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Abdominal mass - 4주차(2), 6주차(1) : X
-
복부 창상 - 5주차(1) : X
-
Contrast radiography - 5주차(2) : 족보만
-
고양이의 방사선학적 특징 - 6주차(2) : 족보만
Contrast
조영제 종류와 특징
- 음성 조영제: 방사선 투과성 있는 대기 공기, 이산화탄소, 질소 → 혈관에 들어가면 air embolism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X, 주로 관성 구조물(위, 방광 벽면)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
- 양성 조영제: 방사선 불투과성으로, 원자 번호가 큰 매질, 환축에 해가 되지 않는 물질을 사용.
- 비흡수성: 소화기계 개통성 검사에 사용, 전부 배설되는 조영제 [Barium sulfate]
- 흡수성: 요오드 조영제 → 흡수 후에 방광을 거쳐 뇨로 배설됨.
- 이온성 조영제: 위장관, 방광 조영제 → 고장액이므로 체외 노출 시 체액이 빠져나와 자극, 부종, 탈수 유발함 → 잘 사용하지 않음 [Gastrografin(iodine)]
- 비이온성 조영제: 혈관 조영제 → 이온성보다 부작용이 적으므로 안전을 위해 비이온성을 많이 사용 → 혈관, 척수,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무조건 비이온성 조영제 사용 [Omnipaque]
조영 방법 요약
- 누관조영
- 이관조영 (외이도 개통성, 고막 검사)
- 인후두부 구강조영 (연하곤란 확인) : Barium meal, 오연 가능성 있으면 omnipaque
- 식도조영 (식도주행, 천공, 확장, 게실, 협착, 이물 확인) : fluoroscopy가 권장.
- Gastrography (위내 종괴, 방사선투과성 이물, 위배출) :
- Barium 관장 (대장성 설사, 이급후증, 혈변, 결장/직장 종양) : Barium sulfate + Air
- 없음
- 척수조영 (myelography) : Omnipaque
- 배설성요로조영술 (EU, Excretory urography) - 신장 모양, 크기, 위치, 수신증, 요관폐색, 파열,
- 비이온성 조영제(omnipaque) 850mgl/kg 정맥 주사
- lateral, VD상: 투여 전, 투여 후, 3/5/20/40분 후 촬영
- oblique상: 투여 후 7/120초 후 촬영 (요관이 lateral 상 중복되므로 oblique상 촬영 필요
- 방광조영 (cystography) - 혈뇨, 빈뇨, 후복부 창상, 결석, 방광종양, 방광게실, 이소성 요관 등 4. 요오드계 조영제 (gastrografin, omipaque) 6-11ml/kg 5. 투여전, 후, 제거 후 공기를 주입하여 이중 조영
- 요도조영 (urethrograhpy) - 무뇨증, 골반골절, 요실금, 혈뇨, 요도결석 : 조영제 동일
- 관절조영 (arthrography)
- 임파선 조영 (lymphangiography)
- 침샘 조영 (sialography)
Hit by a car에 따른 Maltese, 2 years old, castrated male, 기립불능, 하반신 주변 피 하출혈로 내원 plain view에서 pubic, ilac, ischial bone fx. 확인.
① Plain view에서 pelvic urethra 파열의 증거가 될 수 있는 방사선 소견은? 결석이 urethra가 아닌 복강으로 빠져 나옴 serosal detail 저하 (복강 내 소변 누출, uroabdomen) pelvic fracture ②. 이를 확진하기 위한 추가적인 영상검사법들을 나열하고 소견을 열거하라 배설성 요로조영술 (excretory urography), 방광 조영(cystography), 요도 조영(urethrography), RU(retrograde urography) → 조영제가 정상 주행에서 벗어나 복강 내로 저류하는 소견 보임 → 방광은 intact한데 요도 파열만 있을 시, EU는 정상, RU에서는 조영제 누출 소견
Excretory Urography의 방법과 이상소견을 기술하시오.
