는 primary + secondary 다 cleft palate라고 하기도 함.
  • Lateral cleft of the soft palate

  • 원인 :

    • 임신 25-28일에 문제가 생김
    • 선천적, 스테로이드
    • folic acid(엽산, 태아의 세포 분열과 조직 형성에 중요한 역할)가 부족한 상태일 때 발생
    • 외상성, 바이러스를 포함한 toxin
  • 구강의 음식물이 넘어가 비염, 호흡기 문제, 영양 결핍 + 중이의 질환

  • 치료 : (Amoxicillin 등)

Group
Group ⅠPrimary cleft palate
: Unilateral left or right, medial, bilateral
Group ⅡSecondary cleft palate only
total, partial, submucous
Group ⅢPrimary & Secondary palate
Unilateral left or right, medial, bilateral

유전적 요인 → 눈, 코에도 기형이 있을 수 있음

Medical management

  • 수술적인 접근이 우선 아님
  • 영양 공급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 Surgical → 4개월 정도까진 기다린 게 좋음. 급격한 성장기에 수술하는 것이므로, 주위의 조직을 끌어다
  • 이 수술 뒤에 중성화 해야

Surgical treatment

Sliding bipedicle flaps

  • 혀의 양쪽에 절개선을 만들어 sliding → 가운데서 tie
  • 가운데에 지나는 Major palantine a. 를 조심! (🔗Figure. 얼굴과 목 동맥.png)
  • Tie는 구강 쪽, 비강 쪽에 위치해야 함.
    • 구강/비강 쪽에서 tie를 시작하면 거기서 tie가 이루어질 수 있음.
  • 주의! 구강 수술의 원칙 - Suture가 defect 위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 공기가 통하지 시작하면 점점 한 땀씩 풀리기 시작하고, 공간이 발생한다.

Overlapping flap technique

  • cleft를 덮을 만큼 크게 빙 잘라서 overlapping
  • Suture를 하고 묶지 않는다. → 그 다음 suture가 어려워짐.
    • 묶지 않고 전부 걸어준 다음에 하나씩 천천히 묶어줌.
  • Flap이 하나다 → flap을 덮다가 구멍이 생기면 공기가 샐 수 있다.
    • Bipedicle은 2개의 flap이라 다른 하나가 커버해줄 수 있었음.
  • Tension releasing

Closure of Primary Clefts

  • 벌어짐 사이로 조직을 끼워넣는 방법 (Z-plasty)
  • ㄷ자, 돔 형태로 절개 → flap을 뜨고 반전시켜서 구강 쪽 점막을 만들어준다
  • B의 flap 속으로 b를 넣음
  • A에 flap이 생김 ?

Complications

  • Excessive Tensions
  • Suture했던 곳에 미립자가 들어가서..
  • 혈류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서 flap이 괴사

2. Oronasal fistulae

  • 점막에 구멍 → 염증성 반응 → 뼈(maxillary bone)까지 녹아버릴 수 있음 → 비강과 구강이 개통.

  • 외상이나 질환에 의해 비강과 구강 사이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됨

  • Hypophysectomy 가장 안쪽까지 접근하는 수술.

  • ==Direct apposition보다 Flap techiques가 더 좋다.==

Direct apposition

  • PM1 정도까지 빠진다 (안 빠져있으면 뺀다) → 끌어올 수 있는 점막이 많아짐
  • 앞뒤로 이어서 절개 나감

Single-layer flap

  • Buccal flap
  • Rotational flap
  • Advancement flap

Double-layer flap

  • hard palate에 있는 것을 뜯어서 overlapping
  • One layer → 비강 쪽으로 tie해야 하는 거 아님 (Two layer일 때 tie끼리 조직에서 맞닿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했음)

(잠시 pass..)

