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항균요법의 원리
항생제의 선택
감염 세균의 동정
- 그람 염색 → 양성, 음성균
- 배지 배양 → 호기성, 혐기성
- 항원 반응, 핵산 분리, 면역 반응
항생제 감수성 측정
- 정균제 : 세균의 성장 및 증식 억제
-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생제의 최소 농도. 배양 24시간 후에 미생물의 가시적 성장을 막는 가장 낮은 농도.
- 살균제 : 세균을 죽임
- 하룻밤 지난 뒤 colony의 수가 99.9% 감소하는 항생제의 최소 농도 (잘 측정하지 X)
감염 부위의 영향 인자: BBB
- 약물의 지용성 : BBB 통과하려면 지용성 약물이 필요
- metronidazole, chloramphenicol : BBB 통과 good / penicillin : BBB 통과 bad
- 분자량 : 분자량이 낮은 화합물이 BBB 잘 통과
- 단백 결합 : 약물의 혈장 단백 결합률이 높으면 CSF 침투 어려움
- 수송체 기전에 친화성이 있거나, 유출펌프에 친화성이 없는 항생제가 CNS 침투에 유리
- 뇌에 염증이 있으면 BBB 기능이 떨어져 항생제 침투 유리
환자인자
- 신장 기능 부전 → 특정 항생제의 축적 초래
- 간에서 농출되거나 제거되는 항생제들은 간기능장애 환자 치료 시 신중히 사용 (erythromycin, doxycycline)
- 관류 부족 : 순환이 감소하면 감염 부위에 도달하는 항생제 양이 감소
- 연령 : quinolone계 항생제는 연골 독성이 있어 성장판에 damage, 신장이나 간장의 배설과정이 어린 개체에서는 발달 미숙
안정성
- penicillin류는 진핵세포에는 없는 세포벽을 공격하기 때문에 모든 항균제 중 독성이 가장 낮음
- chloramphenicol과 같은 항생제는 특이성이 낮고 독성이 강해 주의 필요
투여 경로
- 경구제 : 경증, 입원을 하지 않는 경우
- 주사제 : 중증, 신속
합리적 투여용량의 결정인자
**농도-의존성 살균작용
- 농도가 높을수록 살균 효과가 증가
- aminoglycoside, daptomycin 을 포함한 특정 항균제
**시간-의존성 살균작용
- 농도-비의존성: 농도 높인다고 살균 효과 증가X, 오랜 시간 투여
- β-lactam, glycopeptides, macrolides, linezolid, clindamycin
- 정균제는 대부분 여기 해당
**항생제후효과(PAE, Postantibiotic effect)
- 항생제 농도가 MIC 이하로 감소한 후에도 세균의 성장 억제가 지속되는 현상
- PAE가 긴 항생제는 특히 그람음성균에 대해 1일 1회만 사용
- aminoglycoside , fluoroquinolones