(1) 목적:
- 조영제 투여 후 신장을 통한 배설 과정 확인 (신장 기능에 대한 간접적 평가)
- 신장 음영의 형태 및 크기, 신우, 요관, 방광 평가 조영제는 뇨와 섞여 배설됨 → 손상 있으면 충진결손, 누출 등 확인가능
- 신장과 요관의 손상, 혈뇨, 이소성 요관이 의심되는 경우
- 후복막강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2) 재료: 요오드계, 비이온성 조영제 (Omnipaque; iohexol 대표적) (3) 방법: ① 시술 전 24시간동안 절식 후 진행 전 관장 실시 ✓ 소화물이나 장내(특히 결장) 분변이 병변으로 오인되거나 요관의 끝부분을 가리는 것을 방지 ✓ 뇨 검사가 필요한 경우 조영 전 실시 (조영제에 의한 뇨비중 증가 및 세균 성장 저해 때문) ② 진정 또는 전신 마취가 권장되며, IV catheter를 장착함 ③ 조영제를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를 통해 주입 ④ 방사선 촬영 ✓ 조영제 주입 직후 촬영(0분), 2분: VD, Right lateral view ✓ 5분, 20분, 40분: VD, right lateral, oblique view
+) 혈관확보 → catheter Plain XR도 반드시 찍어본다 → 결장내 분변 차있는지 확인 후 배변 신기능이 떨어지면 뇨검사 미리 해봄 대부분 신기능 안좋은 상태에서 마취/진정은 딱히 안한다, 너무 사납거나 비협조적인 경우에 진정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 불필요
HBC 환자가 내원한 경우 방광파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검사법을 기술하고, 각각의 영상검사법에서 보여지는 방광파열 확진 소견을 기술하라.
배설성 요로조영술(Excretory urography) : 정맥 주사하여 신장 - 요관 - 방광으로 배설되는 과정 확인 → 조영제가 복강 내로 유출되는 소견으로 확진
실시간 투시조영술(Fluoroscopy) : 조영제를 요도 삽입 카테터를 통해 주입하면서 실시간으로 투시한다. → 조영제가 정상 요로계를 벗어나 복강 내로 유출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확진.
CT : 조영제를 정맥주사하거나 retrograde로 방광 내 주입 후 CT 촬영. → 방광벽의 연속성이 저하되고, 조영제 누출 소견, 복강 내 serosal detail 저하 등으로 확진
초음파 : 직접적인 확진은 어렵지만, 다른 검사로 확진하기 전 빠르게 검사 가능 → 방광벽의 연속성 단절, 방광 주변 누출된 Un-echoic or hypoechoic fluid 확인, 방광 내 sludge 등의 소견 확인 가능.
EU를 실시하는 경우 주의 사항을 열거하라.
- 저혈압 및 탈수가 있는 환축은 수화를 먼저 시킨 후 진행
- 심한 신부전(무뇨), 탈수, 저혈압, 조영제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는 환축에서는 하지 않는다 +)
- 시술 전 24시간 절식 후 관장 실시하여 조영제 흐름 방해할 수 있는 것들을 제거
- 요관은 lateral상 중복되므로 oblique상 또한 촬영한다.
- 비이온성 조영제를 투여해야 한다 (Omnipaque 등)
고양이 특징
소화기계 방사선학 특징
Stomach
- 냥의 위는 개와 달리 J-shape 을 보이고, 정상적으로 fundus는 개보다 더 좌측임.
- pylorus는 거의 정중에 위치하여 척추와 중복이기 때문에 pylorus 위치를 통해 간 크기를 평가하지 않음.
- hair ball 때문에 위 내 조영제 잔류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Esophagus, stomach, duodenum
- 냥의 식도는 조영 시 뒤 1/3의 smooth m.이 striated m.로 herringbone sign을 보임
- 냥의 십이지장은 정상적으로 circular m. contraction에 의해 string of pearl sign 보임.
- 냥 위 벽에 정상적으로 submucosal fat이 축적된 것이 radiolucent하게 관찰된다.
Pancreas
- 냥의 pancreatic duct는 common bile duct와 동일한 배출로를 통해 십이지장에 개구하기 때문에 feline triad syndrome=triaditis(IBD, pancreatitis, cholangiohepatitis) 등이 동시에 병발하게 될 수 있다.