7주차 (4/17) :

3. Oral Tumor

Oral tumor의 Clinical stage

T (Tumor의 크기)

  • T1(<2cm), T2(2-4cm), T3(<4cm)
  • a : 종양 주변 뼈침윤 없음
  • b : 종양 주변 뼈침윤 있음

N (Node, 림프절 변화)

  • N1 : 동측 node가 만져지면서 움직임 (movable)
  • N2 : 만져지면서, 반대쪽도 같이 만져짐
  • N3 : 커져있고 fixed

M (Metastasis)

  • M0 : 전이 소견 없음
  • M1 : 원격 전이 있음, 폐전이 (=stage 4)

Types of Oral tumors

Malignant

Oral malignant melanomas의 특징

  • 개의 악성 구강 종양 중 가장 흔함 (고양이에서는 rare)
  • gingiva에 발생
  • 항암제가 잘 듣지 않음.
  • Metastasis가 흔하고, 예후가 불량. 8-9개월 정도 생존.

Oral SCC (Squamous cell carcinomas)

  •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종양
  • 개에서는 2번째로 흔함 (fibrosarcoma와 함께)
  • gingiva, lip, tongue, tonsil에 발생

Oral Fibrosarcomas

  • 개의 악성 구강 종양에서 2번째로 가장 흔함 (SCC와 함께)

수술 후 재발률 : 하악 < 상악, epulis도 재발 일어남

Pasted image 20250618125445.png

Epulides

  • 양성 구강 종양 중 가장 많음
  • 치은의 과증식처럼 보이는 부분이 다 종양
Epulides
Fibromatousgingiva 유래
Ossifying골조직이 많아서 절제 난이도 높음.
Acanthomatous주위 조직에 침윤함.
  • 구강 종양은 양성이어도 적극적으로 절제하기를 권함.
  • 미관적으로 걱정을 많이 하지만, 기능적으로 가장 적합하게 잘라내는 게 중요

9주차 (5/1) :

4. Salivery Mucoceles

  • 타액선이 손상되어 타액이 흘러나와 저류된 상태.
    • 혀밑에서 생긴 걸 특별히 ranula(하마종) 이라 하는데, 조대술(marsupialization)로 치료한다.
  • 고양이보다 개에서 많이 나타남.
  • 만졌을 때 출렁출렁한 파동감.
  • Cyst는 epithelial cell로, mucocele은 granule cell로 둘러싸임.
  • Sialography X : 타액선의 조영을 하지 않음. 특별한 메리트 X, 오히려 감염 위험.
  • 점조도 있는 액체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흡인하기 어려움.
  • 박리하는 과정 중에 터질 수 있음. 터졌던 부분을 꼬매고, 다시 박리.
  • Pharyngeal mucocele : 인두로 튀어나온 경우. 호흡에 영향을 미침. 피부 쪽에서 mucocele을 들어내는 것이 훨씬 쉽게 수술.

  • Parotid gland 부분에 혈관들이 상당히 얽혀 있다.
  • Lateral approach
    • jugular vein이 지나간다. ventral 쪽으로 절개? 주행 방향으로 절개? 결정해야 함.
    • 주행 방향을 따라 절개하면 덜 손상
    • masseter m.을 절제하지 않으면 sublingual, mandibulr gl.로 접근하기 어려움.
  • 근데 요즘은 아예 ventral approach → 바깥쪽으로 가다가 하악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식으로 절제.
    • 이렇게 하면 mandibular gland 절제하기 수월함.
    • Digastricus muscle을 절단하지 않고, 안쪽으로 당겨와서 subligual gland의 안쪽까지 깔끔하게 절제.

  • 전이도 절제, bulla 뼈를 자르고 수술할 때도 facial n. 와 maxillary a. 주의해야.

조대술 (Marsupialization)

  • 부분 점막의 내강을 절제하고 suture해서 내용물을 배출.

  • 혀밑의 하마종(ranula)에서 적용.

  • 전립선이 비대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 :

    • 전립선 비대는 neoplasia, abscess, cyst, hyperplasia
    • 이 중 abscess와 cyst는 내강을 비울 수 있기에 marsupialization을 적용 가능
    • 전립선의 농이 가득 차 있다? → 먼저 개복수술, 안의 염증을 빼 줌.
  • Complication : dead space가 많이 남음.

    • seroma formation ↑
    • infection (수술후 감염, SSI)
    • mucocele recurrence (gland가 제대로 절제되지 못해 동측 또는 반대측에 재발)

어려운 수술은 아니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한 유착, 손상 주의. 섬세한 수술이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