Small intestine
- 소장 내 gas 축적이 개보다 적음
- gas free jejunum은 lateral view에서 정상적으로 복부 중앙에 모임
Large intestine, cecum
- gas가 거의 없고, 개처럼 compartmentalized되지 않아서 조영제 없이 일반 촬영에서 확인되지 않음.
골격기계 방사선학 특징
냥) 상악 구치 치근이 안와 벽까지 존재함. 상악, 하악이 개에 비해 짧음
냥) Tympanic bulla에 얇은 격벽의 뼈가 존재함.
냥) 개에 비해 zygomatic process가 더 뚜렷하고 크며, 외측으로 솟아있고, post-orbital process를 가짐. frontal process와 temporal process가 평생 유합되지 않음.
냥) Cervical vertebrae가 개에 비해 골밀도가 낮아서 spinous process가 lucent하고 경계가 불분명하게 보임.
냥) T12, T13, L1의 전후방이 기울어져 있어 hemivertebra로 오인 가능하나 정상이고, 앉아있을 때 등이 휘어지는 이유임
냥) Scapular에서 coracoid process가 발달되어 있다. Acromion에는 suprahamate(metacromion)와 Hamate process가 존재함. 간혹 glenoid 후방에 분리된 골화중심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어 osteophyte와 감별 필요.
냥) 개와 달리 Humerous에 supratrochlear foramen가 없고, 대신 원위 내측에 supracondylar foramen이 존재하여 Brachial a. median n.가 통과함.
냥) Clavicle이 촉진될 정도로 발달되어 있음
냥) Radius와 Ulna가 매우 straight함, ulna의 styloid process가 coma-shaped, ulna의 원위부가 넓음
냥) Pelvic bone이 개보다 직사각형
방사선 촬영 시 유념 사항 (실습 강의)
- Skull : RL view 촬영 시 방사선 투과성 끈을 이용하여 입을 벌리고 촬영, 비강, 두개골, cranium을 보고자 할때; Canine이 서로 겹치게 나오도록 정렬을 맞춤, 치아를 확인하고자 할때; oblique view로, 위쪽 canine 끝부분이 palatine bone 중앙쯤 오도록 각도를 뒤틀어 촬영한다.
- neck : Lateral view에서는 sponge block 이용해 수평을 맞춰 경추를 가지런히 함, VD상으로 기관이 보이지 않으면 대칭을 맞춰 찍은 것임을 알 수 있음
- Shoulder joint: 외측상에서 geometric distortion을 방지하기 위해 한 쪽 다리씩 따로 촬영하고, 조사 중심이 발목 관절이라면 끈으로 다리를 당겨 촬영함. Lateral view는 medio-lateral로 주로 촬영, 동시에 두 다리를 찍고자 하면 geometric distortion이 생길 수 있음
- Coxofemoral joint: ilium, stifle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Femur가 11자 정렬되어 골두와 골두 사이의 거리 및 내측 Condyle 사이의 거리가 비슷해야 함. Obturator foramen의 양측 크기가 동일해야 하고, ischial tuberosity와 Femur가 겹치는 부분이 대칭일 수 있도록 한다.Stifle joint: mediolateral view에서 Femur의 좌우 Condyle이 겹치도록 촬영
- Thorax: Lateral view에서 최대 흡기시 촬영(적어도 T13, L1까지 횡격막 끝=costophrenic sulcus가 와야 함). 앞다리를 앞으로 잘 달겨 흉강에 연부조직 밀도가 개입되지 않도록 함. 앞다리는 한 손으로 잡으 며 각 다리 사이에 손가락 2개 정도를 넣어 각도를 조절함. 좌우 늑골을 맞춰주는 것이 좋음. VD 촬영 시 추체와 sternum의 정렬 맞추기
- Abdomen: Lateral view에서 조사범위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함 (Xiphoid process부터 ischiatic tuberosity) VD 촬영 시 tarsal joint를 잡은 양손을 새끼손가락을 바닥에 붙이고 수평을 맞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